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거대과학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for Establishment of 3P-based Big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Localization Strategies of Core Components for Heavy-Ion Particle Accelerator (3P기반 거대과학 기술개발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 중이온 입자 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 Yun, Seong-Uk;Kim, Yu-Bin;Choe, Won-Jae;Do, Hyeon-Su;Gwon, Su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33-1549
    • /
    • 2017
  • 정부 R&D성과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중장기 국가 재정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각 연구 기관의 시도들이 있어 왔다. 연구사업의 발굴, 기획 및 수행에 있어 효과적인 정부 R&D 예산의 배분, 우선순위를 도출, 기술개발 전략 수립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 재정사업인 국가 R&D사업은 국가 기간산업을 활성화하고 경제발전을 수반할 수 있는 중요한 모멘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R&D사업의 한 축인 거대과학은 최첨단 기술의 개발과 미래성장동력의 발굴이라는 대명제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거대과학 연구는 그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학의 과학자,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원, 기업의 엔지니어가 함께 참여하여야 하고 대규모 국가 예산을 동원하는 과학 연구 사업이다. 이는 대규모 예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집중적 투자가 수반된다면 단기적으로 기초과학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다. 이것은 산업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그 분야 자체로 하나의 산업생태계를 구성하고 요소 기술들의 응용으로 파생기술이 전파된다면 새로운 신산업 창출 등 국가산업에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인력과 대규모 투자 그리고 중장기 프로젝트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패 가능성도 높아 전략적 선택 및 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대과학의 기술개발전략의 수립을 위하여 중이온 입자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R&D추진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또한, 논문, 특허를 기반으로 한 3P분석을 통하여 중이온 가속기 핵심부품의 국산화 전략을 제안하고, 추진 우선순위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olitical Bias in Large Language Models and Implications on Downstream Tasks (거대 언어 모델의 정치적 편향과 하위 작업에서의 영향)

  • Jeong yeon Seo;Sukmin Cho;Jong C. Par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52-557
    • /
    • 2023
  • 거대 언어 모델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높아지며 인간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 과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윤리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지닌 여러 가치관 중에 정치에 초점을 둔다. 거대 언어 모델의 정치 성향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할 수 있는지와 하위 작업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두 개의 실험을 설계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에는 거대 언어 모델의 정치 성향을 입력 대조군으로, 세가지 다른 입력 (탈옥 기법, 정치 페르소나, 탈옥 페르소나)을 입력 실험군으로 규정하였다. 실험 결과, 거대 언어 모델의 정치 성향은 탈옥 기법에서 가장 큰 폭으로 변화하였고, 정치 페르소나와 탈옥 페르소나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아, 거대 언어 모델에 내재된 정치 성향의 영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위 작업에서의 실험을 통해 변화된 정치 성향은 하위 작업의 성능 개선을 가져올 수 있으며, 각 실험군에 따라 하위 작업에서 다른 방식의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제 모델이 사용될 때 개인화된 응답보다는 모델이 선호하는 응답을 받게 되며, 거대 언어 모델의 정치 성향이 사용자에게 여과없이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riority of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the Business Ecosystem of Big Science: With a Focus on Nuclear Fusion and Accelerator Devices (거대과학 산업생태계 활성화 전략의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핵융합과 가속기 장치를 중심으로)

  • Cho, Wonjae;Kim, Youbean;Tho, Hyunsoo;Chang, Hans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4
    • /
    • pp.1163-1186
    • /
    • 2013
  • Big science such as nuclear fusion accelerators shares the characteristic of requiring long-term and massive budget input, human power, and related state-of-the-art technology. Because big science, by nature, thus requires large-scale budgets and facilities yet harbors the possibility of failure, most projects are led by the government. When the actual circumstances are examined, however, such projects are often implemented through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relations with small and medium businesses (SMBs) possessing outstanding technological capacity. On the other hand, the reality is that the entry of corporations into the business ecosystem of big science is not easy and that even those that have once entered big science likewise fail to find sales outlets for technology that they have developed following the supply of single items, thus leading their technological capacity to lie idle. Consequently, based on an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present study seeks to propose strategies for activating the business ecosystem of nuclear fusion and accelerators and to present alternatives regarding which policy tasks must be pursued first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The present study derived the four policy alternatives of approach, care, expansion, and infra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o activate the business ecosystem of nuclear fusion and accelerators and analyzed their priority in terms of urgency and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which were, in this order: care-approach-expansion-infrastructures. The significance of such research results lie in presenting the policy direction when the government determines which policy task must be pursued first and implements strategies for the activation of the business ecosystem of nuclear fusion and accelerators with limited financial resources in the future.

  • PDF

거대망원경 시대와 한국 광학천문학의 미래 전망

  • Park, Byeong-G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7.4-28
    • /
    • 2011
  • GMT 거대망원경 개발사업 참여를 계기로 한국의 광학천문학은 비약적인 발전의 계기를 맞게 되었다. 거대망원경의 개발을 위한 첨단 광학 및 광기계 기술 확보와 더불어 이 망원경을 이용한 세계적인 연구 성과의 창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2011년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GMT, TMT, E-ELT 등 세 개의 거대 망원경 개발사업은 2020년대 초반이면 완료될 전망이다. 이 발표에서는 거대 망원경 가동이 가동되기까지의 세계 천문학계 연구 동향과 거대망원경 시대의 전망을 조망함으로써 우리나라 광학천문학 분야의 중기 및 장기적 미래 전망에 대하여 고찰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Visualization Server for Real-time Visualization of Massive Dataset (거대 데이터의 실시간 가시화를 위한 분산 가시화 서버의 설계 및 구현)

  • Lee, Joong-Youn;Kim, MinAh;Hur, 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467-470
    • /
    • 2011
  • 일반 PC의 메인 메모리에 올릴 수 없는 거대 용량의 데이터의 경우 가시화를 통한 해석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거대 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분산 환경에서의 가시화 서버의 설계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시화 서버는 가시화 관리자, 네트워크 관리자, 데이터 관리자로 구분되며 이들 관리자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가시화 서비스 제공, 거대 데이터의 실시간 동적 데이터 분할 및 할당 및 실시간 가시화를 지원한다.

A Proposal of Evaluation of Large Language Models Built Based on Research Data (연구데이터 관점에서 본 거대언어모델 품질 평가 기준 제언)

  • Na-eun Han;Sujeong Seo;Jung-ho 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0 no.3
    • /
    • pp.77-98
    • /
    • 2023
  • Large Language Models (LLMs) are becoming the major trend i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ield. These models were built based on research data, but information such as types, limitations, and risks of using research data are unknown. This research would present how to analyze and evaluate the LLMs that were built with research data: LLaMA or LLaMA base models such as Alpaca of Stanford, Vicuna of the large model systems organization, and ChatGPT from OpenAI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data. This quality evaluation focuses on the validity, functionality, and reliability of Data Quality Management (DQM). Furthermore, we adopted the Holistic Evaluation of Language Models (HELM) to understand its evaluation criteria and then discussed its limitations. This study presents quality evaluation criteria for LLMs using research data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