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산업재해

Search Result 41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건설산업안전진단결과분석

  • 박무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 no.1
    • /
    • pp.71-80
    • /
    • 1986
  • 85년도 국내 건설 현장에서 발생된 산업재해는 노동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재해자 수는 38,086명 (사망 440명포함)이었고 손실액은 1,964 억원으로서 G. N. P 의 0.27%에 달하여 어려운 상황에 처한 건설업체 경영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었으며 업종별로도 광업 다음으로 재해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인적 손실 및 재해자 증가는 큰 사회 문제로 대두 될 수 있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의 독립 기념관화재사고는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이 극히 취약함을 단적으로 나타내어 주는 좋은 증거라 할 수 있겠다.

  • PDF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 Deok-Jin Kim;Min-Ji Seo;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

산업재해 현황과 예방대책

  • Park, Pil-Su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v.2 no.4 s.6
    • /
    • pp.9-15
    • /
    • 1992
  • 냉엄한 경제환경속에서 경영의 불확실성ㆍ불연속성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다. 재해로 인한 손해는 위험관리에서 말하는 순수위험의 하나이지만 투기적위험에 비해 손실방지에 대한 기업의 관심은 낮은 실정이다. 그러나 다수의 위험에 직면한 최근의 기업은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에 대하여 경영관리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즉 재해방지는 기업방위상의 과제로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 PDF

노동부 '97. 산업안전보건업무 추진계획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23
    • /
    • pp.86-91
    • /
    • 1997
  • 노동부 ‘97. 산업재해감소 목표재해율 0.74%. 사망만인율 1.99 달성을 위해 산업안전선진화 3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장의 자율안전관리 정착, 산재취약부문 중점관리 안전문화운동 확산 등에 주력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노동부의 ‘97. 산업안전보건업무 추진 세부계획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 of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Accidents Using DEMATEL Method (DEMATEL 기법을 적용한 건설재해 영향요인 구조 분석)

  • Kim, Dongwook;Jung, Yunho;Hong, Minki;Jang, Hyounse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1
    • /
    • pp.87-98
    • /
    • 2020
  •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s for 28.5% of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and 29.6% of industrial accident deaths in 2017,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 priority disaster reduction schem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reduce the industrial accident rat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 for construction accidents reduction based on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accidents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site by DEMATE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4M factors with the highest Prominence and Relation is 'Management', and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4M factors wer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Defects such as machinery and equipment, Inadequate inspection of machinery and equipment, Insufficient safety management plan, Inappropriate work orders from supervisors and field manager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irection of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construction accident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hecklist for Preventing Fall Acc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중소규모 건설현장 거푸집 공사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적용성 평가)

  • An, Jeong-Peal;Cho, Ye-Rim;Shin, Yoon-Seok;Kim, Gw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31-232
    • /
    • 2017
  • 건설업은 전체 산업중 두 번째로 높은 재해율을 보이는 산업이다. 그중 거푸집 작업의 재해율은 건설업 재해율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거푸집 공사에서 발생하는 재해비율은 추락(30.4%), 물체에 맞음(20.8%), 넘어짐(19.1%), 부딪힘(13.1%), 끼임(8.3%)이다. 이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추락에 대해서 재해요인 분석을 통하여 체크리스트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를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에 적용한 결과 안전관리의 취약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안전관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Prediction Model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using Decision Tree Technique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이용한 건설재해 사전 예측모델 개발)

  • Cho, Yerim;Kim, Yeon-Choel;Shin, Yoo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7 no.3
    • /
    • pp.295-303
    • /
    • 2017
  • Over the past 7 years, the number of victims of construction disaster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Compared with projects in other industries, construction projects are highly exposed to safety risks.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methods of predicting and managing the risk of construction disasters are urgently needed that can be applied to a construction sit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ediction model for a construction disaster using the decision tree technique. The developed the model is reviewed the applicability by evaluating its accuracy based on disaster data. The top three of the prediction values obtained from the proposed model were enumerated, and then the cumulative accuracy were also calculated. The prediction accuracy was 40 percent for the first value, but the cumulative accuracy was 80 percent. Thus, as more disaster data was accumulated, the cumulative accuracy appeared to be higher. If utilized in construction sites,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a reduction in the rate of construction disasters.

설비공사 안전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21
    • /
    • pp.84-91
    • /
    • 2000
  • 산업재해예방은 사고로 인해 발생되는 인적손실과 물적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계$\cdot$설비의 운전중지에 따른 감소를 방지하게 한다.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손실액은 1998년도 한해만 7조2천5백억원으로 100억짜리 공장을 725개를 세울 수 있는 엄청난 금액이고 국민 총생산액의 1.9$\%$에 해당한다. 특히 건설업의 재해율은 1995년도에는 전국 평균 재해율을 상회하였으나, 매년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여 1999년도에는 0.6$\%$로 전체 0.71$\%$보다 낮게 나타났다. 1999년 건설업의 총 재해지수는 1만955명으로 발생형태별로 분류한 결과 주요 재해발생요인은 추락 3천145명(28.7$\%$), 전도 1천832명(16.7$\%$), 협착 1천461명(13.3$\%$), 낙하$\cdot$비례 1천305명(11.9$\%$), 충돌 866명(7.90$\%$), 감전 281명(2.56$\%$, 화재$\cdot$폭발 152명(1.39$\%$), 기타 1천913명(17.5$\%$)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설비공사와 관련 그동안 발생된 중대재해사례를 게재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