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 사망재해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 Deok-Jin Kim;Min-Ji Seo;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

Analysing Disaster Cases on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Falling Disaster of Hanging Scaffolding (건설현장 달비계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 Lim, HyoungChul;Kim, DaeYoung;Jeong, SeongCh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6
    • /
    • pp.66-73
    • /
    • 2019
  • Thanks to various efforts to reduce disasters by the government and the Health and Safety Authority, disasters across industries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show their reduction trend. However, the falling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not decreased and increased on the contrary. Especially falling disaster caused by Hanging Scaffolding is the most critical disaster which shows low occurrence frequency but is directly connected to death of worker. The working environment for Hanging Scaffolding is poor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 In particular, the Hanging Scaffolding workers in small construction sites are not on the safety control and management by anyone for their works. They are driven to unsafe working condition with mostly uncertified facilities which are made by themselve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searching falling disaster factors from the 242 disaster cases caused by Hanging Scaffolding Work in 15 years presented by KOSHA, and trying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of work requires facility improvement and work due to high accident rate caused by unsafe behavior. Analysis of the case of a disaster occurring over the past 15 years shows that no disaster occurred due to problems in the order of operations presented by KOSHA. However, it was found that many accidents resulted from death caused by safety belts not being installed or attached to ropes using safety belts without following the order of work.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improving the work method was the installation and wearing of lifeboats and safety belts.

아파트 공사중 발생된 사망재해가 공사에 미치는 영향

  • 박경태;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37-240
    • /
    • 2003
  • 건설현장 특히 아파트 공사는 국내 전체 공사중 가장 많은 현장을 점유하고 있다. 이들 아파트 현장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재해율 상승으로 해당 회사는 PQ심사에서 감점을 받아 공사수주에 큰 영향을 미침은 물론, 해당 현장의 공사진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여 어려운 경영에 압박을 주어 결국, 연이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불행한 사태까지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중략)

  • PDF

New! 안전시설 & 보호구 - 추락시 생명을 지켜주는 생명줄 전용 철골 난간대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59
    • /
    • pp.24-25
    • /
    • 2011
  •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10년 건설재해 발생현황'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건설업종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2009년(20,998명)보다 1,504명이 증가한 22,502명으로 나타났다. 사망자수는 2009년(606명)과 비교해 32영 감소한 574명으로 조사됐다. 종합해보면 작년 한 해 동안 건설현장에서 매일 61명이 다치고, 이틀에 3명씩 사망한 셈이다. 이처럼 사고 발생률이 매우 높은 건설현장의 재해문제는 그동안 꾸준히 화두가 되어왔다 특히 건설현장의 사고 대부분은 대형사고로 직결 된다는데에서 볼 때 건설현장의 사고는 언제나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받아왔다. 그렇다면 건설현장에서의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할까. 단연 추락사고에 대한 예방이 가장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건설공사 추락재해의 공정별.피재자별 원인분석

  • 이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99-404
    • /
    • 2000
  • 건설업은 제조업에 비해 재해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산업이다. 대부분의 건설공사는 제조업과는 달리 고정된 생산현장이 아닌 단품수주에 의한 1회성 현장생산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안전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상황에 따른 임기응변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안전시설물의 설치도 매회 공사시마다 새로이 설치해야하므로 시간적ㆍ경제적 이유로 인해 소홀히 취급되기 쉽다. 건설재해에 대한 책임은 일차적으로 건설업자에게 부가되지만 건설공사 작업자의 안전에 설계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sup (4)/ 따라서 설계시에는 건설공사의 안전을 고려하여야하며, 공사계획시에는 공사안전관리의 대상을 명확히 해야 한다.(중략)

  • PDF

OFFICE빌딩공사의 가설공사에 대한 적정비용산정에 관한 연구

  • 진영운;박종근;이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199-205
    • /
    • 1998
  • 최근 우리나라는 건설업의 산업재해자수가 '91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지만 선진국에 비해서 아직 높은 편이다. '96년 건설업의 평균 재해율은 0.81%이며, 사망자수는 전 산업에서 29.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심각한 건설업의 산업재해는 공사 자체의 위험성이 높은 특수성도 있지만, 가설공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낮은 투자가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건설현장의 재해를 줄이고 시공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설공사의 적정한 투자비용을 근원적으로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략)

  • PDF

건설산업안전진단결과분석

  • 박무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 no.1
    • /
    • pp.71-80
    • /
    • 1986
  • 85년도 국내 건설 현장에서 발생된 산업재해는 노동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재해자 수는 38,086명 (사망 440명포함)이었고 손실액은 1,964 억원으로서 G. N. P 의 0.27%에 달하여 어려운 상황에 처한 건설업체 경영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었으며 업종별로도 광업 다음으로 재해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인적 손실 및 재해자 증가는 큰 사회 문제로 대두 될 수 있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의 독립 기념관화재사고는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이 극히 취약함을 단적으로 나타내어 주는 좋은 증거라 할 수 있겠다.

  • PDF

An Analysis of Fatal Accident in Construction Field for Climate Factor and Its Management Plan (기후요소에 따른 건설현장의 사망재해 실태분석 및 관리방향)

  • Shin, Won-Sang;Lim, Gun-Ju;Son, Ch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0-71
    • /
    • 2016
  • Recently, the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heat wave, heavy snow etc., is rapidly progressing all over the world. This kind of climate change is judged to be affecting a lot in construction industry which has characteristic of outdoor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to prevent death disaster occurring by climate elements at construction site, quantitatively analyzed real condition of death disaster on construction site and suggests basic management direction which to be conducted on the site.

  • PDF

A Study to Foreign Worker Death Disaster Reduction for Enhancing the Construction Image (건설업 이미지 제고를 위한 외국인 근로자 사망재해 저감 방안)

  • Lee, Kang-Hyup;Shim, Won-Sang;Son, Ch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28-129
    • /
    • 2015
  •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has seen a negative image in the sense that various accident occurs frequently. Status of construction accidents in the case of domestic workers is reduced. However, if the situation of foreign workers is increasing every year. This study aims to create high-temperature exposure standard table for foreign workers and domestic workers in the analysis through the discomfort index of fatalities and using the WBGT index for reducing fatalities foreign workers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 PDF

A Research on the Reduction Plan of Falling Accidents in Small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 Choi,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35-2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떨어짐 재해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여 전체 건설현장의 재해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하인리히 법칙, 버드의 도미노 이론과 하베이 3E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떨어짐 재해발생원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근로자의 안전·보건의식이 부족하다. 둘째,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이 미비한 현장이대다수이다. 셋째, 위험성평가 제도의 현장 적용이 난이하다. 또한,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2015년~2016년 OO지역의 떨어짐 재해가 발생한 공사금액 20억원 미만 약 15개소 소규모 건설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 소장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발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근로자 교육,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을 지원해주는 정부지원 그리고 위험성평가 간소화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