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점기술개발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19초

전기동향

  • 한국전기산업진흥회
    • 전기산업
    • /
    • 제8권3호
    • /
    • pp.85-89
    • /
    • 1997
  • PDF

정부시책

  • 한국전기산업진흥회
    • NEWSLETTER 전기공업
    • /
    • 97-11호통권180호
    • /
    • pp.8-13
    • /
    • 1997
  • PDF

2030 글로벌문제해결거점 2단계 사업 추진전략 로드맵 (Strategies for a Phase 2 Road Map of Global Problem Solving Center 2030)

  • 맹민수;안성훈;문지현;독고석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5-124
    • /
    • 2021
  • 1단계 거점센터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2단계 거점센터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최근 2단계 글로벌문제해결거점 2030 로드맵이 제시되었다. 2단계 거점센터의 비전은 지속 가능한 지구촌 공동체 실현을 위한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이다. 사업 방향성은 크게 3가지 핵심전략사업과 중점전략사업으로 구분된다. 핵심전략사업의 목표는 지속가능/포용적/혁신적 과학기술 ODA 사업수행을 위한 글로벌 기술협력거점 및 융합기술 스마트 플랫폼 마련이며 핵심전략사업 과제는 거점센터 중심의 글로벌 리빙랩을 통한 2단계 요소기술개발, 스마트 기술연계 체계구축 및 다자협력 사업화 추진, ICT 기반 글로벌 핵심기술 운영 플랫폼 및 성과확산이 있다. 중점전략사업의 목표는 지속가능 기술구현을 통한 글로벌 거점지역 문제해결 및 국제협력이며 중점전략사업 과제는 기존 거점센터 2단계 전략기술의 ICT package 및 스마트 구축, 글로벌 리빙랩 중점기술에 대한 스마트 연계체계 개발, 거점센터의 기술성과 운영지원을 위한 글로벌 통합기술 비즈니스 지원 플랫폼 추진이다.

과학기술거점의 진화: 대덕연구단지의 사례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es : The Case of Daedeok Science Town)

  • 송성수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3-55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과학기술거점의 일생"이란 관점에서 대덕연구단지의 진화과정을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거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본 후 대덕연구단지의 진화과정을 개념 정립기($1968{\sim}1977$년), 단지 조성기($1978{\sim}1992$년), 클러스터 형성기(1993년 이후)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대덕연구단지는 개념을 정립하고 단지를 조성하는 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연구학원도시에서 출발한 후 전문연구단지를 거쳐 혁신클러스터로 진화해 왔다. 그러한 과정에서 대덕연구단지는 통제적 혁신체제에서 네트워크 혁신체제로, 국지적 혁신체제에서 상호작용적 혁신체제로, 대학 연구소 주도형에서 실리콘밸리형으로 변모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과학기술거점의 유형에 대한 분석이 한국의 특정한 사례에 대한 역사적 고찰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지역 거점 대학과 중소 SI 업체와의 산학 협동 : Web CMS 개선 사례

  • 김종철;김영일;이현우;장래현;고석하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8-231
    • /
    • 2006
  • JSP 모델 1로 개발된 웹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은 HTML과 자바 코드가 같은 파일로 결합되어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준다. HTML과 자바가 같은 파일로 결합될 때, HTML과 애플리케이션의 논리적인 측면 모두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이들 파일에 대해 책임을 갖게 되는 것이 불가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JSP 모델 2(MVC 모델)는 객체지향 방법론의 구현으로 구현과 모델, 뷰를 분리함으로써 위의 문제점을 해소한다. 우리가 개선할 Web CMS도 JSP 모델 1로 개발된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JSP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업에서 대학측에 Web CMS 개선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프로젝트에 적용한 기술들은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인 UML을 기반으로 설계를 하고, 일정관리 도구인 MS-Project에 의해 일정관리를 하였다. 개발 프로그래밍 언어는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인 자바 스트러츠로 개발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새로운 기술인 객체지향 방법론을 적용하기 원하는 중소 SI 기업과 지역 거점 대학과의 산학협동 사례를 제시한다. 지방 중소 SI 기업과 그 기업에서 개발한 Web CMS를 지역 거점 대학과의 산학 협동을 통해 신기술로 개선한 과정과 방법, 결과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과의 산학협동을 통해 얻은 교훈을 통해 대학과 기업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한다.

  • PDF

자연문화자원을 이용한 특정단지개발과 GIS활용에 대한 고찰

  • 박구원;이애정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70-76
    • /
    • 2003
  • 최근 자연문화자원이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자연문화자원을 통한 특성단지개발을 추진하는 예가 많지만, 보전에 대한 규제만 있을 뿐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지지 않아 정책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예가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연문화자원을 이용한 특정단지개발에 대한 문제 및 발전방안을 몇 가지 실사례를 통해 검토한 것에 있다. 사례조사결과 지방자치단체의 개발여건은 극히 복잡다단한 자원분포를 갖고 있고, 이들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기존과 같이 자연생태도를 통해 일방적으로 개발적지를 정한다든가, 보전 범위를 500m로 설정하는 것과 같은 개발방식은 지역개발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일기준 일거점의 개발논리보다는 모든 자원의 속성을 통해 최적의 보전범위를 정해가는 다거점 개발논리가 자원의 보전은 물론 활용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다거점에 대한 연출은 매우 복잡하게 작용하는 바 GIS를 통해 다거점을 조합해 가는 방식이 기술적 방안으로 제안된다.

  • PDF

과학가뉴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16권3호통권166호
    • /
    • pp.8-27
    • /
    • 1983
  • - 핵심거점 기술개발에 주력 - 첨단기술 개발에 총력경주 - 과기처 '83 사업계획 - 기술개발 성공사례 .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개발-금성사 . 컴퓨터 수치제어선반개발-대우중공업 . 특고압애자 개발-고려애자공업 . 전자식 구내교환기 개발-삼성반도체통신 . 메탈베어링의 국산화-국제특수금속 - 세계 최첨단의 벨연구소 기술도입-금성반도체

  • PDF

산업게시판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통권105호
    • /
    • pp.80-83
    • /
    • 2006
  • 산업자원부에서는 지난 8월 14일 핵심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중장기 기술개발사업 중“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 “중기거점기술개발사업”, “차세대신기술개발사업”의 2006년도 신규지원 안내를 다음과 같이 공고했다. 해당 기술개발과제에 대한 양식 교부와 신청서 접수는 8월 28일부터 시작하여 9월 8일까지 마감이다. |

  • PDF

반도체공장의 글로벌 전개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259호
    • /
    • pp.70-77
    • /
    • 1998
  • 미쓰비시전기는 제3세대 16비트 D램을 비롯한 0.4$\mu$m이하의 디자인룰을 갖는 ULSI를 대상으로, 직경 200mm웨이퍼 프로세스기술을 포함한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일본 국내, 대만, 독일에 양산공장을 전개하였다. 생산성이 우수한 디바이스/프로세스기술을 기반으로 저비용의 청정실 건설, 급수 등을 포함한 동력설비, 공장 자동화(FA), 컴퓨터제어식 제조공정(CIM), 북이단지구에있는 미쓰비시전기의 반도ㅔ개발거점과 각 공장간을 맺는 정보네트워크, 나아가 제조장치에 대한 철저한 저발진화와 결함관리를 위해 동사의 기술을 결집하여 생산성이 매우 높은 반도체양산공장을 글로벌하게 전개하였다. 우선 태본공장 최첨단 반도체라인(KD동)을 아주 짧은 기간에 가동시키는 소위 ''수직기동''을 실현하였다. 다음에 태본공장 KD동을 ''마더(Mother)공장''으로 하여 그대로 기술이전하는 ''Copy Exactly''라는 방법으로 이들 기술을 세계적으로 전개한 결과 대만에 있는 합병회사인 PS(Powerchip Semiconductor corporation)와 독일에 있는 생산회사 MSE(Mitsubishi Semiconducter Europe, GmbH)에서도 최첨단 반도체공장의 수직기동에 성공하였다. 이 공장은 0.25$\mu$m이후의 제품에도 대응가능하며 태본공장 KD동은 64M비트 D램으로 제품을 전환해가고 있다. 그렇게 하여 이들 공장과 개발거점을 네트워크호하여 다국적 기업에 걸맞는 세계적인 ULSI의 양산체제를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