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주거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1초

복지태도의 이중성 - '눔프'현상과 집단별 차이 - (Inconsistent Welfare Attitude and NOOMP)

  • 김교성;김윤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27-51
    • /
    • 2016
  • 본 연구는 복지제도의 확대는 찬성하지만 재원 확보를 위한 증세는 거부하는 '눔프'현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지제도의 개혁과정에서 이해관계의 충돌에 따른 갈등 발생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계층, 젠더, 연령 집단을 중심으로, 주요 복지제도별 눔프현상의 규모와 요인을 분석하여, 복지제도에 내재한 불평등 구조와 눔프현상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부가조사인 복지인식 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급여 대상이 특정 취약계층으로 제한되는 제도에 비해 전체 사회구성원의 복지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건강정책, 연금, 고용정책, 주거정책 등에서 낮은 눔프현상이 관찰되었다. 눔프현상의 규모와 발생 가능성은 '소득 1분위', '여성', '20대 이하'에서 높게 나타나, 복지제도에 내재한 불평등 기제와 눔프현상의 높은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보편적 복지로의 전환과 복지제도에 내재된 불평등 요인의 개선이 눔프현상의 완화와 복지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대안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PDF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연구 (Effect of Multi-dimensional Child Poverty Experience on Child Development: A Qualitative Study)

  • 조준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82-196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 연계된 질적패널 중 성인 19명과 아동 20명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빈곤가구의 아동빈곤의 경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범주 분석을 실시하고, 빈곤경험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현상학적 주제분석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상대적 박탈감에 초점을 두고, 빈곤화 과정, 주거, 건강, 교육, 양육, 문화, 가족, 아동의 꿈 차원에서 드러나는 빈곤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기술하고, 빈곤 경험을 아동발달 관점에서 발견적이고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아동기의 빈곤경험은 트라우마, 성장과 기회의 박탈, 애어른, 빈곤의 대물림, 꿈의 제한이라는 부정적인 아동발달 경험과 결부되어있었다. 이러한 내부자 시각에 기반한 질적 연구는, 다차원적 아동빈곤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대상 밀착형 정책수요를 가능하게 하여, 빈곤 정책연구 외연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노인의 사회적 건강 측면에서 본 주택유형별 사회적 관계성 연구 (A Study on Social Relationship of Housing Types for Social Health of the Elderly)

  • 이연숙;윤가영;장재우;안창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58-266
    • /
    • 2013
  • Rapidly aging society extends the span of aged life of the elderly people longer than before and this trend raises the issue of holistic health of the aged including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making it necessary to study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to support this trend.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planning to support the deterioration phenomenon of social networks due to aging. Social networks here are treated as basic conditions for social health. This study researched the diverse types of elderly housings in preparation for the aged society and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social affordance characteristics and their potentials for social intera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ir social relations. literature studies with contents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rranged primari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 by types of housings. Socially integrated types of housings can be found as inclusive housing type as they have both soci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found in houses in general and the elderly housings,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desirable types in Korea where collective houses are most popular. Form the existing housing plans housing plan direction should move toward socially integrated housing plans that can protect the elderly people collectively and the direction of housing plans here means the direction from more macro-perspective viewpoi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adding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relations respective housings and promoting housings for the elderly people more desirably.

건축 환경이 호치민시 보행편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uilt Environment on Walkability in Ho Chi Minh City Center District)

  • ;김경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88-297
    • /
    • 2018
  • 보행은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증가하는 교통 체증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보행관련 연구는 유럽, 북미, 동아시아 등에서 진행하였으나, 베트남과 같은 덥고 습한 개발도상국 도시들의 경우, 걷기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많지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트남 호치민시 중심지구의 보행편의성과 건축 환경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지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보행 빈도와 건축 환경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요소 외에도, 본 논문은 보행편의성 지수를 추정하기 위해 도시의 다른 특정한 건축 환경 요소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지표는 주거 밀도, 상업 비율, 혼합 토지이용, 교차로 간격, 블록 크기, 보행로 비율, 천장 유무, 온도 9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지표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보행편의성 지수가 높은 지역에서 더 많은 보행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활동참여 베이비부머의 소비유형과 우울의 관계 (The Effect of Worker' Consumption Patterns on Depression: Focusing on Baby-boomers)

  • 박서영;홍송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9-452
    • /
    • 2018
  •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은퇴 전 한국 베이비부머의 소비유형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유형별 소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의 소비를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중심형, 사회생활중심형, 주거생활중심형, 고급소비중심형의 4가지 유형이 구조화되었다. 이러한 소비유형과 우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는데, 특히 사회생활중심형 소비유형과 비교하여 기초생활중심형과 고급소비중심형의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신체기능에 제한이 있을수록, 장애진단을 받을수록, 여가활동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소득이 낮은 경우, 주관적 경제상태가 부정적일 때 우울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베이비부머를 위한 특화된 노후준비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제언한다.

1인 가구를 위한 단독주택의 스마트홈서비스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tached House Smart Home Service for One-person Households)

  • 전진배;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80-191
    • /
    • 2020
  • 현대사회의 1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1인 가구의 주거형태는 단독주택이 가장 많았으며 1인 가구의 생활은 자유로운 생활, 개인여가시간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인 가구는 외로움, 건강문제, 안전·위험, 식사해결 등의 걱정요인이 있고 단독주택은 생활문제, 유지·관리, 안전·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미래의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단독주택에 스마트홈서비스를 적용하여 1인 가구의 걱정요인과 단독주택의 문제점을 개선할 방안에 대한 연구로 다음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인 가구의 걱정요인과 고충에 대한 조사와 단독주택의 문제점에 대한 선행연구사례를 통해 종합하였고 스마트홈서비스의 최근 기술 동향과 현재 개발 및 시판된 기술을 선행연구사례와 문헌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의 걱정요인과 단독주택의 문제점을 스마트홈서비스에 적용 시 문제점을 보완해줄 스마트홈서비스의 리스트와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남편의 수감 생활 및 출소 과정에서 경험하는 출소자 아내의 자녀양육: 자녀의 발달수준을 중심으로 (Child-rearing Experience of Ex-offenders' Wives: Focus on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 전지열;이동훈;양하나;김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출소자 아내들이 자녀 양육 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주거지원을 받는 17명의 출소자 아내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학령 전 아동기 자녀(생후 1개월~6세)를 둔 수감자의 아내들은 어린 자녀를 홀로 감당해야 하는 부담감이 매우 컸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적 부담감을 덜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녀와 건강한 애착 형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초 중기 청소년 자녀(7~17세)를 둔 출소자 아내는 남편의 수감이라는 충격에 더하여 학부모의 역할을 새롭게 수행해야 하는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에 자녀의 학업 및 학교 적응을 위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후기 청소년/성인기 자녀(18~20세)들은 꿈을 한창 펼쳐가야 할 시기에 아버지의 수감으로 인해 경제적 정서적 희생이 요구되었다. 이들을 위해서는 자녀가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출소자 자녀라는 낙인과 편견으로 인해 소진되거나 위축되지 않고 독립적 인격체로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 이종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503-514
    • /
    • 2015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단면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우리나라 장애인을 대표할 수 있는 2011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용 소프트웨어인 PASW statistics 18.0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결정요인들을 회귀분석한 결과, 차별요인, 주거환경요인, 복지인지요인, 사회경제요인, 장애와 건강요인 등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장애인의 권리확대와 재활, 자립생활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도심에서 발생하는 철도진동이 인근주민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Railway Vibration on the Residents in Urban Area)

  • 장영휴;곽광수;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03-1111
    • /
    • 2000
  • 철도는 급격한 산업발전과정에서 주요 교통수단으로 등장하여 국가발전과 국민편의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과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소음 진동공해를 유발시켜 철도변 인근주민들의 불만족 지적률이 날로 증가하는 실정이다. 또한 철도진동은 철도소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식정도가 낮아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시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외국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철도진동은 철도주변 거주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철도진동은 철도소음과 더불어 정온한 주거환경을 해치는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철도진동 대책수립을 위해서는 우리 실정에 적합한 자료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자료의 결핍 등으로 인해 많온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주요도 시인 전주, 익산, 군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철도진동의 영향에 따른 피해정도와 주관적 반응을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철도방진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사회경제적 요인이 의료기관 선택 시 사용한 정보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on Medical Information resources when Choosing Medical Service)

  • 탁양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68-4979
    • /
    • 2011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들이 의료기관을 선택할 때 이용하는 의료정보원에 성별, 연령, 직업, 소득수준, 의료보장의 형태, 주거지역 등 사회경제적 요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면접조사이다. 2008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의 일환으로 충북 지역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을 통하여 의료정보원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료기관 선택 시 가장 많이 이용한 정보원은 입원, 외래 모두 개인적 정보원(41.9%, 33.5%)이었으며 가정 적게 이용한 정보원은 경험적 정보원(3.0%, 4.3%)이었다. 개인적 정보원에는 입원, 외래 모두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외래이용에서 교육수준과 거주지역의 차이가 존재하였다(p<0.001). 공공적 정보원은 입원 시는 연령, 교육수준, 월 가구 소득 간의 차이를 보였고 외래이용 시는 거주지역만 차이를 보였다(p<0.001). 경험적 정보원은 거주지역의 차이만 보였으며, 전문가 정보원은 입원 시는 남자가 외래이용 시는 여자가 더 많이 이용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의료기관 선택 시 사용한 정보원은 의료이용자의 사회 경제적 요인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의료기관 이용형태(입원, 외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