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거골하 관절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5초

거골 골연골 병변에 대한 미세 골절술 실패 후 2차 치료로서 자가연골 세포 이식술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as a Secondary Procedure after Failed Microfracture for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 김진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0
    • /
    • 2015
  • Microfracture as a reparative strategy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an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Although the results of microfracture are generally excellent, at least 30% of patients who received microfracture have acute or chronic ankle pain with several or unknown cause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unsatisfactory outcome after microfracture is the size of the lesion. For failed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the second options are 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or re-microfracture.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as a second procedure for failed microfracture and compare its clinical outcome with other method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소아 편평족의 감별진단과 치료 (The Pediatric Flatfoot : It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 김현우;박진;강응식;박희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101
    • /
    • 2001
  • 편평족은 내측 세로궁이 소실되어 족저부가 편평하게 되는 변형의 총칭으로, 소아에서 흔하 고 보호자들의 관심이 많은 질환이다. 이학적 검사상 후족부의 외반과 전족부의 외전소견을 보이며, 감별질환을 위해 정확한 이학적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필요로 한다. 원인으로는 유연성 편평족, 종골 외반, 선천성 수직 거골, 부주상골, 족근골 결합등이 있으며 정상적 유 아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저절로 호전되는 유연성 편평족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병적 편평족이 아닌 경우 편평족의 원인과 양호한 자연경과를 보호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아 편평족의 감별질환을 위한 각 질환에 있어서의 이학적 소견과 검사소견 그리고 이들의 치료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거골의 골연골 병변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 이근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8
    • /
    • 2012
  •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are isolated cartilage and/or bone lesions that are known cause of chronic ankle pain. They can occur as the result of a single acute ankle injury or from repetitive loading of the talus. Technical development in radiologic imaging and ankle arthroscopy have improved diagnostic capabilities for detecting osteochondral lesions.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in assessing an osteochondral lesions include: the size, the type (chondral, subchondral, cystic), the stability, the displacement, the location, and the containment of lesion. Nonoperative treatment involving period of casting and non-weight-bearing is recommended for acute, non-displaced osteochondral lesions in select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Operative treatment is recommended for unstable lesions or failed conservative management. Marrow stimulation techniques (abrasion chondroplasty, multiple drilling, microfracture), osteochondral autograft or allograft,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are frequently employ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historical background, etiology, classification systems, diagnostic strategies, and to describe a systematic approach to management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거골 골연골 병변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 (Current Updates in Treatment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 박영환;김재영;김학준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51
    • /
    • 2019
  •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there are a lack of definite evidence-based treatment protocols. Several types of treatments are available, each having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irst-line therapy consists of well-conducted conservative treatment. Surgical treatment is the second choice. Treatments are chosen based on the size of the lesion, location, chronicity, and the condition of the neighboring cartilage.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updates in the treatment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to help clinicians use the available treatment strategies more efficiently.

심한 후족부 변형 및 경거종골간 관절염에서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의 가치 (Value of Tibiotalocalcaneal Arthrodesis Using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n Severe Hindfoot Deformity and Arthritis)

  • 박재구;정형진;배서영;이정환;김휘영;이준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3-140
    • /
    • 2019
  • 목적: 심한 후족부 변형 및 족관절 및 거골하 관절염에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여 방사선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한 후족부 변형이나 진행된 관절염으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 받은 22명(22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7.4세(22-82세), 평균 추시 기간은 29.6개월(12-74개월)이었다. 방사선적 평가로 수술 전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 후족부 정렬각, 시상면상 정렬각을 측정하였으며, 술 후 골유합 시기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또한 변형각 10°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4명에서 17.8°±14.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6.6°였다. 술 후 모든 예에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평균 후 족부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2명에서 15.2°±10.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4.2°였다. 술 후 94.4% (17명)에서 후족부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방사선적 골유합은 90.9%에서 평균 19.2주(12-32주)에 이루어졌으며, 2예의 불유합이 있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술 후 평균 VAS 및 AOFAS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1, p<0.001). 술 전 변형각 10° 이상의 심한 변형을 보인 경우에도 술 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과 후족부 정렬각은 의미있게 교정되었다(p<0.001, p<0.001). 또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이 10° 이상인 군과 10° 미만인 군 사이에 술 후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62). 결론: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은 만족스러운 변형 교정력, 높은 골유합률과 낮은 합병증을 보였으며, 임상적 결과의 향상을 보였기에 유용한 수술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특히 심각한 족관절 및 후족부 변형을 동반한 환자에서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족관절의 골-연골성 골극증 - 족관절 전방 충돌 증후군 - (Osteochondral Ridge of Ankle Joint -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of Ankle Joint -)

  • 이승구;우영균;송석환;권순용;이화성;정진화;오재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74
    • /
    • 2002
  • 목적 : 중년기이후의남성에서, 경골 원위 관절면의 전방이나, 거골경부의배부, 또는거골과경골의원위부관절면양측에골극이발생하여족관절배굴장애와통증을호소하는소위,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족관절전방부위골-연골성골극증)의수술경과및방사선학적검사상골극발생부위의특이성을알아보고자한다. 대상및방법 : 1994년3월부터2001년3월까지본대학부속성모병원정형외과에서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으로진단되어수술가료한14명17족관절(양측3예)를대상으로하였다. 14명17족관절(양측이환3예)중우측이13예, 좌측이4예였고, 14명모두남자였고, 평균연령은47세였다. 명백한족관절외상력은없었으나, 족관절통증(특히배굴시)과쪼그려앉기장애가주소로서평균15개월(4개월$\~$3년11개월) 이상증상이계속되었고, 특별한운동기왕력은없었다. 수술전X-선, 배굴및척굴위측방X-선, CT그리고, 술후X-선과임상과정을최단18주에서최장26개월(평균13개월)까지추적하였다. 결과 : 족관절측부X-선상거골골극이10예로가장많았고, 경골골극이5예(유리골편2례), 그리고거골과경골양측골극형성이2예였다. 14예는족관절전측방도달법을이용하여골극및유리골편을절제하였고, 나머지3예는관절경을이용하였다. 술 후 2주경부터는일상생활보행을허용하였으며, 수술후평균13개월추적조사에서골극이나충돌증후군의재발은없었다. 결론: 족관절전방충돌증후군은운동량이많은중년기남자에빈발하며, 거골경부전방의골극형성이주요원인이었다. 족관절배굴및척굴X-선및CT가진단에도움이되며수술적으로골극을제거하여치료할수있었다.

  • PDF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간의 임상결과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modified Brostrom procedure using single and double suture anchor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 손현철;조병기;김용민;김동수;최의성;박경진;박지강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9-77
    • /
    • 2011
  • 목적: 만성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 환자에 대한 변형 Brostrom 술식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기법간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을 시행받은 환자들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동일한 술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단일 봉합나사를 이용한 경우가 17예,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경우가 20예 였다.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Karlsson 점수 및 Sefton의 평가법을 이용하였고, 발목관절의 기계적인 안정성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로 Telos 기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및 내반 스트레스 검사가 이용되었다. 결과: Karlsson 점수는 단일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45.2점에서 술 후 89.4점으로, 이중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46.4점에서 90.5점으로 각각 호전되었다. Sefton 평가법상 단일 봉합나사군은 우수가 7예, 양호가 8예, 보통이 2예 였고, 이중 봉합나사군은 우수 8예, 양호 10예, 보통 2예로 나타나 각각 15례(88.2%), 18례(90%)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스트레스 방사선검사 상 거골 경사각과 거골 전방전위는 단일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13.6도, 8.6 mm에서 술 후 최종 추시시 5.4도, 4.1 mm로, 이중 봉합나사군이 술 전 평균 14.1도, 8.4 mm에서 술 후 3.9도, 4 mm로 각각 호전되었으며 두 기법간에 술 후 거골 경사각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만성 발목관절 외측 불안정성에 대한 변형 Brostrom 술식에서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기법간에 술 후 임상 결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발목관절의 기계적인 안정성은 이중 봉합나사군에서 더 우수하였다. 단일 봉합나사와 이중 봉합나사를 이용한 변형 Brostrom 술식 모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결과 및 생역학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거골하 유합술 시 전방 및 후방 관절면 고정술식과 후방 관절면 단독 고정술식의 비교 (Comparison of Posterior Fixation Technique and Anterior-Posterior Fixation Technique in Subtalar Arthrodesis)

  • 정홍근;조형원;박현우;박종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6-122
    • /
    • 2012
  • Purpose: Subtalar arthrodesis has been the gold standard for the painful subtalar joint disorders. Successful subtalar arthrodesis requires fusion of the 3 facet joi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 of the posterior fixation (P2) and anterior-posterior (A1P1) fixation technique for subtalar arthrodesis which enhance anterior and middle facet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s based on the 20 feet (19 patients) of the subtalar arthrodesis utilizing cannulated screws from September 2006 to September 2009 with at least 1-year follow-up. Two fixation techniques were utilized for the subtalar arthrodesis: 1) posterior fixation only (P2, 7 feet, 35%) and 2) anterior-posterior (A1P1) fixation method (13 feet, 65%). Visual Analog Scale Pain (VAS) scor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ore (maximum: 94 points), the time for returning to daily living and the patient satisfaction were also evaluated. Results: Average follow-up period were 13.2 months (12-3 mo). The AOFAS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 average 45 (0-68) to 81.6 (62-94), while VAS score was decreased from average 8.0 (3-10) to 1.8 (0-5) at final follow-up. Ninety-five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surgery. All the patients returned to daily living at average 7.2 months (2-15 mo) post-surgery. Radiographically, 2 techniques both showed 100% fusion of the posterior compartment of the subtalar joi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low grade infection and 1 case of sural nerve neuralgia. Conclusion: The subtalar arthrodesis using A1P1 fixation technique showed better fusion rate of the anterior compartment of the subtalar joint compared to P2 fixation technique although the 2 techniques both showed similar favorable clinical outcome. Therefore the A1P1 fixation technique is found to be a viable option to address chronic painful subtalar joint disorders to enhance the anterior compartment fixation.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이 실패한 거골의 골연골 병변에 대한 치료로서의 재차 미세골절술 (Redomicrofracture as a Treatment for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after the Failure of Arthroscopic Microfracture)

  • 최우진;박광환;이모세;정광호;이진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3-46
    • /
    • 2015
  • Arthroscopic treatment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effective improvement of ankle function when used in treatment of small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however, favorable long-term results have been less predictable for large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In cases in which primary arthroscopic treatment fails, the decision regarding which subsequent technique to choose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as good clinical outcomes may be unlikely for such patients irrespective of the surgical technique used. Redomicrofracture should be used judiciously for treatment of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in which arthroscopic treatment has failed.

거골 골연골병변의 수술적 치료: 관절경적 골수 자극술(다발성 천공 또는 미세 골절술) (Operative Treatment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Arthroscopic Bone Marrow Stimulation (Multiple Drilling or Microfracture))

  • 곽희철;은일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8-54
    • /
    • 2020
  •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OLT) is a broad term used to describe an injury or abnormality of the talar articular cartilage and adjacent bone. Various terms are used to describe this clinical entity, including osteochondritis dissecans, osteochondral fractures, and osteochondral defects. Several treatment options are available; the choice of treatment is based on the type and size of the defect and the treating clinician's preference. Arthroscopic microfracture (a bone marrow stimulation technique) is a common and effective surgical strategy in patients with small lesions or in those in whom non-operative treatment has failed.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aims: 1) to review the historical background, etiology, and classification systems of OLT; 2) to describe a systematic approach to arthroscopic bone marrow stimulation for OLT; and 3)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useful for assessing osteochondral lesions, including age, size, type (chondral, subchondral, cystic), stability, displacement, location, and containment of the le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