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 관련 삶의 질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24초

중노년 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nd Old Adult One-Person Households)

  • 권종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53-167
    • /
    • 201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중노년 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제7차 1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40세 이상의 1인 가구 497명이며, 40-64, 65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중년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은 활동제한여부, 우울, 신체활동실천여부, 평생 흡연량으로 57%의 설명력을 보였다. 남성노년 1인가구는 주관적 건강, 대사증후군, 활동제한여부, 스트레스 인지율로 44.8%, 여성노년 1인가구는 주관적 건강, 활동제한여부, 가구 소득으로 35.9%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따라서 위의 결과를 고려하여 중노년 1인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입안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노인 암환자를 중심으로 노인 만성질환자 및 중년 암환자 간의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 비교 (Quality of Life of Older Cancer Patients in Comparison with Older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iddle-Aged Cancer Patients)

  • 임연옥;김여진;윤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367-393
    • /
    • 2013
  • 본 연구는 Talyor(2012)의 스트레스-대응 과정 모델을 적용하여 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을 노인 만성질환자 및 중년 암환자 집단과 각각 비교하여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노인 암환자 197명, 중년 암환자 351명, 노인 만성질환자 30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응자원인 낙관성, 가족지지, 친구지지, 의사지지, 생활 스트레스, 경제적 상황과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 암환자의 신체건강 관련 삶의 질은 세 집단 중 가장 열악하였고,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은 노인 만성질환자에 비해 더 낮았으며, 의사지지를 제외한 스트레스 대응자원이 노인 암환자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 대응자원과 삶의 질의 영향 관계는 노인 암환자와 노인 만성질환자, 노인 암환자와 중년 암환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의료복지차원에서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친구와의 교제 권장, 경제적 지원의 확충, 생활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와 가족상담의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 PDF

노인의 건강실천행위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치아건강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ntal Health Determinants o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actice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이병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9-5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실천행위가 치아건강도를 매개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총 1,311명의 노인으로 하였으며, SPSS 24.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동거유형에 따른 건강실천행위와 EQ-5D의 경우 부부를 포함한 1세대 동거(4.62, 0.90)가 가장 높았으며 독거노인(4.40, 0.86)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PROCESS macro를 통한 매개효과 검증결과, FS-T 지수가 건강실천행위와 EQ-5D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011$, BCCI [.003~.0024]). 이러한 결과는 FS-T 지수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평가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 박주현;권정승;최종훈;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81-89
    • /
    • 2011
  • 만성 통증의 양상을 보이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환자들의 신체적, 심리적인 면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과의 연관성도 많은 연구들에서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구강작열감환자에게 있어서 총괄적인 건강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에는 부족한 면이 있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내과에 내원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Medical Outcome Short Form Health Survey Questionnaire (SF-36)과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를 이용한 평가를 시행하여, 시행 결과를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총 60명의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 및 60명의 건강한 대조군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군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설문인 SF-36과 구강 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설문인 OHIP-49를 시행하였다. 구강작열감증후군과 전반적인 삶의 질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SF-36의 모든 항목에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점수를 보여 전반적인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OHIP-49 설문의 결과, 각 항목의 평균에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점수를 보여 구강 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의 질병이환과 건강관련 삶의 질(HINT-8)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isease morbid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INT-8)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박금옥;이윤희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7
    • /
    • 2024
  • 본 연구는 중장년의 가구형태에 따른 질병이환과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제8기 3차년도인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40-64세 23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질병이환, 신체적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복합표본계 획파일을 생성한 후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1인 가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육수준과 활동제한여부, 우울증 진단이었으며, 다인가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흡연, 활동제한, 이상지혈증, 우울증이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를, 불안과 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구유형에 맞는 각각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개별적 삶의 질 향상 중재가 요구된다.

키네시오 테이핑 자가 적용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한 만성요통환자들의 통증관리 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The Changes of the Pain Care Awarenes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the Chronic Low Back Pain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Kinesio-Taping Self Application Education Program)

  • 손성민;곽성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67-177
    • /
    • 2020
  •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 자가 적용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만성요통환자들의 통증관리 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성요통환자 30명이며, 실험군(n=15)과 대조군(n=15)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은 키네시오 테이핑 자가적용 교육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치료사에 의한 테이핑 처리를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통증관리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캐나다작업수행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대상자들의 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간이 건강상태 조사 설문지 Short term-8 health survey(SF-8)을 활용하여, 전반적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신체 통증, 활력, 사회적 기능, 정신건강, 정서적 역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통증관리 인식의 분석결과 실험군의 수행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사후 검사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의 분석결과 실험군의 전반적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신체 통증, 활력, 사회적 기능, 정신건강, 정서적 역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사후 검사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키네시오 테이핑 자가적용 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생활에서 통증을 관리하여 건가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의미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카네시오 테이핑 자가적용 교육 프로그램을 만성요통환자들에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임플란트 만족도와 삶의 질 간의 관련성에 대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ssociation between patie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fter implant surgery)

  • 정선영;조진현;이규복;최연희;송근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91-299
    • /
    • 2011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임플란트 식립에 대한 환자의 치료 만족도와 임플란트 전 후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고,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후 환자가 느낀 치료 만족과 관련하여 어떠한 요인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대구광역시 소재 6개 개인치과의원에 임플란트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2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에 대한 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주요 측정 항목에 응답하지 않은 11명을 제외한 246명을 최종분석대상에 포함시켰으며, AMOS 4.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만족과 관련된 기능적 요인, 유지및관리요인, 비용 요인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임플란트 수술 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OHIP-14의 7개 영역 모두에서 수술 전에 비해 향상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후 환자들은 저작, 발음 그리고 심미 측면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비용 측면에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식립 후 저작 능력과 심미성을 포함하는 기능적 요인과 유지 및 관리 요인에 대한 만족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P<.05), 비용 요인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임플란트 수술에 따른 기능적 요인과 유지 및 관리 요인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강조된 기능적 요인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수술 후 환자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론적 모델을 통해 제시하였다.

한국 암환자들의 근력운동 빈도, 근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2016년 (The Association between Resistance Exercise Frequency, Muscular Streng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Cancer Patien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4-2016)

  • 안기용;강동우;민지희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5호
    • /
    • pp.269-27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암환자들의 근력운동 빈도, 근력,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합하여, 총 647명의 암환자들의 주당 근력운동 빈도, 악력,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력운동빈도가 주당 0~1일인 암환자들은 5일 이상인 암환자들에 비해(0.852±0.016 vs. 0.890±0.020 ; p=0.006), 상대 악력이 낮은 암환자들은 높은 그룹에 비해 (0.850±0.018 vs. 0.911±0.016; p<0.001) 건강관련 삶의 질 지수 (EQ-5D index) 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주당 근력운동 빈도가 0~1일인 암환자들은 5일 이상인 암환자들에 비해 운동능력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4.07배 (95% CI=1.31-12.63), 상대 악력이 낮은 그룹은 높은 그룹에 비해 운동능력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4.94배 (95% CI=2.14-11.41), 일상생활에서는 5.18배 (95% CI=1.56-17.14), 통증/불편에서는 2.46배 (95% CI=1.33-4.55) 증가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암환자들의 근력운동 빈도와 근력이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꾸준한 근력운동으로 인한 근력향상은 암환자들의 삶의 질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농촌지역 장기요양급여노인들의 삶의 질과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 신민우;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95-804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고 있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해 보고,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고 있는 충청남도 9개 군(郡)의 농촌지역 노인 41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상대상자의 삶의 질은 장기요양등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거주상태, 주관적인 건강상태, 와병유무, 신체의 부자유 유무, 요실금유무, 건망증유무, 외출 빈도가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이 삶의 질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기반의 공개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Health Big Data)

  • 김민경;조영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835-841
    • /
    • 2018
  • 본 연구에서 공개 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지역사회건강조사 2012~2014년 자료를 이용해 개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제안논문에서는 공개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Hadoop 기반의 Spack을 이용해 병렬처리 지원을 위한 클라우드 메니저를 구성하고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하드웨어의 제약없이 빠르게 분석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특성과 지역사회 특성으로 구분하여 단계별 다수준 회귀분석(ANOVA,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자 평균 73.8점, 여자 평균 70.0점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