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시모델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Technique of Object Extraction Based on the Legacy System Interface for the Improvement of Object Reusability (객체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레거시 시스템 인터페이스기반 객체추출 기법)

  • 이창목;최성만;유철중;장옥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72-474
    • /
    • 2004
  • 본 연구는 레거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파악하여 새로운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존 레거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객체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객체추출 기법은 인터레이스 사용사례 분석 단계, 인터페이스 객체 분할 단계, 객체구조 모델링 단계, 객체 모델 통합 단계 등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사용사례 분석 단계는 인터페이스 구조, 레거시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인터페이스 객체분할 단계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의미 있는 필드들로 구분하는 단계이며, 객체구조 모델링 단계는 인터페이스 객체들간의 구조적 관계와 협력 관계를 파악하여 모델링 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객체 모델 통합 단계는 객체 단위의 단위 모델들을 통합하여 추상화된 정보를 포함한 상위 수준의 통합 모델을 유도하는 단계다. 객체추출 기법에 의해 생성된 객체 통합 모델은 역공학 기술자들의 레거시 시스템 이해와 레거시 시스템의 정보를 새로운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Design of Integration Technology for Legacy System on Model-Driven Architecture (모델기반아키텍처(MDA) 환경에서의 레거시 시스템 통합 전략 설계)

  • Kim, Hee-Sook;Lee, Seo-Jeong;Park, Jae-Nyu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85-189
    • /
    • 2006
  •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은 개발과정에 있어서 이미 많은 시간과 경험과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조직의 핵심 가치를 지닌 재사용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자산이다. 그러므로 레거시 시스템에서 사용해 왔던 가치있는 자산들을 웹을 기반으로 한 e-비즈니스 환경에 적용시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위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레거시 시스템을 현대화(Modernization)하는 방법중의 하나로 현재 시스템에서 운용되고 있는 것을 OMG에서 제안한 모델기반아키텍처(MDA)를 사용하여 여러 플랫폼을 쉽게 지원하고 모델기반의 통합을 하고자 한다. MDA 환경을 기반으로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소프트웨어를 직접 수정 없이 재사용하거나 PSM에서 PIM 변환을 하기 위하여 래퍼(wrapper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래퍼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요구에 따라 모델에 대한 접근방식을 다르게 사용하여 시스템의 개선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래퍼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혼합(hybrid) 방식을 적용한 개선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echniques to Extract Object Based on Interface of Legacy System for Object Reusability (객체 재사용성을 위한 레거시 시스템 인터페이스 기반 객체 추출 기법)

  • Lee, Chang-Mog;Choi, Seong-Man;Yoo, Cheol-Jung;Chang, Ok-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5-248
    • /
    • 2004
  • 본 연구는 레거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정보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파악하여 새로운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존 레거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객체 추출 기법(이하 TEILOR ; Techniques to extract Object based on Interface of Legacy System for Object Reusability)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TEILOR는 인터페이스 사용사례 분석 단계, 인터페이스 객체 분할 단계, 객체구조 모델링 단계, 객체 모델 통합 단계 등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사용사례 분석 단계는 인터페이스 구조, 레거시 시스템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인터페이스 객체분할 단계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의미 있는 필드들로 구분하는 단계이며, 객체구조 모델링 단계는 인터페이스 객체들간의 구조적 관계와 협력 관계를 파악하여 모델링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객체 모델 통합 단계는 객체 단위의 단위 모델들을 통합하여 추상화된 정보를 포함한 상위 수준의 통합 모델을 유도하는 단계다. TEILOR에 의해 생성된 객체 통합 모델은 역공학 기술자들의 레거시 시스템 이해와 레거시 시스템의 정보를 새로운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An Object Extraction Technique for Object Reusability Improvement based on Legacy System Interface (객체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레거시 시스템 인터페이스 기반 객체추출 기법)

  • 이창목;유철중;장옥배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11
    • /
    • pp.1455-1473
    • /
    • 2004
  • This paper suggests a technique, TELOR(Technique of Object Extraction Based on Legacy System Interface for Improvement of Object Reusability) for reuse and reengineering by analyzing the Legacy System interface to distill the meaningful information from them and disassemble them into object units which are to be integrated into the next generation systems. The TELOR method consists of a 4 steps procedure: 1) the interface use case analysis step, 2) the interface object dividing step, 3) the object structure modeling step, and 4) the object model integration step. In step 1, the interface structure 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Legacy System are obtained. In step 2, the interface information is divided into semantic fields. In step 3, studies and models the structural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among interface objects. Finally, in step 4, object model integration step, integrates the models and improves the integrated model at a higher level. The objects integration model created through TELOR provides a more e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egacy System and how to apply it to next generation systems.

A Design Technique of Meta-Model for Reengineering from Legacy to CBD (레거시로부터 CBD로의 재공학을 위한 메타 모델 설계 기법)

  • Kim Chul-Jin;Cho Eun-Soo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8 no.3
    • /
    • pp.398-412
    • /
    • 2005
  •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migration legacy systems to new hardware platforms and to new software development paradigms. The reason is that high maintenance costs and lack of documentation. In order to migrate or transform legacy system, various approaches such as screen scrapping, wrapping, semi-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tools, and methodologies are introduced until now. However, architecture or requirements level's transformation is not suggested because most of those approaches focus on code-level transformation or a few model-level transform.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a-model driven approach applying 3D space concept, which can be applied into architecture and requirement phase. Proposed integrated model drives seamless migration or co-evolution from code to architecture of reverse engineering and from architecture to code of forward engineering.

  • PDF

A Feature-Oriented Method for Extracting a Product Line Asset from a Family of Legacy Applications (레거시 어플리케이션 제품군으로부터 제품라인 자산을 추출하는 휘처 기반의 방법)

  • Lee, Hyesun;Lee, Kang Bok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6 no.7
    • /
    • pp.337-352
    • /
    • 2017
  • Clone-and-own reuse is an approach to creating new software variants by copying and modifying existing software products. A family of legacy software products developed by clone-and-own reuse often requires high maintenance cost and tends to be error-prone due to patch-ups without refactoring and structural degrad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many organizations that have used clone-and-own reuse now want to migrate their legacy products to software product line (SPL) for more systematic reuse and management of software asset. However, with most of existing methods, variation points are embedded directly into design and code rather than modeled and managed separately; variation points are not created ("engineered") systematically based on a variability model. This approach causes the following problem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tion points, thus it is hard to maintain such code and the asset tends to become error-prone as it evolves. Also, when SPL evolves, design/code assets tend to be modified directly in an ad-hoc manner rather than engineered systematically with appropriate refactoring.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propose a feature-oriented method for extracting a SPL asset from a family of legacy applications. With the approach, we identify and model variation poin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a feature model separate from implementation, and then extract and manage a SPL asset from legacy applications based on the feature model. We have applied the method to a family of legacy Notepad++ products and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

Macro Model for Nonlinea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Walls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비선형 해석을 위한 거시 모델)

  • Kim, Dong-Kwan;Eom, Tae-Sung;Lim, Young-Joo;Lee, Han-Seon;Park, Hong-Gu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3 no.5
    • /
    • pp.569-579
    • /
    • 2011
  • Reinforced concrete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show complicated inelastic behaviors varying with aspect ratio, re-bar detail, and loading condition. In the present study, a macro model for nonlinea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walls was developed. For exact prediction of inelastic flexure-compression and shear behaviors, the macro model of the wall was idealized with longitudinal and diagonal uniaxial elements. The uniaxial elements consist of concrete and re-bars. Simplified cyclic models for concrete and re-bars under uniaxial loading was used. For verification,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slender, lowrise, and coupled wall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predicted the nonlinear behaviors of the walls with reasonable precision.

Definition of Metamodel for CBD Oriented Reengineering Methodology Development (CBD 지향의 재공학 방법론 개발을 위한 메타 모델의 정의)

  • 차정은;김철홍;양영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5-27
    • /
    • 2003
  • 재공학 방법론의 메타 모델은 재공학을 위해 수반된 다양한 범위의 여러 기술들 간의 관계성을 식별하고 추상화 함으로써, 재공학 방법론 개발자들이 일관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 원칙을 정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레거시 시스템의 재공학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 개발을 위해 메타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레거시 시스템을 새로운 시스템 환경으로의 변환 및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아키텍쳐 기반의 컴포넌트화 방법론인 마르미-RE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재공학 기술의 체계를 분석하고 방법론을 구성하는 기술 요소들을 정의하기 위한 기술적 메타 모델과, 방법론을 구성하는 업무 단위를 정의한 프로세스 메타 모델을 정의한다. 그리고, 프로세스 메타 모델에 따라 기술적 메타 모델을 전개시킴으로써 마르미-RE의 세부 단계와 활동, 작업등을 개발한다.

  • PDF

Development of Multiscale Simulation Technique for Multiphase Fluid System (다상 유체 시스템의 다중 스케일 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 Han, Min-Sub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6
    • /
    • pp.569-577
    • /
    • 2010
  • A multiscale particle simulation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to a multiphase fluid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the boundary region where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scale models overlap each other, three distinctive features are introduced in the simulation. First, a wall is set up between the gas and liquid phases to separate them and match the phases respectively to the macroscopic conditions stably. Secondly, the interfacial profile is obtained near the matching region and the wall translates and rotates to accommodate the change in the liquid-vapor interfacial position in the molecular model. The contact angle thus obtained can be sent to the macroscopic model. Finally, a state of mass and temperature in the region is maintained by inserting and deleting the particles. Good matching results are observed in the cases of the complete and partial wetting fluid systems.

Form-based Object Analysis Process by Applying Reverse Engineering in Legacy Application System (레거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폼 기반 역공학적 객체 분석 프로세스)

  • 이창목;이정열;김정옥;유철중;장옥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2-24
    • /
    • 2003
  • 레거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하 LAS: Legacy Application System)은 차세대 비즈니스 시스템들로 통합되어야 하는 가치 있는 자산이다. 이러한 LAS의 이점을 얻기 위해, 레거시 비즈니스 시스템을 역공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LAS의 폼으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파악하여 다음 세대의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도록 객체단위로 분할하여 분석한 다음,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사용 및 재공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공학적 객체 분석 프로세스(이하 FOAP)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FOAP는 4단계 즉, 폼 사용사례 분석 단계, 폼 객체 분할 단계, 객체구조 모델링 단계, 객체 모델 통합 단계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폼 사용사례 분석 단계는 폼 구조 그리고 LAS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 둥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다. 폼 객체분할 단계는 폼 정보를 의미 있는 필드들로 구분하는 단계다. 객체구조 모델링 단계는 폼 객체들간의 구조적 관계와 협력 관계를 파악하여 모델링하는 단계다. 마지막으로 객체 모델 통합단계는 객체 단위의 단위 모델들을 통합하여 추상화된 정보를 포함한 상위 수준의 통합 모텔을 유도하는 단계다. FOAP에 의해 결과적으로 생성된 객체 통합 모델은 역공학 기술자들의 LAS 이해와 LAS의 정보를 새로운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있어 좀 더 용이한 효율성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