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주주변환경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the Satisfaction and the Propensity to Move -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the Residential Zonging of Seoul Area - (근린환경 인지, 만족 및 주거이동 성향에 관한 연구)

  • 홍형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17-131
    • /
    • 1994
  • 본 연구는 근린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인지도를 파악하고, 현재 거주하고있는 지역의 근린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주거이동 성향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를 예측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계수($Cronbach's\;\alpha$)는 0.865이며, 분석방법은 빈도, 평균, $x^2$ 검증, t-검증, 일원변령분석 요인분석, 피어슨의 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 다변량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입지성' 속성에 대해 거주자의 인지와 만족이 가장 긍정적이었고 '쾌적성 및 정체감' 에 대해 가정 부정적이었다. 둘째 근린환경 인지도가 높을수록 부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거소유권이 자가이고 상가주변지역에 살고 있는 거주자들의 근린환경에 대한 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거주기간 총 만족도, 주거용도 지역, 주택규모, 소득수준이 주거이동 성향을 판별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 PDF

Representation of various situations in the virtual reality by using Spatio-temporal graph (Spatio-temporal graph를 이용한 가상현실 속의 상황 표현 방법)

  • Cho, kyu-myoung;Park, j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28-430
    • /
    • 2010
  • 가상현실에서 실제 사람처럼 행동하는 가상거주자는 스스로 주변의 상황을 판단하고 평가를 내리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판단은 얼마나 정확하고 다양한 자료가 주어졌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Spatio-temporal graph(ST graph)를 사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정의하고, ontology의 개념을 더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한 표현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 표현 방법으로 가상거주자는 어떠한 상황을 마주하더라도 주변 환경이나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여 필요한 행동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백용동굴 주변의 인문 및 사회환경에 관한 연구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32
    • /
    • pp.42-64
    • /
    • 1992
  • 거주환경을 둘러싼 대도시권, 지방도시, 농ㆍ산ㆍ어촌등 각각의 지역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각지역에 대한 지역 계발을 추진하는데 있어서는 국가 전체속에서 각각의 지역이 갖고 있는 역활을 명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기능의 정비방책이나 개발방향이 검토되지 않으면 안된다.(중략)

  • PDF

Heat Gains and Occupant′s Thermal Comfort in Computer Room (컴퓨터실의 열취득과 재실자 온열 쾌적감 연구)

  • 김원태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2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조방식 및 본 연구에 제안된 개별환경제어시스템(PEM)으로부터 재실자가 거주하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룸(CR)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3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CR의 열취득과 재실자 온열 쾌적감을 감성공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바닥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천정으로 유출하는 바닥취출공조(TAM)방식이 실내 환경 개선에 유리하고 디퓨저만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천정과 바닥으로 공가가 유출되는 개별공조(PEM) 방식은 열적 냉각 성능은 좋으나 컴퓨터와 재실자 주변에 강력한 ㅐ순환 유동을 유인하여 실내 환경의 쾌적감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그러나 PEM과 TAM방식의 결합이 감성공학적 온열특성 분포로부터 CR의 재실자 주변온도 분포에 최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BTEX and MTBE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Indoor Air Near Industrial Complex, Korea (공단지역 인근거주지의 실내 휘발성유기화합물류 농도)

  • Kim, Ho-Hyun;Lim, Young-Wook;Yang, Ji-Yeon;Lee, Yong-Jin;Suh, Il;Kim, Chang-Soo;Shin, Dong-Chu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2 no.2 s.57
    • /
    • pp.103-109
    • /
    • 2007
  •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류(VOCs)의 배출원은 매우 다양하며, 특히, 공단에서 배출되는 VOCs 노출로 인한 공단 주변거주지역 주민에게 배출특성 및 물질별 독성에 따라 유해한 건강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반가정에서의 자체 실내 오염원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류의 노출의 한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단 주변 거주지역 및 동일 행정구역상의 비교지역을 선정하여 공단배출로 인한 실내유입 VOCs 노출 및 자체 실내오염원으로 인한 농도분포 및 기여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단주변 거주지역 및 비교지역의 조사된 실내 평균 농도는 MTBE 2.24, $2.47{\mu}g/m^3$, benzene 9.82, $8.51{\mu}g/m^3$, toluene 103.80, $83.57{\mu}g/m^3$, ethylbenzene 36.45, $15.52{\mu}g/m^3$, xylene 26.27, $1.00{\mu}g/m^34로 비교지역 거주지에 비해 공단지역 주변거주지의 실내공기 중 VOCs 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I/O ratio를 비교한 결과 조사 거주지 모두 자체 실내오염원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공단지역 주변거주지의 경우 공단의 VOCs 배출로 의해 추가 노출이 되는 것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송전선로 주변 거주 초등학생들의 전자장노출량 평가 모델 개발

  • Kim, Yun-Sin;Hyeon, Yeon-Ju;Choe, Seong-Ho;Jo, Yong-Seong;Hong, Se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8-120
    • /
    • 2005
  • 본 연구는 송전선 주변 거주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 활동 행태에 따른 여러 미세환경, 즉 주거환경, 학교환경, 학원, PC방, 교통에서의 자기장 노출수준을 다양한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비교 ${\cdot}$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자들의 활동한 미세환경 인자를 평가하여 시간별행동양식에 따른 24 시간 개인노출수준을 시간가중 평균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비교 ${\cdot}$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154kV 고압 송전선로가 초등학교 옥상을 통과하는 B 초등학교 125명을 최종 선정하여 2003년 7월부터 2004년 2월 말까지 실시하였으며, 시간가중평균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자기장 노출량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들의 미세환경 내 평균 자기장값으로 계산한 시간가중 평균모델 (TWA model II)을 이용하여 예측된 자기장 개인노출수준을 보면 실측된 개인노출수준과 약간의 상관성을 보였다(Pearson r = 0.34 ${\sim}$ 0.35). Spot 측정한 값과 24 시간 stationary 측정값을 이용한 TWA Model II-2로 예측한 결과 실측값간의 상관성이 0.65 ${\sim}$ 0.85 로 산출되어 TWA 모델 중 가장 실측값을 잘 설명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w Town & Surrounding Area (대규모 신도시 및 주변지역 거주환경 비교분석 연구)

  • Cho, Young-Tae;Seong, Jang-Hwa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1
    • /
    • pp.1-8
    • /
    • 2011
  • During the 1990's, five new towns were constructed around Seoul such as Bun-Dang and Il-San. These new towns are very popular since they were created based on systemic urban planning and they provide various residential amenities. Many people consider them livable cities. Taking such advantages, other small-scale new public and private developments continued around those new towns and consequently created 'agglomerated region with new development'. The most representative area is Bun-Dang and north-western Yong-In area which are formed along the Seoul-Busan expressway. This area is a mega-community having more than one million residents in 2005.Judging from recent development tren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formation of other 'agglomerated region with new development' would be continued for the time being.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Bun-Dang and north-western Yong-In and find implications to the management of 'agglomerated region with new development'. The relevant existing studies have their limits, only focusing on analyzing current conditions and pointing out current problems. This study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nalyses in that it conducted comprehensive analyses on various factors that constitut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diverse analyses of current development condition, residential sites, regional transportation, awareness of residents, and oversee cases.

Raynoise를 이용한 철도소음의 예측에 관한 연구

  • 김태구;박민수;박철우;김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86-292
    • /
    • 2003
  • 철도는 1960년대 산업화 이후 급속한 도시화 과정에서 인구의 집중, 도시의 비대화로 인해 늘어나는 교통의 수요와 대량운송 및 정시운행이라는 장점으로 국가산업의 발전과 국민편익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등의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발전과 편리함 속에 소음과 진동의 환경공해를 유발하여 철도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거주시설 및 상업시설 등의 거주민들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불쾌감, 수면방해, 집중력 감소, 시설물의 피해 등의 영향을 주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