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물 생애주기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8초

이동 가능한 숙박용 모듈러 건축의 경제성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n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n the Movable Modular Lodging Buildings)

  • 이지희;손정욱;정운성;이준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2-20
    • /
    • 2015
  • 최근 건설프로젝트는 기존의 노동집약적 현장생산 방식이 아닌, 공장 생산 기반의 현장 조립 방식인 모듈러 건축물에 주목하고 있다. 모듈러 건축 공법은 기존 방식에 비해 공기 단축효과가 높고, 해체 및 재사용이 용이해 임시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듈러 공법 실현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국내의 모듈러 건축시장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부담에 대한 대안으로서 시장의 수요에 따라 이동 가능한 모듈러 건축 방식에 대하여, 기존의 건축 방식과의 생애주기비용 비교를 통해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RC 공법과 모듈러 공법의 이동형 모델의 경제성 평가 결과, 단기적인 측면에서는 RC공법이 빠른 수익률을 달성하였지만 건물의 전 생애주기 측면에서는 이동 가능한 모듈러 건축 방식의 경제성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소 건물의 외피 리모델링에 따른 에너지절감효과 및 경제성 분석 (The Energy Saving Effect and Economic Assessment of Office Building according to the Building Envelope Remodeling)

  • 최선우;김지연;박효순;김준태
    • KIEAE Journal
    • /
    • 제12권6호
    • /
    • pp.85-92
    • /
    • 2012
  • The Korean government has introduced building regulations with improved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including higher insulation levels for building envelope. However, there are many existing buildings that tend to consume more energy for heating and cooling than new buildings, as they were built under the former regulations with relatively higher U-values of walls and glazing. In order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in existing buildings, green remodelling of building envelope and building services are required. For existing buildings, building services improvements have been achieved through energy service company(ESCO), but much attention has not been paid to building envelope improvements with various reasons, such as uncertainty of energy saving effect design issues and cos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building envelope improvements in a typical commercial building on its heating and cooling energy loads.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glazing with lower U-values has the highest energy saving effects, followed by wall, roof and floor, under the condition of same level of insulation improvements. However, high insulated glazing increased LCC because of higher initial investment costs.

건설 프로젝트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정보교환 서브시스템 개발방안 (Development strategy for an information exchange subsystem as a part of 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CPLMS))

  • 유석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7-82
    • /
    • 2007
  • 본 연구는 건설 생애주기 관리시스템(CPLMS)에서의 데이터 교환기능의 구현에 관한 것으로 국제표준 건물정보모델(BIM)인 IFC에 기반하여 국내실정에 알맞게 개발중인 K-IFC의 기능 확장을 통해 이를 실현하고자 한다. 건설산업에서 사용중인 다양한 파일형식을 지원하기 위해 CPLM의 데이터 저장기능은 이들 파일을 입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파일을 통한 PLM의 기능구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BIM 개체에 기반한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단계적 개발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CPLM정보의 보안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프로젝트 참여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케 하여 CPLM 시스템의 전체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생애주기를 고려한 오피스 건물의 리모델링과 그린리모델링의 경제성 평가 연구 : 서울시 강남업무지구의 임대오피스 사례 (An Economic Evaluation Study of Office Remodeling and Green-remodeling Projects : A Simulation Approach to a Rental Office in GBD, Seoul)

  • 이성호;이재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23-34
    • /
    • 2018
  • Due to a waste of energy in korea, about 525,000 which are 75 percent of total buildings are at least 15 years old buildings that need remodeling. There are two current remodeling systems. One is a remodeling system to reduce a waste of resources from the reconstruction. The other is a green-remodeling system aimed to energy savings and reducing environmental costs. This study is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se current systems with respect to the cost-benefit caused by the life cycle and suggests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For a quantitative analysis, we analyzed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rent benefits with simulation by using opportunity costs, construction costs, plan costs and supervision costs as expense variables and using the reduced floor area ratio, institutional incentives, energy, water resources and certified emission reduction(CER) as benefi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the green-modeling was more beneficial in the field of environment such as the energy savings, however, the final benefits of remodeling which has n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osts but more floor area ratio incentives were more economical. The green-remodeling system focused on reducing environmental costs and energy savings needs a equatable institutional incentive system.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한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 Cycle Cost of Wall Type Apartment and Beam-Column Structural Apartment)

  • 이지희;김규리;손정욱;이준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35-43
    • /
    • 2014
  •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무분별한 재건축, 재개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장수명 공동주택은 기존 아파트 건설에 적용되는 벽식 구조와는 달리 기둥과 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기 때문에 내구성, 가변성, 유지관리 및 리모델링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기존의 벽식 구조방식의 주택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다소 상승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보급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총 생애주기 관점에서 기존의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일반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초기 신축미용은 약 18% 정도 증가하지만, 50년간의 총 생애주기비용을 산정해보면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약 7% 정도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이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충분히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CC분석 기법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최적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f renewable energy optimal design using the LCC analysis)

  • 송호열;김정욱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45-50
    • /
    • 2015
  •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6위인 우리나라는 건물의 운영과 유지 및 관리에 소비되는 에너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통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는 공공의무화 제도(RPS)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되었던 기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에너지원별로 적정 조합 및 적용 비율을 도출하였고, 동적 에너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초기투자비, 에너지비, 보수교체비, 유지관리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열 100% 조합이 총 비용 2,105,974,344원으로 총 생애주기 비용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IFC 기반 건축 구조설계 정보 교환 방안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Exchange of Building Design Information based on IFC)

  • 정종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8-71
    • /
    • 2009
  • IFC는 건축물의 전체 생애주기에 걸친 모든 정보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련 참여자들과 교환 및 공유하기 위해서 개발된 중립적인 포맷, 즉 정보모델로서, 현재 많은 건축 관련 분야의 소프트웨어들이 지원하고 있다. 최근 BIM의 개요, 효과, 필요성 등이 널리 인식되면서 건물에 대한 정보를 표현, 저장, 교환, 공유하기 위한 표준적인 정보모델인 IFC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건축물의 구조해석 및 구조설계 분야에서는 IFC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IFC에 구조해석 및 구조설계 분야에서 필요한 정보모델이 완전하게 포함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비록 IFC에 구조분야에 필요한 정보모델이 일부 포함되어 있지만 아직 발전시켜야 할 부분이 많이 있으며, 동적해석이나 비선형해석에 필요한 정보모델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FC의 구조분야 정보모델을 분석하고 그 활용사례 등을 검토하여 현황, 한계 및 문제점, 향후 기대사항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Big Data 분석 방법론을 이용한 건물 유지보수 예측 모형 기본 방안 개발 (Framework on a Prediction Model for Building Repair & Maintenance Using Big Data Analytic Approach)

  • 이은지;최병일;고용호;한승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4-115
    • /
    • 2013
  • The maintenance and repair period consists the largest part of a construction project life cycle cost. However,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repairing plan relies on regulations and the officers' experience mostly that sometimes lead to performing unnecessary work. Moreover, the data occurred during repairing have not been stored in a system that can be used in future pla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epairing cost and time predicting model by applying the properties of the building.

  • PDF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건축물 수선교체주기 신뢰성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iability analysis model of the repair and replacement cycle of a building which utilizes Monte Carlo Simulation)

  • 김종록;정영한;손재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1-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선교체이력 자료 및 전문가 의견을 기초데이터로 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건축물 수선교체주기에 대한 신뢰성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건축물의 경년별 수선교체 시기를 확률적으로 제시하고 건물의 유지관리 계획시 신뢰성분석에 근거한 수선교체시기와 비용수요를 사전에 예측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건물의 소유주체나 유지관리 의사결정권자에게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계획상의 많은 리스크를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더불어 기존건물의 수선교체 이력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의사결정에 많은 어려움 겪고 있는 대규모 건물자산의 유지관리책임자가 수선교체소요에 대한 중장기정책 수립시 이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학적 해법이 제시되었다. 정리하면 크게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연구성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건축시스템의 발달에 대응할 수 있는 수선교체주기 산정법이 개발되었다. 둘째, 수선교체주기의 리스크를 정량화 시킬 수 있는 확률론적 방법론이 제안되었다. 셋째, 제안된 모델은 건축프로젝트에서 설계자와 시공자가 건물의 생애주기설계에 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공공 건축물 지열에너지설비 적용에 따른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of Geothermal Energy Facilities Applied to Public Buildings)

  • 장영준;김상용;신윤석;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23-432
    • /
    • 2014
  • 본 연구는 건축물 계획단계에서 적용될 지열에너지설비 적용에 있어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려한다. 보다 신뢰성 있는 경제성 평가의 기준제시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공사 내역서를 바탕으로 수선주기, 교체주기를 반영한 유지관리비용과 실질적인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를 위한 설계도서에 의한 초기공사비를 산출하여 생애주기비용분석에 사용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건축물 계획단계에서 경제적인 지열에너지설비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