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갱생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ssess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avoiding water pipeline accidents by repairing pipelines (갱생사업의 관로사고 피해저감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 Choi, Hyo Yeon;Ryu, Mun Hyun;Choi, Han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6-126
    • /
    • 2017
  • 수도권 광역상수도는 관로 매설 이후 30년 이상 경과하여 수도관로 사고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노후관로를 갱생하여 사고예방과 용수공급 안정성 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사업의 수행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사업 시행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편익에 대한 정량적 정보가 필요하다. 노후관로 갱생사업의 경제적 편익은 크게 관로사고 피해저감 편익과 복구비용 절감편익으로 구분되는데 후자는 공학적 접근을 통해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는 반면에, 전자는 평가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건부 가치측정법이라는 경제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관로사고 피해저감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수도권 광역상수도 갱생사업의 수혜지역 주민 600 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수도권 광역상수도 갱생사업이 시행되지 않을 경우 관로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한 후, 관로사고를 막기 위한 지불의사액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관로사고 피해 회피를 위한 가구평균 지불의사액은 톤당 약 41.7원이었다. 이 정보는 노후관로 갱생사업에 대한 의사 결정시 활용할 수 있다.

  • PDF

수처리 선진화 사업-옥내급수관 갱생으로 녹물 제거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2 s.209
    • /
    • pp.34-43
    • /
    • 2007
  • 환경부는 산하 수처리선진화사업단에서 수돗물 수질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연구개발한 옥내급수관 진단, 세척 및 갱생기술을 적용, 서울시와 공동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서울 둔촌동 주공아파트 2개동 80세대를 대상으로 약 1억2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지난 8월 말부터 시행, 수돗물 녹물발생 방지를 위한 갱생기술의 완성도를 검증·확인한다는 것. 기존 옥내급수관 갱생기술은 평균 관직경 15mm인 소형관에 대한 정밀시공이 어려워 녹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수도관 내부의 녹 제거 및 관 내부 표면이 균일토록 코팅할 뿐 아니라 시공 후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 관 내부 촬영 및 절연도 체크를 통해 코팅 완성도를 확인, 녹 재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번 기술이 검증되면 환경부는 선박배관, 빌딩, 냉각수배관, 소화용배관, 산업용배관 등에도 확대 적용하고 해외진출을 통해 물산업 육성 아이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2005년 수도법을 개정, 건축연면적 6만$m^2$이상 다중이용건축물과 연면적5,000$m^2$이상 국.공립 공공시설은 준공 5년 후부터 매년 수질검사를 실시, 결과에 따라 수도관을 세척·갱생 또는 교체토록 올해 1월부터 의무화 하고 있다.

  • PDF

Distribution and Risk Assessment of Bisphenol-A in Tap Water from Rehabilitated Indoor Water Service Pipe (갱생 옥내급수관 수돗물에서 비스페놀-A 분포 및 위해성 평가)

  • Jeong, Gwanjo;Son, Boyoung;Lee, Inja;Ahn, Chihwa;Kim, Junil;Moon, Boram;Lee, Suwon;Ahn, Jaechan;Kim, Bogsoon;Chung, Deukm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8 no.7
    • /
    • pp.371-376
    • /
    • 2016
  • In this study, the survey of bisphenol-A in indoor water service pipes rehabilitated with epoxy resin was conducted and the risk assessment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human health to drink tap water. Bisphenol-A in raw water was detected in a range of 50~118 ng/L in all samples, where the limit of quantification was 10 ng/L. This is caused by inflow of the sewage effluent or the tributaries of the surrounding area containing bisphenol-A. Bisphenol-A was not detected in finished water after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It was achieved by its removal from the processes of flocculation-precipitation and oxidation of ozone and chlorine and by being changed to other by-product materials. For the indoor water service pipe, bisphenol-A was not detected in all cases which was not coated with epoxy resin. However, when epoxy resin is lined within the indoor water service pipe, bisphenol-A was identified at maximum level of 521 ng/L and was detected above the limit of quantitation at 68 percentages of all samples. The Hazard Quotient (HQ) at the maximum level (521 ng/L) of the detected bisphenol-A is 0.004, which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of 0.1 for the tap water intak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tected levels of bisphenol-A in this study would be safe to drink tap water.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주요 무기체계 소개(1)

  • Gu, Sang-Hoe;Lee, Jeong-H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172
    • /
    • pp.38-43
    • /
    • 1993
  • 남아공의 무기체계는 대부분 해외기술도입이나 직구매에 의한 것들이 아니라 어려운 여건 속에서 자력갱생하여 얻어진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된 장비입니다. 이런 무기체계는 국경전쟁을 통해 성능이 입증되거나, 전장운용을 통해 성능이 개량된 것들로 남아공의 지형과 여건에 맞는 독자적인 모델을 갖추고 있습니다

  • PDF

Rehabilitation with the Green Method for the Huge Pipeline Using a Dry-Type Equipment (녹색공법을 이용한 대형 수도관 갱생)

  • Kim, Young-Ju;Choi, Byoung-Seub;Lee, Sang-Hyun;Hong, Dae-Sung;An, Hy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82-286
    • /
    • 2009
  • 1979년 준공된 수도권 광역상수도 1단계 시설은 상당한 노후화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향후 한강하류권 용수공급계획이 예정되어 있어 내부부식 및 관로손상부 개량의 시급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직경 2,800${\sim}$800mm의 초대구경 도수관 53.9km의 개량을 위한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시공성, 환경성, 경제성 등의 여러 항목에 대한 검토 결과 신개념 녹색공법인 비굴착식 건식일체형 공법이 최종 선정되었다. 그동안 기존관 개량공사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굴착공법이 굴착에 따른 공기지연, 소음 분진 악취 등의 환경오염, 전구간 굴착에 따른 공사비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에 반해, 동사업에서 채택된 비굴착공법은 관로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공기단축, 환경오염 최소화에 따른 민원발생 최소화, 작업구만 굴착함에서 오는 공사비 절감 등 상대적으로 훨씬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동공법에 따르면 관내부 갱생공사는 '배수 및 잔류토사 제거'${\to}$'관내건조'${\to}$'표면처리'${\to}$'프라이머도장'${\to}$'본도장'의 순으로 진행된다. 일체형 장비에 의한 이와 같은 초대형관의 자동화시공은 세계에서 처음 적용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