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현장사고

Search Result 39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nstruction Environment Safety System (건설 환경 안전시스템)

  • 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570-571
    • /
    • 2019
  • 우리나라의 건설연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율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며,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재해에 대한 예비연구가 필요하며, 건설현장의 다양한 사고유형 중 무너짐(붕괴/도괴)이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사고원인에 대한 분석과 무너짐에 대한 사전 조짐을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예비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은 현장의 특성상 사고가 발생하면 큰 사고로 이어지고, 2차사고까지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상태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관리 플랫폼 및 상태계측모듈을 연구개발하며, 건설현장 상태정보로부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예측할 수 있는 분석 알고리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Construction Disaster (강수특성과 건설 산업 재해와의 연관성 분석)

  • Jeon, Ha-Cheol;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59-4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발생 특성과 강수특성 변화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기간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별 건설 산업현장에서의 사고발생 건수(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와 같은 시기 지역별 강수량 자료(기상청 지상관측지점)를 사용하여 강수량의 거동과 건설현장 사고발생 건수의 거동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건설현장 사고사례의 사고형태 중 부상자와 사망자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구분은 특별시, 광역시 및 도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의 증가 추세와 유사하게 전체 건설현장 안전사고의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지역별로 강수량의 증감 거동과 유사한 사고발생의 빈도의 증감거동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평균 월강수량과 월별 건설 안전사고 발생건수는 0.8의 선형상관성을 가지며 지역별 분석에서는 섬지역인 제주도가 가장 높은 상관계수 0.9를 나타냈고, 서울특별시 0.7, 대구광역시 0.7, 광주광역시 0.7, 부산광역시 0.5, 인천광역시 0.5, 대전광역시 0.4의 상관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강수변화에 따른 지역, 계절, 월별 강수-건설재해 상관성을 분석 제시하였다. 장마철인 7~8월에는 봄철인 3월~5월에 비해 강수량의 증가뿐만 아니라 21.16%의 사고 발생건수 증가가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강수특성 중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의 영향이 많았던 시기의 사고발생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 발생 시 산업현장의 재해 발생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그 이유로는 산업현장에 태풍의 영향으로 감전사고 발생률이 2배가량 증가하며, 구조물과 사면이 무너져 내리는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재해발생률이 더 증가하였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특성 변화로 건설 산업현장은 사고의 위험에 더욱 노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역적 특성 분석과 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 PDF

Proposal of a Prediction Framework Based on Deep Learning Algorithm to Predict Safety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측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예측프레임워크 제안)

  • Kim, Ji-M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6
    • /
    • pp.831-83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 accident prediction model leveraging a deep neural network algorithm, specifically tailored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Notably, the incidence of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ector is markedly higher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with a significant contribution from small-scale sites. The challenging nature of construction in urban settings, coupled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of adverse weather conditions, is likely to escalate accident risks at these sites. Anticipating and mitigating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is therefore crucial to decrease the overall industry accident rate. Consequently, this research introduces a Deep Neural Network-based model for forecasting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The framework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poised to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small-scale construction projects, ultimately aiding in the realization of safer, more sustainable construction practices at these sites.

New! 안전시설 & 보호구 - 추락시 생명을 지켜주는 생명줄 전용 철골 난간대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59
    • /
    • pp.24-25
    • /
    • 2011
  •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10년 건설재해 발생현황'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건설업종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2009년(20,998명)보다 1,504명이 증가한 22,502명으로 나타났다. 사망자수는 2009년(606명)과 비교해 32영 감소한 574명으로 조사됐다. 종합해보면 작년 한 해 동안 건설현장에서 매일 61명이 다치고, 이틀에 3명씩 사망한 셈이다. 이처럼 사고 발생률이 매우 높은 건설현장의 재해문제는 그동안 꾸준히 화두가 되어왔다 특히 건설현장의 사고 대부분은 대형사고로 직결 된다는데에서 볼 때 건설현장의 사고는 언제나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받아왔다. 그렇다면 건설현장에서의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할까. 단연 추락사고에 대한 예방이 가장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the Reoccurrence Prevention in Construction Site Accidents (건설현장사고의 공종별 위험요소 분석 및 재발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 Heo, Jun Kue;Choi, Mi Reu;Oh, Kwang Chin;Shin, Ju Yeo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 /
    • v.1 no.1
    • /
    • pp.16-2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90 construction site accidents accumulated from 15 years ago by the Office of the High Level Investigation Committee of the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under consignment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onstruction site accident population used in this study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entire construction site accident, but is considered to have statistical value as analysis data for a given size of construction site accident. The analysis is believed to be available on site as a basic data for securing construction safety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 safety policy.

Development of a Parts Evaluation Framework Using a Construction Site Digital Platform (건설현장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Shin, Yeon-Cheol;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1-102
    • /
    • 2023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산업재해의 약 20~3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위험성평가를 통해 위험을 감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모든 관리자 및 근로자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 개발에 있다. 이를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며,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안전사고 미연에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Accident Cases-based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Active Response on Construction Sites (사례분석을 통한 건설현장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 Shin, Jae-Kwon;Shin, Yoo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1
    • /
    • pp.79-86
    • /
    • 2021
  • On the construction site, there exists frequently a high likelihood that a fire accident can lead to a large-scale disaster. In the previous studies, the diverse outcomes have been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relative statutes and tried to realize the suppression and confrontation of the fire accidents.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n the site were identified through prior research reviews, and the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was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ssive accident cases. The checklist was divided into the prevention and minimization steps and developed into 16 categories of total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ases applied in this study, if the installation status is checked, such as removing combustibles, and broadcasting facilities for evacuation are installed, it is expected that the casualties will be minimized or zeroed. By developing a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this study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the theoretical and realistic fire accident prevention, and supports the ways to minimize the damage resulted from the fire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In the further, deriving universe and common items about repeated occurrences of a work type will be needed as a subsequent research.

Development of Smart Safety Sensors to Prevent Falling and Contact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추락 및 접촉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세이프티 센서 개발)

  • Lee, Juhee;Ahn, Joseph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1
    • /
    • pp.47-54
    • /
    • 2021
  • According to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KOSHA) report on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number of casualties at construction sites from 2017 to June 2020 was about 93,158 and the number of deaths was about 1,977, showing a high trend of safety accidents among the eight major occupational groups, with the construction industry ranking third in total and the death rate being the highest in total. Among them, the number of deaths caused by falls in the entire occupational category is about 1,267, the highest rate of deaths due to contact is about 522, which is a frequent safety accident among the top three accident types. This paper aims to help reduce the overall proportion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by developing smart safety sensing devices using ultrasonic sensors to prevent two types of safety accidents, which have the highest rate of occurrence among various types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해외건설 매뉴얼 - 해외건설현장 사고 상황 대비 초동조치 매뉴얼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90
    • /
    • pp.87-92
    • /
    • 2014
  • 국토교통부는 세월호 사고 이후 정부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재난안전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안전 혁신대책을 마련하고 분야별로 초기대응에 꼭 필요한 내용만 핵심적으로 담은 초동조치 매뉴얼을 발표했다. 이 중 하나로 해외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나 피습, 자연재해, 전염병 등 재난에 대해 해외 건설현장 및 건설사, 해외건설 관련 유관기관 및 정부에서 조치해야 하는 4단계 대처 사항을 책자로 만들어 배포했다. 본지는 해외에 시공현장이 있는 회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초동조치 매뉴얼을 연재한다.

  • PDF

과천선 사당-금정간 복선전철 제4공구 현장의 터널구간 붕괴재해 원인분석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v.2 no.2 s.4
    • /
    • pp.82-104
    • /
    • 1992
  • 최근 지하철공사 발주량 증가에 따라 일부현장에서 붕괴사고가 발생되고 있고 유사사고의 발생가능성도 높아, 사고예방에 도움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번사고의 원인규명 및 보강대책을 제시한다. -편집자 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