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안전관리

Search Result 1,66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건설안전리포트 - 진화와 변화에 두려워하지 않는 쌍용건설의 안전관리 _쌍용건설안전환경부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59
    • /
    • pp.12-14
    • /
    • 2011
  • 국내 시공능력평가는 15위이지만 해외고급건축 시공실적 1위로 국내보다 해외에서 그 명성이 높은 쌍용건설이 시공 능력 뿐만 아니라 안전관리분야에서도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안전관리로 대한민국 이미지까지 상승시켜주고 있는 쌍용건설은 2009년 대비 2010년 재해율 80%라는 놀라운 감소율을 보이며 올해 건설안전계의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1위 쌍용건설로 급부상하기 위해 가치로 두고 있는 것이 바로 안전관리다. 이들 안전관리를 총 진두지휘하는 사령본부 안전환경부를 찾아 쌍용건설만의 안전관리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

Effect on Safety Behavior Reinforc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Works (건설공사 안전보건관리활동과 안전교육의 관계에서 안전행동강화에 미치는 영향)

  • Kim, Y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58-159
    • /
    • 2022
  • 최근 건설현장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전 산업에서 건설업 재해율은약 50%로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년 1월 27일)과 4차산업 발달에 따른 IOT기반 안전관리 등 안전규제와 안전관리기술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지만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접점에 있는 실무자 및 근로자가 실효성 있게 안전관리활동을 하고 실질적으로 안전행동을 강화시키는 안전사고 예방적 안전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보건활동, 안전교육, 안전행동강화, 안전성과와의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제시하고 관계 분석하였다. 건설현장 실무자 및 근로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에 적용하여 관계를 분석한 예측결과, 분석결과에 의해 검증된 가설이 시사하는 부분을 해석하고, 가설검증을 기반으로 외생변수로부터 안전행동강화에 도달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주요 논점을 논의한다.

  • PDF

KISA 초대석 - 제1회 전국 건설안전 경진대회 최우수상(고용부 장관상) 수상, 대우건설 박성환 안전팀장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2
    • /
    • pp.14-15
    • /
    • 2013
  • 최근 우수한 안전관리로 유명한 주요 건설사들이 각자의 안전역량을 겨루는 자리가 마련돼 화제가 됐다. 그것은 바로 한국도로공사가 개최한 '제1회 전국 건설안전 경진대회'였다. 이 자리에는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GS건설, 한화건설 등 내로라하는 건설사들이 대거 참여해 자사가 자랑하는 안전관리기법과 기술을 소개했다. 우열을 가리기 힘든 치열한 경합 끝에 대회 최우수상인 고용노동부 장관상의 영예는 대우건설 동홍천~양양간 고속도로 14공구 현장이 차지했다. 본지는 이곳 현장의 안전관리를 이끌고 있는 박성환 안전팀장을 만나 그만의 안전철학과 안전관리 비법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봤다.

  • PDF

Survey of Client/Owne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발주자 안전관리 실태조사 연구)

  • Moon, Jang-Ok;Ahn, Ho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53-57
    • /
    • 2006
  • 안전관리는 건설사업의 시공과정 중에 발생 가능한 유해, 위험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는 것이며, 건설사업의 주제는 발주자로서 발주자 역할의 극대화는 효과적인 건설재해 방지의 관건이다. 건설프로젝트의 발주자, 설계자, 감리자, 시공자, 협력업자 등 다수 참여자의 장기간에 걸친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건설공사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존의 건설안전관리체제로는 건설공사에 수반되는 이와 다양한 유형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처방으로는 미흡하며, 건설산업의 총체적인 안전수준의 향상을 통한 시설품의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원적인 안전관리제도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실태조사 결과 공공발주자와 민간발주자의 안전의식 및 안전관리실태에는 격차가 크며, 대다수 발주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의식이 미흡하며, 민간발주자의 경우가 훨씬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감독기관의 발주자에 대한 안전책임 부여도 소극적이다. 발주자 안전관리가 미흡한 원인과 이의 촉진 방안에 대한 도출이 필요하다. 발주자에 대한 접근 방법의 홍보를 통한 책임의식의 고취, 발주자를 위한 안전관리매뉴얼 등 안전관리 도구의 제공, 법령을 동한 명확한 책임의 부여, 발주자가 책임을 이행할 수 있는 자질있는 안전전문가의 활용이 긴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Real-Name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through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 실태조사를 통한 안전관리 실명제 중요성에 관한 연구)

  • Shin, Yeon-Cheol;Kim, Sang-Hyun;Moon, You-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60-161
    • /
    • 2022
  • 영국의 "기업과실치사법", 캐나다 및 호주의 기업처벌을 강화하기 위해서 형법을 개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 감소 효과는 미미하다. 건설 현장의 불안전한 상태 방치 및 가설구조물에서 강도 높은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관리 실명제의 중요도 순위를 전문가 설문으로 도출하였다. 건설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모형을 통해 중요도 분석한 결과 상위계층은 건설기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하위계층의 안전시설물 관리에서는 개구부, 건설기계에서는 타워크레인, 관리실명제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상에 의한 관리, 안전관리조직에서는 CEO의무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안전관리실명제의 기대되는 역할은 중대재해처벌법이 예방에 힘쓰기 보다는 방어에 온힘을 다하느라 예방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역 기능을 바로잡기 위해 안전관리실명제는 중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Construction Site (소규모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 Lee, Sa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1-142
    • /
    • 2023
  •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는 한 사람이 과도하게 많은 관리영역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하므로 특정 영역에 대해 집중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 실제로 이와 같은 소규모 프로젝트는 작은 규모로 인해서 정부의 관리 통제에서 면제되고 있는 바, 이는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의 안전관리와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낮은 주된 이유 중 하나이다. 정부는 그간 전국적 사고 발생 건수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매년 백여 명이 넘는 근로자가 건설현장에서 사망하고 있다. 이는 그간의 관리 방법으로는 일정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상당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건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는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며 그 중 대형건설사는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통해 안전관리 수준이 향상되었고 상대적으로 소규모 건설 사업장과는 안전수준의 격차는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전 관리가 미흡하고 전체사고의 반 이상을 차자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Success Factors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

  • Hong, Jung-Suk;Bae, Dae-Kwon;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6 no.5 s.27
    • /
    • pp.148-156
    • /
    • 2005
  • By reviewing the existing researches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presented some problems; 1) preceding researches dealt only a formal system of safety management and did not focus on the practical safety management action, 2) there is an insufficient endeavor of utilizing the lessons teamed of successful construction sites and generalizing the success factors of safe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describe an effectiv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reflecting success factors of the excellent construction cases and the preceding researche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authors performed a case study of successful construction sites and proposed the major six safety activities. The author's point are illustrated through an explan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Organizational Trust And Turn-over Intention (건설현장 작업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조직신뢰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

  • Youn, Yijung;Kim, Okky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3
    • /
    • pp.65-75
    • /
    • 2020
  •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s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observance behavior. A survey of 357 workers was conducted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supervisor's capability, inne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and construction disaster evalu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observance behavior. Third, it was shown that supervisor's capability, inne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and construction disaster evalu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observanc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nagement supervisor's ability to handle safety at the work sit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enhance the worker's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observance behavior.

Empirical Study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Effect - Centered on Construction Machinery (건설재해 예방 증대를 위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실증연구 - 건설기계 중심)

  • Choi,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7-158
    • /
    • 2023
  • 본 연구는 건설기계에 의한 협착 및 충돌재해의 예방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중 건설기계 근접 방지시스템의 재해예방 효과를 분석하여 그 안전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건설기계 중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굴삭기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유무에 따라 근로자(1,000명 기준)의 행동 변화를 라이다 센스 장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건설기계와 최단 이격거리, 위험구역 내 근로자의 체류시간, 위험구역 주변 근로자의 이동 경로 및 체류시간에 따른 근로자의 분포도 등 근로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한 건설기계가 미설치한 건설기계보다 근로자와의 이격거리 확보와 위험구역내 체류시간을 단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이 건설기계와 관련한 협착 및 충돌 등에 의한 재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결과라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afe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스마트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건설현장 안전관리 활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hn, Hyeo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97-198
    • /
    • 2022
  •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인적 역량 중심에서 첨단기술인 AloT와 Mobile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중심의 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AloT와 Mobile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이 건설현장의 유효성에 대하여 공동주택현장의 골조공종에 종사하고 있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가상휀스, 화재감시, 안전모 미착용 인식 3개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loT와 Mobile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이 건설현장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