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주자

Search Result 1,00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워터프런트에 입지하는 집합주택 거주자의 주거의식에 관한 연구 ~일본 니시미야하마를 중심으로~

  • ;Lee, Myeong-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73-37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워터프런트 니시노미야하마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여 속성, 주거 내외 총합평가, 친수 활동 등에 대해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향후의 워터 프런트에 입지하는 집합주택 거주자들의 거주환경에 대한 상이점을 알 수 있었다.또 워터프런트지역에서 "방의 넓이" "통풍" "전망 채광" "프라이버시의 확보"등 워터프런트에 입지하는 집합주택의 계획수립 시에 상기한 거주환경의 조성이 거주자들의 주거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osture and Space Recognition System Using Multimodal Sensors (다중모드 센서를 이용한 자세 및 공간인지 시스템)

  • Cha, Joo-Heon;Kim, Si Chu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6
    • /
    • pp.603-610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multimodal sensor system that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house space by analyzing the postures and heights of the residents. It consists of two sensors: a tilt sensor and an altimeter sensor. The tilt sensor measures the static and dynamic postures of the residents, and the altimeter sensor measures their heights. The sensor system includes a Bluetooth transmitter, and the server receives the measured data and determines the location in the house. We describe the process determining the locations of the residents after analyzing their postures and behaviors from the measured data. We als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by applying it to a real environment.

Residents' Satisfaction with Visual Appearance of the Housing Environment in Korean Multi-Family Housing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자 시각만족의 경험적 모형)

  • 진양교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1 no.4
    • /
    • pp.15-27
    • /
    • 1994
  • 주거환경에서 거주자의 '시각만족(residents' satisfaction with visual appearance)은 더 큰 추상적 개념인 '주거만족'(residents' housing satisfaction)과의 밀접한 인과적 관련(Francescato et. al., 1979) 때문뿐만 아니라 인간 기본 욕구 중의 하나인 미적 욕구의 충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Chin, 1991)에서도 중요시 되어야 할 이론적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시각만족을 종속지표로 보고, 다양한 영향 가설변수들과의 인과 적 관련도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검증하고 있으며, 어떤 변수 가 어떤 이유(경로)로 또는 얼마만한 크기로 거주자의 시각만족에 영향을 주는 가가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주거단지로부터 다단 계표집 방법과 설문면담 방법을 통해 646명의 응답이 수거되었다. 분석의 첫 단계로써, 다수의 설문문항을 본 연구의 가설 변수로 집약하기 위한 요 인분석(factor analysis)이 사용되었고, 요인 분석으로부터 추출된 변수들간 의 인과적 관련도를 검증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볼 때, 본 연구의 가설 변수 대부분이 최종 종속변 수인 거주자의 '시각만족'에 유의한 인과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구체적으로 '시각적 무질서'(visual disorder), '시각적 단조로움'(visual monotony), '단지 과밀감'(development crowding) 등이 부정적 영향을, '시 각적 매력'(visual attractiveness)과 '인근 자연녹지의 존재'(presence of nearby natural environment)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그 외에도 '옥외공간이용 편리'(outdoor or recreation convenience)와 ' 이웃만족'(satisfaction with neighbors), 그리고 '주거환경 유형'(building type, building arrangement type)등도 유의한 인과적 관련을 보이므로써, 기존 문헌들이 제시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변수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거주자 시각만족의 영향인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가설 변수의 하나인 '길찾기의 난이 정도'(difficulty of way-finding)와 종 속변수간에 유의한 관련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길찾기 변수가 '시각만 족'보다는 거주자의 '안전만족'(safety)과 관련된 변수일 가능성도 아울러 지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주거 계획 및 설계분야 그리고 추후 관 련 연구 분야를 위한 여러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elfare Service Type on the Basis of the Tenants Needs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 Each Housing (단지별 거주자의 요구 및 입지특성에 따른 복지 서비스 유형 적용에 관한 연구)

  • Roh, Sang-Youn;Yoon, Young-Ho;Cho, Young-Tae;Lee, Ji-Eun;Cho, Yong-Ky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2
    • /
    • pp.137-146
    • /
    • 2012
  • Within twenty years, Permanent Affordable Housing provided for people's security of housing in late 1980's yields the principles of equity with tenant's in new one supplied, thus being confronted by the requirements that existing welfare service for tenants should be improved. Reflecting on these, this study means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the welfare policy as applying welfare service types on basis of housing locational characteristics, tenants tier compared with welfare service needs of permanent affordable housing tenants. For achieving this aim, the range and mixed use mechanism of welfare service are investigated as reviewing the related research and finding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7 types of welfare service(Independence, Half-support, Child care, Juvenile, Self-support, Social-mix, and Single household) are established. On the analysis of survey, the welfare service needs are investigated as grouping with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survey target. In addition, the welfare service types are reorganized by analysis of tenant's demographic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 on each housing and are compared with tenants needs. Although, the demographic of permanent affordable housing generally shows that the tenants are constituted with aged people, the housing with high ratio of children and juvenile can be applied with Child Care type and Juvenile type.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ratio of independence type, juvenile type, and single household type are more on the large housing and housing on metropolitan area, and the ratio of half-support type and child care type are more on the small housing and housing on small city area.

An Observation on Environmental Modification Behavior: Implications for University Apartments' Design (환경조절 행태에 대한 관찰연구: 대학 아파트 설계를 위한 시사점)

  • Kim, Duk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8 no.3
    • /
    • pp.9-17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소재 T 대학교의 학생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창밖으로 보이는 외부 환경의 차이와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관찰연구로 진행되었다. 거주자와 거주환경간에 발생하는 부조화는 환경 스트레스의 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거주자는 그들의 환경을 조정하곤 한다. 본 연구는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거나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커튼을 교체하는 등의 환경조절 행태를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창문과 현관 영역에서 발생하는 환경조절 행태의 정도를 비교 관찰하기 위해 군집형과 일자형으로 되어 있는 두 개의 배치 유형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군집형 유형(cluster type: type A)은 상대적으로 도로에 가깝고 거실 창문의 조망이 다른 건물에 가로막혀 있으며, 일자형 유형(parallel type: type B)은 가로막고 있는 건물이 없어 자연경관을 거실 창문을 통해 조망할 수 있는 배치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 관찰연구를 통해 군집형 유형에서 일자형 유형보다 더 높은 빈도로 식물 화분과 개별 커튼 등을 이용한 개인적 환경조절이 이루어진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문을 통해 보이는 외부 경관의 특성이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암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관찰연구에서 나타난 거주자의 환경조정 행태를 반영하여 디자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Indoor_Location Tracking System Based on ON/OFF Switches and Sensors (ON/OFF 스위치 및 센서 기반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 Lee, Chung-Sub;Park, Hi-Soon;Kim, Nam-Gyun;Joo, Su-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41-1144
    • /
    • 2005
  • 본 논문은 실내에서 홈 거주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근접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실내의 고정된 위치에 있는 구조/시설물 및 가전제품의 ON/OFF 스위치를 이용하며 기타 추가적인 스위치 및 센서를 부착하여 개폐동작이 일어날 때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실제위치를 얻는다. 발생되는 신호는 Pull-up 저항을 이용한 신호 검출 방법으로 눌려진 스위치나 센서에서 발생된 아날로그 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신호의 고유한 ID값은 Sensor TMO로 송신되어 수집된다. 수집된 센서ID는 소켓통신을 이용하여 홈서버인 실내위치추적시스템으로 보내질 뿐아니라 원격 모니터링 GUI를 통해 실내 거주자의 위치를 GUI의 가상공간 좌표와 매핑된 홈 거주자의 위치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실내위치추적시스템은 홈 거주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거주자의 이동 패턴과 활동 상황을 파악하여 헬스케어 정보로 활용할 예정이다.

  • PDF

The Prediction of the Interior Luminous Effect using Computer Graphic Method (CG를 이용한 실내공간 조명연출효과의 예측- 건축화 조명을 중심으로 -)

  • 홍승대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1
    • /
    • pp.135-14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partment residents'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nd their environments on purpose to provide useful data for developing new apartment environment based on resident's needs and wants. this research was execu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Preference of large space of apartment dwelling is still prevailing. The older people have the tendency to prefer orientation to vista. (2) Among environmental factors of livingroom, size is mostly ranked higher than vista and orientation. Result of higher ranking of vista than orientation can be explained with the change of life cycle and patterns based on social environmental change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3) The highest concern about interior design is targeted to livingroom, and quality of finish materials is preferred at the highest.

  • PDF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Interior Spaces in Apartment Houses (아파트 공간의 선호 성향 변화에 관한 연구)

  • 류호창;이호중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1
    • /
    • pp.159-1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partment residents'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nd their environments on purpose to provide useful data for developing new apartment environment based on resident's needs and wants. this research was execu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Preference of large space of apartment dwelling is still prevailing. The older people have the tendency to prefer orientation to vista. (2) Among environmental factors of livingroom, size is mostly ranked higher than vista and orientation. Result of higher ranking of vista than orientation can be explained with the change of life cycle and patterns based on social environmental change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3) The highest concern about interior design is targeted to livingroom, and quality of finish materials is preferred at the highest.

  • PDF

선박거주구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기준개선 연구

  • 강영훈;도근영;임덕민;†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75-377
    • /
    • 2022
  • 선박거주구는 선박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육상의 일반적인 거주공간과 달리 거주자의 거주성 보다는 선박의 목적에 충실하게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다. 최근 거주자들이 거주구에 대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을 요구하고 있으며, 신체적 변화에 따라 기존 기준으로 설계된 거주구의 환경에 대한 불만이 높아 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박 거주구에 적용되는 거주구 설계기준을 분석하고, 실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구에 대한 거주성 조사를 바탕으로 거주구 설계기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유사사례와 거주자의 신체적 특성을 분석하여 거주구 개선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Housing Environment Type And Resident Housing Satisfaction (주거환경유형과 거주자의 주거만족)

  • 진양교;수와이드만;제임스앤더슨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45-5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환경지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반응간 의 인과적 관련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주관 적 반응인 주거만족과 객관적 환경지표의 하나인 주거환경유형들(건물유형 과 건물배치유형)과의 인과적 관련도가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공동주택단지가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고, 표본 추출시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표집방법(multistage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설문면답방법(modified structured survey)에 의해 646명의 처리 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인과모형 검증의 첫 단계로서 다 수의 설문문항을 원래 관심있는 소수의 변수로 정선, 추출하기 위한 방법 으로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으로부터 정선, 추출된 변수를 이용 해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정립되고, 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볼 때,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 형 모두가 거주자의 지각, 인식, 태도 등의 적절한 매개변수들을 통해 거주 자의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유형은 일반 적으로 저층주거에서 고충주거로 바뀌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고층주거가 거주자에게 주는 시각적 단 조로움, 과밀감, 그리고 주차장을 포함한 옥외공간 이용상의 불편들과 또 그들로 인한 낮은 안전성 및 경관에 대한 불만족 등이 그 이유로서 밝혀졌 다. 건물배치유형의 경우, U자형의 배치유형이 선형배치유형에 비해 과밀 감 해소, 시각적 명료성 향상, 그리고 옥외공간 이용상의 편리 등 및 또 그 에 따른 경관에 대한 만족의 향상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된 설계 및 계획분야를 위한 여러 다 양한 제안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추후 관련 연구들을 위한 가능성들 도 토의되었다. 그 유용성 때문에, 아직 많은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분 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환경지표들과 이용자들의 만족을 포함 한 다양한 주관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려는 시도가 계속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