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통제위척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아동건강통제위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Psychometrics of Children′s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for Korean Children)

  • 신희선;정연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05-115
    • /
    • 199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s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CHLC), an instrument designed to measure health locus of control in children aged 7 to 12. The scale was administered to 467 children in grades 4 to 6, enrolled in 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ity. The mean age of the subject was 10.03 (SD=1.33).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Cronbach alpha coefficient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69 for the total, and .67, .65, and .56 on the respective subscales. 2.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through factorial isolation of three theory consistent subscales : internal, chance, and powerful others. Two items did not fit well with the originally developed subscale. The total percent of varience explained by 3 factors was 34.5%.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Kaiser's criterion revealed that the scale was consisted of 5 factors. But, The items of the subscales were rather inconsistent with the dimensions of the locus of control concept.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 and birth order on the scores of the CHL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ex. 4. The score of the CHL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lf concept of the children(r=.14, p<.001).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s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was valid and reliable in measuring health locus of control concept in children, even though luther research is required to reconfirm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CHLC could be used for study explaining the health related behavior of the children and research project related to health education program.

  • PDF

율동적 운동요법이 유방절제술 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Therapy for Adaptation State in Mastectomy Patients)

  • 이명화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7-85
    • /
    • 1995
  •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 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율동적 운동요법은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유방절제술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지를 규명하기 위해 스트레스 적응모형을 사용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로 시도하였다. 1994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고신대학 부속 고신의료원 일반외과 외래에서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대조군, 실험군을 선정하였고 실험군은 부산 송도 에어로빅에서 율동적 운동을 주2회 35-40분씩 6주동안 실시하여 10회 이상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율동적 운동요법을 실시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적응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신체증상 측정도구와 관절각도지수, 신체상, 우울척도, 스트레스 지각측정도구, 사회적 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율동적 운동요법 전에 사전조사를 하고 10회가 끝난 후 사후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x^2-test$, t-test,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율동적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은 신체적 적응 수준에서 신체적 증상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관절각도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율동적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은 심리적 적응 수준에서 우울, 신체상, 스트레스 지각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율동적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은 사회적 적응 수준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율동적 운동요법이 매개변수인 건강통제위 종류에 따른 적응수준의 차이는 율동적 운동요법은 타인통제위 성향이 있는 군에서 우울을 더 감소시켰고 사회적 적응수준을 더 증진시켰다. 다섯째, 제 적응수준간의 상관관계에서 신체적 증상과 신체상, 신체상과 사회적 적응은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스트레스 지각정도는 사회적 적응, 우울과 신체상, 우울과 사회적 적응은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