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산업안전

Search Result 1,09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KISA 초대석 - 제1회 전국 건설안전 경진대회 최우수상(고용부 장관상) 수상, 대우건설 박성환 안전팀장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2
    • /
    • pp.14-15
    • /
    • 2013
  • 최근 우수한 안전관리로 유명한 주요 건설사들이 각자의 안전역량을 겨루는 자리가 마련돼 화제가 됐다. 그것은 바로 한국도로공사가 개최한 '제1회 전국 건설안전 경진대회'였다. 이 자리에는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GS건설, 한화건설 등 내로라하는 건설사들이 대거 참여해 자사가 자랑하는 안전관리기법과 기술을 소개했다. 우열을 가리기 힘든 치열한 경합 끝에 대회 최우수상인 고용노동부 장관상의 영예는 대우건설 동홍천~양양간 고속도로 14공구 현장이 차지했다. 본지는 이곳 현장의 안전관리를 이끌고 있는 박성환 안전팀장을 만나 그만의 안전철학과 안전관리 비법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봤다.

  • PDF

NEWS&PLUS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40
    • /
    • pp.12-23
    • /
    • 2007
  • PDF

건설안전리포트 - GS 건설의 안전 메카, 안전혁신학교를 찾아

  • Choe, Jong-Deok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52
    • /
    • pp.12-14
    • /
    • 2010
  • 5년전 '국내 건설업계 최초 안전혁신학교 설립'이라는 신문보도가 있었다. 산업안전 분야에 커다란 관심을 모았던 GS건설 안전혁신학교인데 지금도 그 명성을 높여가며 GS건설의 안전문화 메카로 굳건히 자리잡고 있다.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GS건설 안전혁신학교는 건설안전 작업체험장, 재해체험장, 강의동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서 3박 4일 동안 GS건설 임직원 4,000여명과 협력사 임직원에게 안전교육을 하고 있는데 벌써 5년의 세월이 지났다. 그만큼 GS건설만의 튼튼한 안전문화가 만들어가고 있는 곳, 안전학교를 찾았다.

  • PDF

건설재해예방을 위한 정책방향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15
    • /
    • pp.103-108
    • /
    • 1995
  • 다음은 지난 3월 2일, 산업안전신문사와 한국건설업체연합회가 주최하고 우리 협회와 대한산업안전협회ㆍ건설안전실무협의회가 후원한 건설재해예방정책방향 간담회에서 제공된 노동부의 정책방향자료로서 이에 소개한다.

  • PDF

노동부 '97. 산업안전보건업무 추진계획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23
    • /
    • pp.86-91
    • /
    • 1997
  • 노동부 ‘97. 산업재해감소 목표재해율 0.74%. 사망만인율 1.99 달성을 위해 산업안전선진화 3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장의 자율안전관리 정착, 산재취약부문 중점관리 안전문화운동 확산 등에 주력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노동부의 ‘97. 산업안전보건업무 추진 세부계획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 PDF

일본 산업안전보건법중 건설안전 관련부분 요약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v.2 no.1 s.3
    • /
    • pp.113-119
    • /
    • 1992
  •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법은 81년 12월말에 공포되어 82년 7월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그간 수차에 걸친 개정작업을 거쳐 많이 보완 발전되어 산업재해예방에 커다란 기여가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보완해야 할 점이 적지 않다고 생각되는 바 여기 일본의 산업안전보건법중 건설업 관련 부분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법개선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산업안전보건법 건설안전분야 질의회시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19
    • /
    • pp.98-101
    • /
    • 1996
  • 우리협회 교육부 문의사항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법 중 건설안전분야’에 대한 내용을 질의(Q)ㆍ회사(A) 형식으로 노동부의 우리협회 박필수 고문, 홍종민 전문위원의 자문을 얻어 연재합니다.

  • PDF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및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내용 해설

  • Park, Pil-Su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12
    • /
    • pp.66-74
    • /
    • 1994
  • 기업활동에 관한 행정규제의 완화 및 특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원활한 기업활동을 도모하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기업활동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1993.6.11.법률 제4560호)"의 제정으로 동법 제3장에서 규정하는 "안전관리자 등의 고용의무완화"에 따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이 1993.11.20.개정되고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및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및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등이 1994년 3월29일자로 개정ㆍ공포되었다. 동개정내용 중 건설업과 관련되는 조문을 중심으로 해설함으로써 안전관리업무에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 PDF

안전교육이 건설재해예방에 미치는 영향

  • 홍종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3.12a
    • /
    • pp.83-94
    • /
    • 1993
  • 국내 산업재해 가운데 건설재해는 최근 10년 동안 전체 산업재해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재해는 국내 건설산업에 인적, 물적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건설산업은 타산업에 비하여 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많이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재해요인을 안전교육으로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경영자 및 현장 총괄책임자들에게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 Deok-Jin Kim;Min-Ji Seo;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