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저리과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산 미기록종 여수둥글거저리의 보고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둥글거저리족) (First Record of Ades masidai (Nakane, 1963) from Korea (Coleoptera: Tenebrionidae: Leiochrinini))

  • 정부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75-77
    • /
    • 2013
  • 한국산 거저리과 르위스거저리아과에 속한 미기록종 Ades masidai Nakane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보고하고자 한다. 이 종에 대한, 재기재문, 진단형질 그림과 성충사진을 표시하였다.

한국산 모래거저리족(딱정벌레 목, 거저리과)의 분류학적 정리 I. 모레거저리속과 작은모래거저리과 (Taxonomic Notes of Tribe Opatrini(Coleoptera, Tenebrionidae from Korea I. Genus Gonocephalum Solier and Opatrum Fabricieous)

  • Kim, Su-Yeon;Kim, Jin-Ill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7-237
    • /
    • 2000
  • 한국産 거저리科 모래거저리屬에 속하는 2屬 (모래거저리屬과 작은모래거저리屬)에 대하여 현재가지 기록되어온 보고서들을 종합하고 과거 생물상보고서들의 기록 표본을 확인한 결과 2속 15종이 기록되어 왔으며 이들에 대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가운데 Gonocephalum sabulosum은 Opatrum subaratum의 변이를 오동정 해 온 것으로 판단하여 제외시켰고 G. japanum, G. bilineatum, G. outreyi, G. malayanum의 국내 표본은 확인하지 못하고 국외 표본을 비교 관찰하여 본 논문에서는 총 2속 14종을 보고하는 바이다. 각 종의 연구사 및 국내외 분포지역을 서술하였고 Gonocepahalum속의 검색표는 문헌 및 실제 표본을 검토하여 작성하였으며 표본을 확인한 종들의 성충사진과 해부가 가능한 웅성 외부생식기 사진을 청부하였다.

  • PDF

한국산 균식성 거저리, 도깨비거저리속(Boletoxenus Motschulsky)(딱정벌레목: 거저리과: 거저리아과: 가시거저리족)의 분류학적 검토와 숙주버섯 (Taxonomic Review of the Fungivorous Tenebrionid Boletoxenus Motschulsky, 1858 (Coleoptera: Tenebrionidae: Tenebrioninae: Bolitophagini) in Korea with Host Fungi)

  • 정부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65-269
    • /
    • 2012
  • 버섯에서 서식하는 한국산 도깨비거저리속(Boletoxenus Motschulsky)을 미기록종 아기도깨비거저리[Boletoxenus incurvatus (Lewis)]를 포함하여 총 2종으로 재검토하였다. 또한, 아기도깨비거저리의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밝혀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산 도깨비거저리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와 더불어 한국산 종들의 숙주버섯에 대한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새로운 저장곡물해충 Cynaeus angustus (LeConte) 및 저장산물의 거저리과 해충에 대한 도해검색 (First Report in Korea of the Stored Grain Pest Cynaeus angustus (LeConte) and a Pictorial Identification Key for Tenebrionid Pests in Stored Products)

  • 홍기정;윤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23-227
    • /
    • 2017
  • 북미지역에서 저장곡물해충으로 잘 알려진 거저리과의 북미쌀거저리[Cynaeus angustus (LeConte)]가 국내 여러 정미소에 발생하고 있음을 새롭게 보고하며, 이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과 유충 사진 및 진단형질과 저장산물을 검역하는 과정에서 검출되는 거저리과 해충 17종에 대하여 도해 검색자료를 제공하였다.

한국 미기록속 Palorus Mulsant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보고 (First Record of the Genus Palorus Mulsant in Korea (Coleoptera: Tenebrionidae: Palorini))

  • 홍기정;김무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1-215
    • /
    • 2015
  • 한국산 거저리과의 미기록인 Palorus Mulsant에 속하는 2종인 넓은이마쌀도둑거저리(신청)(Palorus ratzeburgii (Wissman, 1848))와 좁은 이마쌀도둑거저리(신칭)(P. subdepressus (Wollaston, 1864))를 보고한다. 이들 2종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저장곡물해충으로 중요하지만, 국내 정미소에서는 아주 낮은 밀도로 발생하고 있다. 이들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 사진, 진단형질, 저장곡물의 검역해충인 본 속의 6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공하였다.

혹거저리과(딱정벌레목) 한국미기록종 Pycnomerus vilis에 대한 보고 (Pycnomerus vilis Sharp, 1885 (Coleoptera: Zopheridae: Zopherinae) New to Korea)

  • 박상욱;류동표;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7-169
    • /
    • 2010
  • 딱정벌레목 혹거저리과 혹거저리아과 (Coleoptera: Zopheridae: Zopherinae)의 Pycnomerus vilis Sharp, 1885의 국내분포를 처음으로 확인하고, 외형 사진과 함께 형태적 특징과 조사지역 및 분포 등 종 동정에 필요한 정보를 간략히 기술하였다.

제주진주거저리(Platydema takeii Nakane)의 목이버섯 가해 (A Tenebrionid Beetle, Platydema takeii Nakane (Coleoptera: Tenebrionidae), Attacking Cultivated Wood Ear Mushroom (Auricularia auricula-judae) in Jeju, Korea)

  • 정규진;능엔 남하이;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513-517
    • /
    • 2022
  • 2021년 4월부터 8월에 제주시의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는 목이버섯에서 거저리 일종이 발견되었으며, 그를 동정한 결과 제주진주거저리 (Platydema takeii Nakane, 1956)로 확인되었다.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버섯에 있어서 거저리 해충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첫 번째 피해 사례이다. 여기서는 이 해충의 피해 증상과 성충 및 유충의 진단형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육계농장에서 외미거저리(Alphitobius diaperinus) 발생양상 보고 (Infestation Status of the Darkling Beetle (Alphitobius diaperinus) in Broiler Chicken Houses of Korea)

  • 능엔 남하이;양병근;이재선;윤종웅;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189-196
    • /
    • 2019
  • 딱정벌레목(Coleoptera) 거저리과(Tenebrionidae)에 속하는 외미거저리(Alphitobius diaperinus (Panzer))는 저장곡물해충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 이미 피해를 받은 곡물을 섭식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이 외미거저리 해충은 많은 나라의 가금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해충으로 간주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육계농장에서도 외미거저리가 발생하여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 해충의 발생으로 야기되는 문제로는 육계농장의 보온효과 및 병아리의 전반적인 활력을 떨어뜨리고, 병원균을 전염시킴으로써 가금업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주고 있다. 한편, 육계농장에서 이 외미거저리 개체군을 한 가지 방법으로 완전히 제거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압출성형 공정변수가 갈색거저리 애벌레(mealworm) 첨가 쌀 팽화 스낵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usion process variabl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rice snack with mealworm)

  • 조선영;정다혜;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44-452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감과 영양이 뛰어난 쌀 팽화 스낵 제조를 위하여, 쌀가루에 부족한 각종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저렴하고 우수한 식품 소재인 갈색거저리(mealworm)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쌀 압출성형 원료배합비는 쌀가루 100%, 쌀가루 90%에 갈색거저리 10%, 쌀가루 80%에 갈색거저리 20%로 하였고,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사출구 온도를 $130^{\circ}C$$140^{\circ}C$, 수분함량을 20%와 25%로 조절하였다. 압출성형한 후 직경 팽화율, 비길이, 조각밀도, 파괴세기 및 겉보기 탄성계수, 색도, 수분용해지수 및 수분흡착지수, 수용성질소지수, 단백질 소화율,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산패도를 측정하였다.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팽화율은 감소하였고 비길이와 밀도는 증가하였다. 온도와 수분함량에 따른 변화에서는 사출구 도가 증가하고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직경팽화율은 증가하였으며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파괴세기와 겉보기 탄성계수에서는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10%일 때 감소하였다가 20%일 때 다소 증가하였다. 또한 사출구 온도가 감소하고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상승하였다. 수분흡착지수는 갈색거저리 첨가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갈색거저리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사출구 온도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산패도는 갈색거저리의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40일 이후에도 갈색거저리 첨가 함량이 높을수록 값이 감소하였으나 값의 상승폭은 쌀 압출성형물에 비하여 다소 크게 나타났다. 쌀가루에 갈색거저리의 첨가는 쌀 스낵의 영양적인 면을 개선하고 항산화성을 부여하는 유효한 공정이며 사출구 온도를 낮추고 수분함량을 증가시켰을 때 팽화스낵으로써 조직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