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강문제

Search Result 2,37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건강을 지키는 현장-한국 장애인 복지 체육회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9 no.11 s.204
    • /
    • pp.14-17
    • /
    • 1995
  • 이 사회에 장애인의 취업, 결혼 등을 비롯한 복지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한지도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둘째로 하고, 장애인의 정서함양과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상적인 체육 · 문화 프로그램조차도 그리 많지 못한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지난 ‘89년에 발족 된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가 장애인을 위한 체육교실 · 문학 강좌 및 예술대전 등의 프로그램을 마련해 그런대로 갈증을 해소해 주고 있고, 장애인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 올해 장애인 편의 시설이 완벽하게 갖추어진 ’서울곰두리체육센터‘가 문을 열어 장애인들의 생활을 더욱 밝게 해주고 있다. 체육회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파급되어 모든 장애인에게도 생활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더욱 많이 주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어린이를 어떻게 건강하게 키울 것인가(3)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3 no.12 s.133
    • /
    • pp.40-45
    • /
    • 1989
  • 본 글은 1987년에 실시된 어린이 심장병 예방 검진에 근거하여 실시된 바 있는 ‘88년도 제1차 “어린이 성인병 예방 검진에 관한 연구”의 결과와 그 배경 등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 성인병 예방의 문제는 먼 미래의 일도 아니며, 또한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님을 새롭게 환기시켜주고 있다. 국민건강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이 연구사업이 결과를 살펴봄으로서 우리나라 일선 보건 실무자들에게 좋은 보건 관계 자료가 되고 또 이를 통하여 국민 보건 증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PDF

행복하고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어가는 대구$\cdot$경북지회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12 s.436
    • /
    • pp.24-25
    • /
    • 2004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대구$\cdot$경북지회는 62년에 개소한 이래 40여 년 세월동안 지역사회의 복지향상과 지역주민건강을 위해 노력해왔다. 우리 협회는 가족건강을 위한 보건의료사업, 성교육, 모자보건 등 기존의 사업 외에도 아동 및 사회에 소외되기 쉬운 분들의 건강과 사회적인 약자인 여성과 어린이, 장애인 등의 성폭력이나 가정폭력 상담 및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는 청소년 문제를 위한 상담, 교육에 노력을 기울여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Skills (가족건강성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 Jung, Yeo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8
    • /
    • pp.90-97
    • /
    • 2017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and solving skills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ttain this purpose, it utilized the data which examine 2,422 elementary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chool social work in S City. The data collected is analyzed by frequency, correlation, regression with SPSS 2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family strength, problem solving skills, school adjustment Secondly, family strength directly affected the students without the mediator variable on school adjustment. Lastly, family strength had a decis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problem solving skills. Based on this results in the study, we need a strategy of sustainable family strength and solving skills in order to help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Bullying on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ren's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 and Mental Health Problems (아동의 과체중·비만과 정신건강문제의 관계 -집단따돌림의 매개효과-)

  • Kim, Ji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40
    • /
    • pp.201-2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bullying on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ren's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 and mental health problems. Data from a subsample of 2,306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hild-youth synthesize survey" was utilized.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were estim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artial and full mediation models were compared, and X2 difference 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two model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hildren's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 have a direct effect on mental health problems. In addition, bullying was found to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e analytic results confirmed that the model fit for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he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bullying o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 and mental health problems. Efforts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may require interventions for children'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problems as well as inventions for reducing bullying in general.

청소년 마약 사용이 늘고 있다1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9 no.5 s.198
    • /
    • pp.56-59
    • /
    • 1995
  • 최근 들어 보드나 부탄가스 흡입 등 청소년의 마약 사용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흡입제들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여건과 청소년을 위한 올바른 문화가 정착되지 않는데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청소년을 위한 성숙되고 안정된 사회 여건을 마련하는 것은 바로 우리 어른들의 책임이 아닐까.

  • PDF

Research Direction for Functional Foods Safety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연구방향)

  • Jung, Ki-Hwa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5 no.4
    • /
    • pp.410-417
    • /
    • 2010
  • Various functional foods, marketing health and functional effects,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se products, being in forms of foods, tablets, and capsules, are likely to be mistaken as drugs. In addition, non-experts may sell these as foods, or use these for therapy. Efforts for creating health food regulations or building regulatory system for improving the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foods have been made, but these have not been communicated to consumers yet. As a result, problems of circulating functional foods for therapy or adding illegal medical to such products have persisted, which has become worse by internet media. The cause of this problem can be categorized into (1) product itself and (2) its use, but in either case, one possible cause is lack of communications with consumers. Potential problems that can be caused by functional foods include illegal substances, hazardous substances, allergic reactions, considerations when administered to patients, drug interactions, ingredients with purity or concentrations too low to be detected, products with metabolic activations, health risks from over- or under-dose of vitamin and minerals, and products with alkaloids. (Journal of Health Science, 56, Supplement (2010)). The reason why side effects related to functional foods have been increasing is that under-qualified functional food companies are exaggerating the functionality for marketing purposes. KFDA has been informing consumers, through its web pages, to address the above mentioned issues related to functional foods, but there still is room for improvement, to promote proper use of functional foods and avoid drug interactions. Specifically, to address these issues, institutionalizing to collect information on approved products and their side effects, settling reevaluation systems, and standardizing preclinical tests and clinical tests are becoming urgent. Also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unified database systems, seamlessly aggregating heterogeneous data in different domains, with user interfaces enabling effective one-stop search, are crucial.

An Study on Decision Tree Analysis with Imbalanced Data Set : A Case of Health Insurance Bill Audit in General Hospital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 불균형 자료의 분석 연구 : 종합병원의 건강보험료 청구 심사 사례)

  • Heo Jun;Kim J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67-1676
    • /
    • 2006
  • 다른 산업과 달리 병원/의료 산업에서는 건강 보험료 심사 평가라는 독특한 검증 과정이 필수적으로 있게 된다. 건강 보험료 심사 평가는 병원의 수익 문제 뿐 아니라 적정한 진료행위를 하는 병원이라는 이미지와도 맞물려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특히 대형 종합병원일수록 이 부분에 많은 심사관련 인력들을 투입하여, 병원의 수익과 명예를 위해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건강보험료 청구 심사 과정에서, 사전에 수많은 진료 청구 건 중 심사 평가에서 삭감이 될 수 있는 진료 청구 건을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서 발견하여, 사전의 대비를 철저히 하고자 하는 한 국내의 대형 종합병원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데이터 마이닝을 적용함에 있어, 주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바로 지도학습 기법을 적용하기에 곤란한 데이터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비교 조건 중에 가장 효율적인 삭감 예상 진료 건 탐지 모형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데이터 불균형 문제의 기본 해법인 과, Sampling 오분류 비용의 다양하고 혼합적인 적용을 통하여, 적합한 조건을 가지는 의사결정 나무 모형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