• Title/Summary/Keyword: 건설 정보

Search Result 3,278, Processing Time 0.075 seconds

Development of A Function supporting estimate of System for Construction Material Information (건설자재 통합정보시스템의 견적지원 기능 개발)

  • Song, Jong-Kwan;Han, Choong-Han;Ju, Ki-Beom;Nah, Hei-Sook;Choi,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21-1524
    • /
    • 2011
  • 정보화의 발전은 모든 산업의 시스템화 및 자동화를 이끌어가는 원동력으로 국가 산업에 융복합되어 시너지효과를 발현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축공사의 50~60%차지하는 건설자재의 정보화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특히 건설자재의 가격정보는 자재선정을 위한 결정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여건에 맞는 정확한 가격정보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자재선정 의사결정자가 건설자재의 다양한 정보항목을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건설자재에 대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필요성과 온라인을 통해 현장여건에 맞는 가격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재선정 의사결정자들이 온라인 자재정보시스템을 통해 검색한 자재의 현장여건에 맞는 가격정보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견적지원 기능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관계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한다. 본 연구는 건설분야 종사자들에게 건설자재선정을 위한 지원 도구로써 활용될 것이며, 이는 최적자재선정을 통한 건축물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Construction CALS Standard (건설CALS표준 현황과 발전방안)

  • Kim,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435-436
    • /
    • 2012
  • 건설CALS 1998년부터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사업으로 시스템의 개발 운영과 표준의 개발 운영의 2개 분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건설CALS 표준은 건설정보분류체계, 전자도면작성표준, 도면정보교환표준, 전자문서표준, 디지털 수량산출 교환표준, 건설정보모델(BIM) 작성 납품 공통기준이 있다. 향후 건설CALS 표준은 건설정보 호환을 위하여 정보분류체계의 확장개발과 건설용어의 표준화, 토목분야의 BIM 활성화에 대비하는 토목BIM 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XML (XML 기반으로한 건설지식관리정보시스템 구축사례)

  • Lee, Min-Nam;Oh, Dong-Hwan;Kwon, O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139-1142
    • /
    • 2002
  • 우리 나라의 건설산업은 건설시장 개방으로 외국기업과의 경쟁체제 돌입이 불가피하고, 건설정책과 각종 행정규제의 급변으로 대응전략 수립이 불가피하다. 또한, 건설정보의 지식관리체제의 부재와 건설지식관리정보시스템의 미구축, 그리고 정보 공유와 공공정보 공개 마인드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업체, 설계사무소, 감리업체 등이 안고 있는 제반 현황을 고찰하여 건설지식관리정보시스템 구현방안을 제시 이를 건설지식관리정보시스템에 적용하여 국내 건설분야 건설지식 맵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해외 각국에서 지식관리의 활용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국제기준 및 국내 건설환경에 적합한 기능규격 및 시스템 개발 건설업체에 적용하였다

  • PD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based on international data attribute (국제 데이터 속성 기반 건설자재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 Choong-Han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645-648
    • /
    • 2008
  • 최근 건설 분야의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건설생애(Life Cycle) 과정에서 파생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가공·축적·제공 하는 시스템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설공사의 주요요소인 자재 정보를 제공하는 Web 기반 온라인 시스템만 현재 110여개 이상으로 토목·건축·설비·소방 분야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제공 중인 정보가 표준화 및 정형화 되지 않아 건설현장 실무자들의 정보 획득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형화되고 표준화된 건설자재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자재 분류체계를 정의하고 건설자재 속성정보를 정형화하여 자재별 분류체계검색, 통합검색, 카테고리검색 뿐만 아니라 전자카탈로그로 변환 및 생성이 가능한 건설자재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A Development the Standard of Construction to ERP Template (건설표준 ERP템플릿 개발 사례)

  • Lee, Min-Nam;Oh, Dong-Hwan;Kwon, O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939-942
    • /
    • 2003
  • 본 연구과제는 건설업체의 현재 문제점은 각 업체별로 상이한 분류 및 식별코드체계를 사용, 품목표기방식, 속성 포맷의 불일치, 용어와 단위의 불일치, 현 업계에서 사용하는 코드 분류체계는 호환이 되지 않고 국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부적합한 실정이다. 따라 기존의 통합정보시스템과 별개로 관리 운영이 이원화되어 오던 각종 건설정보를 건설CALS/EC 핵심기술을 적용하며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을 개발 할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표준 ERP 템플릿시스템과 건설통합분류체계의 표준코드의 연계로 건설CALS/EC 핵심기술이 적용된 건설표준ERP(통합DB)를 구축과 건설공사의 물량산출 데이터의 체계화된 물량예측과 물량공정의 통합화와 설계정보, 시공정보 및 관리유지정보의 연계하여 그리고 현장관리 및 원가관리정보의 통신망접속으로 건설통합정보를 제공한다.

  • PDF

Case Study of Local Government Homepage for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건설정보공유를 위한 정부기관 통합 홈페이지 구축사례 연구)

  • Kang, Leen-Seok;Lee, Hong-Gi;Kim, Hyun-Soo;Kwon, J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563-566
    • /
    • 2006
  • Generally, integrated information of construction project is managed by government. However, homepage cases for operating each construction project by government are still unusual in the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study of construction project homepage for the integrated project information, and then suggests an improved functions that need in homepage for using construction information in common in local area. The homepage used in the study is operated by Gyeongsangnam-do. The results can be used as improved contents of construction project homepage by local government.

  • PDF

A Study on developing Project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건설사업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사업정보 시각화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Seong-Ji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59-1560
    • /
    • 2011
  • 본 연구는 그동안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이 건설공사에 참여하는 현장 공무담당자와 발주청 실무자 위주의 사업관리에서 벗어나 발주청 상위 관리자 위주의 사업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업관리 대상정보를 파악하고 사업현황정보와 공정정보에 대한 시각화를 구현함으로서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 From Users' Viewpoints (현장 사용자 중심의 건설 정보시스템 만족도 조사)

  • Yoon eong-Hwan;Kim Yea-Sang;Chin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604-607
    • /
    • 2004
  • Most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developed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s and their ultimate goals should b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efficient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In order to make them successful, tile systems should be designed to meet system users' need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urr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from the viewpoint of the system users, especially on-site engineers.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highly ranked 10 construction companies on two major factors including the functions of the systems and satisfaction level of each function. From the surveys results,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has been statistically analyzed.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Map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건설정보표준분류체계를 적용한 건설지식관리 맵에 관한 연구)

  • Lee, Min-Nam;Oh, Dong-Hwan;Kwon, O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375-2378
    • /
    • 2002
  • 우리 나라의 건설산업은 건설시장 개방으로 외국기업과의 경쟁체제 돌입이 불가피하고, 건설정책과 각종 행정규제의 급변으로 대응전략 수립이 불가피하다. 또한, 건설정보의 지식관리체제의 부재와 건설지식관리시스템의 미구축, 그리고 정보 공유와 공공정보 공개 마인드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적극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업체, 설계사무소, 감리업체 등이 안고 있는 제반 현황을 고찰하여 건설지식관리시스템 구현방안을 제시 이를 건설지식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국내 건설분야 건설지식 맵을 도출하고 환용 실태를 파악하고, 해외 파국에서 지식관리의 활용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국제기준 및 국내 건설환경에 적합한 지식 맵 및 분류체계 적용한 시스템 개발 건설업체에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Management System of Business Reform in Construction Administration field (건설감리분야의 업무개선 아이디어 평가 체계에 관한 연구)

  • Seong-Jin Kim;Nam-Gon Kim;Hyun 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86-287
    • /
    • 2008
  • 우리나라 공공건설공사에서 불필요한 행정업무·제도·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해 발주기관은 건설현장 담당자를 통해 관련 개선사항들을 보고·취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업무개선 노력들은 발주기관에서 건설현장으로 지시하는 수직구조로 되어 있어 업무개선결과에 대한 정보 공유와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감리원들의 업무개선 아이디어를 온라인으로 평가하고 이를 전체 건설현장에 공유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토해양부 지방국토관리청 및 관할 건설현장에서 사용중인 건설사업관리시스템에 개선 아이디어 평가·공유 기능을 구축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