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관리 질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8초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dults)

  • 임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98-206
    • /
    • 2017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7일부터 10월 8일까지 G광역시 소재 1개 전문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의 학부모 중 40~64세에 해당하는 4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학력, 가족지지, 월소득, 주 3회 이상의 운동,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 모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종교유무와 음주여부는 건강관리역량에만, 성별과 질병유무는 삶의 질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관리역량의 7개 하부영역은 삶의 질과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 건강인지, 사회문화적 참여, 사회경제적 관여영역이 삶의 질을 50.3% 예측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의 건강상태 뿐 아니라 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변 환경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문화적 이해와 참여, 지역사회 제반 시설과 정책 등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건강을 지키는 현장-국민생활체육협의회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20권2호통권207호
    • /
    • pp.14-17
    • /
    • 1996
  • 인간에게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보다 나은 삶의 질을 보장 받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이 양질의 삶의 기초가 건강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따라서 건강을 위한 체육활동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위해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체육을 보급하는 곳에 있다. ‘91년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국민생활체육협의회는 현재 전국적 규모의 조직을 갖고 국민의 건강을 위해, 그리고 사회와 국가의 건강에 기여하기 위해 많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PDF

노인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ders' oral health belief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their quality of life)

  • 이현옥;김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7-63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 있는 노인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7년 8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전라북도 일부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신념 및 구강건강관리행태 정도를 분석결과 구강건강신념에서는 '종교'와 '교육정도, 구강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을 사후검증 한 결과 종교가 있는 경우 구강건강신념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p < .03). '교육정도'에서는 국퇴 중학교 졸업과 고퇴 졸업, 대퇴 졸업이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 .01), '구강건강상태'에서는 건강한 그룹과 건강하지 않은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1). 2. 구강건강신념 정도는 3.66으로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신념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 보다 '잇솔질'과 '식이조절'에서 평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5). 3. 구강건강관리행태 정도는 2.67로 낮게 나타났으며, 건강관리행태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5). 4.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행태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서 '정기적인 치과방문'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p < .05)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노인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노인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노인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구강보건 교육 개발과 함께 계속구강건강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일부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자료이므로 일반화 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유비쿼터스 건강관리를 위한 무자각 생체계측 기술

  • 박광석
    • 전기의세계
    • /
    • 제53권9호
    • /
    • pp.24-29
    • /
    • 2004
  • 건강관리(Healthcare)는 “의료진을 통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및 정신적 육체적 건강상태의 관리”로 정의되어 있다. 즉 건강의 관리는 질병(illness)을 극복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조치하는 부분과 건강상태(Wellness)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그 동안 건강관리가 주로 질병을 극복하는 부분에 비중을 두어 발전되었으나,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욕구의 증대에 따라 점차 건강 상태의 적절한 관리와 유지에 대한 비중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중략)

  • PDF

Framingham risk score와 HRQOL을 활용한 모바일 체중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Mobile weight management application design with HRQOL indicator)

  • 박범준;장광수;박승호;왕보람;박지윤;노미정;최인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5-396
    • /
    • 2011
  • 과체중, 비만을 포함한 만성질환은 일회성의 치료행위보다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IT서비스와 Healthcare서비스의 융합형 체중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대부분의 체중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식단정보와 운동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있을 뿐, 사용자 건강의 질적인 부분을 고려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방안들을 모색하고 사용자 건강의 질도 관리 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모바일 체중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건강의 위험도를 Framingham risk score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건강과 관련 된 삶의 질(HRQOL) 측정도구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체중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는 식이, 칼로리 뿐 만이 아니라 개인의 건강의 질에 관한 관리를 지원하고, 나아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치매환자의 구강관리가 삼킴기능과 구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Care on Swallowing Function and Swallowing-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ementia)

  • 배성환;백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49-459
    • /
    • 2019
  • 본 연구는 장기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실태를 평가하고 이것이 삼킴 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광주, 전남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에 입소한 치매환자 60명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삼킴곤란 임상척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첫째, 장기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치매환자의 구강관리가 삼킴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구강관리 점수에 따라 삼킴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p<.01). 둘째, 치매환자의 구강관리, 삼킴기능과 구강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치매환자의 구강관리는 삼킴기능(r=.405, p<.01),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r=.462, p<.01) 그리고 삼킴기능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r=.351, p<.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장기 요양시설 이용자의 구강관리는 삼킴 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매우 밀접한 관련을 나타내었다.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Functional Health Status, Satisfaction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and Quality of Life in Vulnerable Elderly)

  • 박영숙;이화연;권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71-5078
    • /
    • 201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재가노인의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D시 B구 1개 지역보건소 방문보건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9명을 대상으로 보건보직부에서 권고하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기록지에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질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기능적 건강상태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혈액투석노인의 건강상태 변화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lderly Homodialysis Patients' Transition of Health Condi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심옥수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79-194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고찰해보고,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혈액투석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함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의 인공신장실 부설 병의원 30개에서 현재 1개월 이상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443명이었다. 조사도구는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로 SF-36 (Medical Outcome Survey 36-Item Short Form)을 사용하여 건강상태의 변화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간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 t-test, ANOVA 및 회귀분석 등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혈액투석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총 평점은 57.67이었다. 혈액투석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을 작년과 비교하여, 악화된 경우에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50.63점이었으나, 호전된 노인의 경우에는 62.04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혈액투석 노인들 간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점수는 일반적인 특성 중 성별, 교육정도, 배우자 동거유무, 주수발자, 동반질환수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또한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에 따라 동반질환 수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혈액투석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정(+)의 상관관계로 건강상태가 호전 된 것으로 인식할 때 건강관련 삶의 질은 높았고, 동반질환수와 건강관련 삶의 질은 부(-)의 상관관계로 동반질환수가 적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혈액투석치료와 자기관리를 통해 현재의 건강상태를 유지 증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적절한 투석치료를 위해 의료서비스를 확대하고, 자기관리를 위한 치료식이, 투약,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생활서비스와 역할상실에 따른 지지와 사회적 고립에 따른 사회적 욕구충족이 반영되는 보건복지통합서비스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Health care system using smart phones)

  • 여지민;송구득;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5-566
    • /
    • 2010
  •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출시되면서 점차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삶의 질 향상과 고령사회로의 진입으로 건강 및 운동 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있다. 현대인들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자신의 건강관리를 일상생활에서 확인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맥박측정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게 되며, 전문 의료기관의 힘을 빌리지 않고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알고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