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시경제변수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주식(株式)의 가격결정요인(價格決定要因)에 관한 실증적(實證的) 연구(硏究)

  • Gam, Hyeong-Gy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8 no.2
    • /
    • pp.131-164
    • /
    • 1991
  • 주식시장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시경제변수(巨視經濟變數)들과 국민경제의 중요한 한 부분인 주식시장(株式市場)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주식시장이 건전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식수익률의 횡단면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유의적인, 즉 '가격화(價格化)'된 거시경제변수(巨視經濟變數)를 발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식평가모형과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식수익률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1개의 거시경제변수를 선정한 후, 실증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가격화(價格化)'된 거시경제변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주식수익률(株式收益率)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1개의 거시경제변수(巨視經濟變數)들을 요인분석하여 6개의 공통적 특성으로 압축 요약한 후, 각 차원(요인)을 가장 잘 대표하는 6개의 거시경제변수(대용변수)(巨視經濟變數(代用變數))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에 의해서 추출된 6개의 거시 경제변수와 주식수익률로 Fama & MacBeth(1973) 방법과 유사한 2단계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주식수익률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격화'된 거시경제변수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거시경제변수 중 산업생산지수증가률(産業生産指數增加率), 회사채류통수익율(會社債流通收益率) 그리고 종합주가지수수익률(綜合株價指數收釜率)등 3개의 거시경제변수가 주식수익률의 횡단면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유의적인 또는 '가격화'된 경제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Forces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Air Transport Firms (거시경제 및 비 거시경제변수가 항공운송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Su-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3
    • /
    • pp.352-36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act of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force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air transport firms and offer the useful information to the managers. To conduct the regression analysis, eight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were selected individual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Macroeconomic variables were the return of corporate bond, West Texas Intermediate, the unemployment rate, the money supply, the trade balance, the won to USD exchange rate, the consumer price index and the index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were Taiwan earthquake, the Asian economic crisis, the 911 terrorist attacks in the US, the Iraq war, Beijing Olympic, the outbreak of a swine flu epidemic, the 1st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2nd presidential election. And ROA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nging rates of won to USD exchange rate and consumer price index affected the changing rate of ROA significantly. And also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impact of two significant macroeconomic variables and eight non-macroeconomic variables on the changing rate of ROA, it was found that the Asian economic crisis and the outbreak of a swine flu epidemic had a negative impact on it. Therefore managers should take note of a change in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carefully to improve the management performance.

Long-term Relationships of KOSPI, BSI, and Macro Economic variables (주가.기대심리.거시경제변수의 장기균형 관계 :Cointegration을 중심으로)

  • Chang, Byoung-Ky;Choi, Jong-Il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2
    • /
    • pp.125-144
    • /
    • 2001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경제변수로 설명할 수 없는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요소가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주가와 거시경제변수 및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간의 장기 균형 및 동학구조관계를 분석한다. 주가는 기업의 내재가치를 나타내며 이는 상당부분 현재와 미래의 경제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미래경제상황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으나 경제 주체들은 미래경제상황을 예측하게 되며 그 예측은 주가에 반영될 수 있다. 검증결과 BSI 전망치와 같은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가 주가결정에 가장 중요한 단일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변량 공적분검증을 실시한 결과 실질주가지수는 BSI와 장기균형관계에 있는 반면 다른 거시경제변수와는 공적분관계에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공적분분석에서도 BSI가 포함된 경우에만 KOSPI/P와 장기균형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벡터오차수정모형으로 동태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변량과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이들 두 변수의 오차수정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장기균형으로부터 이탈에 대하여 상호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베타의 변화(變化)와 거시경제변수(巨視經濟變數)간의 관계(關係) 분석(分析)

  • Kang, Jong-Man;Choi, Un-Yeol;Lee, Deok-H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37-158
    • /
    • 1996
  • 주식투자에 따른 체계적 위험인 베타는 실증분석에 따르면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이지만 단기적으로는 불안정하다. 본 연구에서는 3개월과 1년의 기간별로 추정된 규모별 및 업종별 포트폴리오 베타의 불안정성을 검토하고, 베타의 불안정성을 설명할 수 있는 거시경제변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베타추정시 시장수익률의 선택이 실증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시장수익률로서 종합주가지수 수익률과 산술평균 수익률을 이용하여 베타를 추정하고, 이를 이요한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장수익률로서 종합주가지수 수익률보다는 산술평균 수익률을 사용한 경우에 분석결과에 논리적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규모별 포트폴리오 베타와 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금리차이와 수출비율은 소기업 포트폴리오 베타와는 음의 관계를, 대기업 포트폴리오 베타와는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회사채금리는 소기업 포트폴리오 베타와 양의 관계를, 대기업 포트폴리오 베타와는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거시경제변수와 업종별 포트폴리오 베타와의 회귀분석에서는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가 일부 포트폴리오 베타와는 양의 관계를, 다른 포트폴리오 베타와는 음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 PDF

Stock Market and Economic Forces : Evidence from Korea (우리나라 증권시장과 거시경제변수 - VECM을 중심으로 -)

  • Jung, Sung-Cha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1
    • /
    • pp.137-159
    • /
    • 2000
  • 재무경제학에서 많은 연구들이 주식가격과 거시경제활동과의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점증하고자 하였다. 이 분야에서 지금까지 주로 ARMAX 모형이나 VAR 모형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주식가격과 거시경제변수들간의 장기적인 균형관계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VECM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증권시장과 거시경제변수들간의 장기적인 균형관계를 규명하고자 함에 있다. 검증결과, 모든 변수들의 시계열이 불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된 관계로, 다변량시계열의 공적분 관계를 검증하는 Johansen 검증을 VECM 모형의 구조 안에서 실시하였다. 종합주가지수와 거시경제변수들간에는 장기적 안정관계를 나타내는 공적분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주가지수와 거시경제변수들간의 관계는 대부분 이론적인 관계에서 예상하는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갖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그리고, VECM의 설명력이 종래에 주로 사용하였던 VAR 모형의 설명력보다 더 우월하게 나타났다.

  • PDF

VECM모형을 이용한 거시경제변수와 주가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Hwang, Seon-Ung;Choe, Jae-Hyeo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2 no.1
    • /
    • pp.183-21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적분 검정과 예측오차 분산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주가지수와 거시경제 변수들과의 계량적 관계를 파악하고 종합주가지수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변수를 사용하여 종합주가지수와 거시경제변수들 사이의 모형을 추정하는 것이다. Johansen 공적분 검증을 이용한 결과를 보면 종합주가지수와 7개의 거시경제변수들(총통화, 소비자물가지수, 금리, 산업생산지수, 원 달러 환율, 국제원유가격, 경상수지) 사이에 상당히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이들 변수들 사이에 장기적 균형 관계가 존재하였다. 예측오차 분산분해 방법을 사용한 분석결과에서는 종합주가지수의 분산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이들 거시경제변수들의 설명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에서는 금리, 국제원유가격, 경상수지 등의 요인보다는 원 달러 환율, 소비자물가지수, 산업생산의 비중이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자본시장에서는 1997년 말 외환위기를 전후로 하여 현저한 구조적 변화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백터오차수정모형을 설정할 때에는 외환위기 이전기간과 이후기간으로 나누어서 분석하는 것이 더욱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거시경제변수(巨視經濟變數)와 주가(株價) - 한국주식시장(韓國株式市場)에서의 실증분석 -

  • Jeong, Gi-U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8 no.2
    • /
    • pp.111-129
    • /
    • 1991
  • 본 논문에서는 재정가격결정모형(裁定價格決定模型)(Arbitrage Pricing Model)을 기초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거시경제변수가 무엇인가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론면에서는 과거변수(過去變數)(lagged variables)에 의해서만 기대치를 형성시키는 AIRMA(Autoregressike Integrated with Moving Average) 방법을 이용하기보다는 마코프속성(屬性)(Markov Property)을 갖는 상태공간모형(狀態空間模型) (State Space Model)을 이용하여 보다 합리적인 거시경제 요인의 이노베이션을 하였다. 또한 단순한 요인분석(要因分析)(factor analysis)에 의한 요인추출은 요인의 표본의존성(標本依存性)(Sample dependency)이 심하므로 그룹간 요인분석(inter-battery factor analysis)을 행하여 추정(推定)된 요인(要因)(요인값 : factor score)과 요인수를 결정하여 관련 거시경제변수를 선택한다. 그룹간 요인분석을 위한 그룹을 형성할 때 그룹내에서는 동질성을 그룹간에는 이질성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군집분석(群集分析)(Cluster Analysis)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요인(巨視經濟要因)으로 단위노동비율, 제조업제품재고지수, 채권프리미엄, 수출물가지수, 정부부문 통화공급, 회사채수익률, 종합주가지수 등 7가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PDF

Stock Volatility and Derivative Trading (주가 변동성과 파생상품거래)

  • Jaang, Dae-H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4
    • /
    • pp.63-81
    • /
    • 2009
  •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stock volatility and volatilities of macroeconomic variables and financial derivative trading.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tock volatility has been much greater than volatilities of macroeconomic variables, and their explanatory powers are too weak to confirm hypothesized theoretical relation between stock volatility and macroeconomic volatilities. The test for the relation using Korean data since 1980 verified such a finding. It is argued that this may have been the result from omitting the influence of financial activities on stock volatility. In particular,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by including the volatility of financial derivative trading, stock volatility-macroeconomic volatility relation can not only be explained better, but also the hypothesized significance of macroeconomic volatilities can be restored.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l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Macro Economics/Demographics and the Stock Prices in Korea (거시 경제 및 인구통계적 변수와 주가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모형 탐색 연구)

  • Jeong, Ki-Man;Park, Hyun-S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389-392
    • /
    • 2012
  • 주식시장은 자본주의 경제에 있어서 기업에게는 자본조달의 창구라는 기능을, 일반 투자자에게는 투자기회를 제공하고 국민경제적 입장에서는 자산과 부의 재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경제를 이루는 거시경제학적 변수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일부 연구자들은 거시 경제변수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한편 주식시장에 있어서 인구통계학적 변수 역시 의미있는 변수이다. 특히 주식시장에 투자자로 직접 참여하는 투자자수는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단지 일부 거시경제학적 변수만의 효과를 다루었던 연구와 달리 인구통계학적 변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들 변수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정리하고 모형 도출을 위한 선행연구이다.

  • PDF

Time series models on trading price index of apartment and some macroeconomic variables (아파트매매가격지수와 거시경제변수에 관한 시계열모형 연구)

  • Lee, Hoonj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6
    • /
    • pp.1471-1479
    • /
    • 2017
  • The variability of trade price index of apartment influences on the various aspect, especially economics, social phenomenon, industry, and culture of the country. In this article, the autoregressive error (ARE) model has been considered for analyzing the monthly trading price index of apartment data. About 16 years of the monthly data have been used from September 2001 to May 2017. In the ARE model, six macroeconomic variables are us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rade price index of apartment. The six explanatory variables are mortgage rate, oil import price index, consumer price index, KOSPI stock index, GDP, and GNI. The result has shown that trading price index of apartment explained about 76% by the mortgage rate, and KOSPI stock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