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미낭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거미낭으로 일과성 정신병 유발이 의심되고 리스페리돈 치료에 효과적이었던 증례 (A Case of Transient Psychosis Suspected to be Induced by Arachnoid Cyst, Which was Responsive to Risperidone)

  • 박원명;배치운;전태연;김광수;유태열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153-155
    • /
    • 2001
  • There had been few reports of arachnoid cyst accompanying psychiatric disturbance and no report treated with low-dose risperidone administration. We report a patient, developed first-transient psychotic episode considered to be provoked by an arachnoid cyst, responsive to risperidone, which was found in the middle cranial fossa as follows. A 57-year-old man was admitted by suddenly developed headache, auditory hallucination, delusion of persecution and, an arachnoid cyst in the anteromedial aspect of middle cranial fossa was found on MRI after admission. The psychotic episode was first to him and he was also negative to other clinical evaluation including endocrine abnormality, his psychotic symtom was suspected to be induced by arachnoid cyst and was well controlled to low-dose risperidone administration. He left hospital free from psychotic symptoms on 14 hospital days.

  • PDF

한국산 어리개미거미속 (거미목, 깡충거미과)의 재기재 (A Revision of the Genus Synagelides Strand, 1906(Araneae, Salticidae) in Korea)

  • Kim, Byung-Woo;Kim, Joo-Pil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2호
    • /
    • pp.183-190
    • /
    • 2000
  • 한국산 어리개미거미속의 2종, 어리개미거미 (Synagelides agoriformis)와 월정어리개미거미 (S. zhilcovae)을 정확한 그림과 검색표와 더불어 재기재하였으며 이중 월정어리개미거미는 한국미기록종이다. 이들은 생식구, 생식관 그리고 수정낭의 위치와 모양에 의해 쉽게 동정할 수 있다.

  • PDF

한국산 Neon속(거미목, 깡충거미과)의 1신종 (A New Species of Genus Neon (Araneae, Salticidae) from Korea)

  • Seo, Bo-K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3호
    • /
    • pp.323-327
    • /
    • 1995
  • 신종 Neon rostratus(부리네온깡충거미: 신칭)를 그림과 함께 기재한다. 이는 기지종 중 N. avalonus와 제일 비슷하나, 암컷의 수정낭 크기에서 쉽게 구분되며, 수컷의 경우는 교비기관의 사정관 끝부분 구조에서 기존의 모든 Neon속의 종들과 잘 구분된다, 이로서 한국산 Neon속의 거미는 2종이 된다.

  • PDF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 Koch) (Fine Structural Study on the Capture Threads-producing Organs in Nephila clavata L. Koch (Araneae: Araneidae) II. Flagelliform Glands)

  • 문명진;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54-364
    • /
    • 1990
  • 무당거미의 많은 견사선들 중에서 포획사를 만들어내는 한쌍의 편상선은 분비관과 분비양, 그리고 말단분비부로 이루어져 있었고, 두쌍의 수상선과 함께 후방적돌기에서 triad 복합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강한 섬유를 생성하기 위해 분비관은 길게 신장되어 있었고, 토사관과 근접된 원위부의 내벽에는 수분의 흡수와 관련된 subcuticle층이 비후되어 있었으며 분비낭에 가까운 근위부에서는 큐티클 전구물질의 수송현상이 관찰되었다. 분비낭의 상피는 원주상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세포질에 구형의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부위에 따라 과립의 형태와 전자밀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포획사의 주성분을 분비하는 말단분비부의 선상피세포에는 조면소포체가 특이적으로 발달되어 있었고, 생성된 견사물질은 이출분비의 기작에 의해 내강으로 방출되었다.

  • PDF

나노섬유 방사노즐 설계를 위한 거미 실크 방적장치의 생체모사 분석 (Biomimetic Analysis on the Spider Silk Apparatus for Designing the Nanofiber-spinning Nozzle)

  • 문명진;김훈;박종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67-76
    • /
    • 2012
  • 고강성 나노섬유 생산이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방사노즐의 설계를 위해 자연을 모방하는 공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Koch) 대병상선의 토사관과 그 생체방적 시스템이 지닌 미세구조적 특성을 고해상도의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연계에서 가장 강도가 높은 드래그라인을 생성, 분비하는 대병상선의 토사관은 bullet type spigot을 통해 전방적돌기 표면에 개구되어 있었으며, 신축성 구조를 지닌 토사관 말단마디의 노즐을 통해 고체상의 실크가 생성되었다. 분비낭과 토사관 사이를 연결한 분비관은 루프를 형성한 후 방적돌기에 수납되었고, 분비관 내강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축소되어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실크의 직경은 펀넬 부위의 1/10 이하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실크 중합과정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큐티클의 특수구조가 관찰되었는데, 분비낭의 펀넬 부위에서는 해면상 큐티클 구조가 그리고 분비관의 말단부에서는 비후된 subcuticle 구조와 함께 잘 발달된 상피의 미세융모 층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비관의 내강부 큐티클 표면에서 확인된 나선형 강선구조는 실크 전구물질의 신속한 유동을 촉진하는 장치일 것으로 해석되었다.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 Koch) 병상선(甁狀腺)의 미세구조(微細構造) II. 대병상선(大甁狀腺)의 분비낭(分泌囊)과 말단분비부(末端分泌部) (Ultrastructure of the Ampullate Gland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ta L. Koch II. Sac and Tail Portion of the Large Ampullate Gland)

  • 문명진;김창식;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8권2호
    • /
    • pp.91-101
    • /
    • 1988
  • The ultrastructure of the sac and tail portion of the large ampullate gland and production of the silk materials in the orb web spider, Nephila clavata L. Koch, are studied with electron microscope. Large ampullate glands, the largest glands among the seven kinds of silk glands in this species, are composed of three parts which are the excretory duct, the storage sac and the convoluted tail. The wall of the sac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of columnar epithelial cells. In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several kinds of the secretory granules, which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a and had characteristic crystalloid, are seen. According to the morphology and internal textures of these granules, the sac portion is subdivided into proximal(connected with the convoluted tail) and distal(connected with excretory duct) portion. Between these two portions, the proximal portion is longer than the distal by four times. Silk materials, being synthesized to the shape of secretory granules, within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 of the tail portion are released to the inner cavity by the mechanism of the eccrine secretion. These secretory granules are originated from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a of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whereas no Golgi complexes has been found in any of the cells which have been exam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