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객체 추출

Search Result 1,45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utomatic Object Extraction from Electronic Documents Using Deep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을 활용한 전자문서 내 객체의 자동 추출 방법 연구)

  • Jang, Heejin;Chae, Yeonghun;Lee, Sangwon;Jo, Jinyo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7 no.11
    • /
    • pp.411-418
    • /
    • 2018
  • With the prolif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is becoming important to obtain, store, and utilize scientific data in research and science sectors. A number of methods for extracting meaningful objects such as graphs and tables from research articles have been proposed to eventually obtain scientific data. Existing extraction methods using heuristic approaches are hardly applicable to electronic documents having heterogeneous manuscript formats because they are designed to work properly for some targeted manuscripts. This paper proposes a prototype of an object extraction system which exploits a recent deep-learning technology so as to overcome the inflexibility of the heuristic approaches. We implemented our trained model, based on the Faster R-CNN algorithm, using the Google TensorFlow Object Detection API and also composed an annotated data set from 100 research articles for training and evaluation. Finally, a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outperforms a comparator adopting heuristic approaches by 5.2%.

A Distributed Domain Document Object Management using Semantic Reference Relationship (SRR을 이용한 분산 도메인 문서 객체 관리)

  • Lee, Chong-De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5
    • /
    • pp.267-273
    • /
    • 2012
  • The semantic relationship structures hierarchically the huge amount of document objects which is usually not formatt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structure relevant data from various distributed application domains. This paper proposed a new object management method to service the distributed domain objects by using semantic reference relationship. The proposed mechanism utilized the profile structure in order to extract the semantic similarity from application domain objects and utilized the joint matrix to decide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the extracted objects. This paper performed the simulation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retrieval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text mining method and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다중카메라 기반의 특정객체 추적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Min, Byeong-Muk;Lee, Gwang-Hyeong;Min, So-Y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465-468
    • /
    • 2009
  • 본 논문은 박물관이나 고가의 물품을 판매하는 곳에서 특정한 객체를 감시하고, 특정 객체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중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 상호간의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움직이는 객체를 추출하고 추적하는 시스템의 구현이다. 감시대상이 되는 객체의 상단과 정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움직임 객체가 감시대상 객체에 접촉하게 되면 두 대의 카메라가 동시에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고 추적하게 된다. 먼저 정면의 카메라는 움직임 물체의 얼굴부분을 캡춰하고 지속적으로 얼굴영역을 확대 / 캡춰하면서 추적을 시작한다. 상단의 카메라는 많은 객체들의 움직임 속에서 특정한 객체만을 추적할 수 있으며, 추적은 방향예측을 통하여 수행하고 객체의 특징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특징정보는 카메라의 범위를 벗어났을 때 인접한 카메라에 정보를 전송하고 지속적인 추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 PDF

Generation of Active Stromotion Images using Kernel-based Tracking and Grab-Cut Algorithm (커널 기반 객체 추적 및 Grab-Cut 알고리즘을 이용한 액티브 스트로모션 영상 생성)

  • Oh, Kyeong-Seok;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131-133
    • /
    • 2016
  • 본 논문은 연속적인 비디오 시퀀스에서 움직이는 객체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커널 기반 객체 추적과 Grab-Cut 알고리즘을 결합한 비디오 영역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추적 목표 객체의 초기 위치를 사각영역으로 선택하면, 사각의 외부 영역을 배경색상으로 인지하고, 배경 색상을 고려한 목표 객체의 주요 색상을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커널기반 객체 추적 기법을 적용하여 빠르게 객체의 영역을 추출한다. 추적한 각 객체의 영역에서 중앙 객체 영역과 배경 영역의 색 정보를 초기값으로 하여 Grab-Cut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사각형 형태가 아닌 객체의 실루엣 최적화된 영역으로 분할한다. 제안 방법을 스포츠 방송, 광고, 영화 등의 특수 효과로 활용되고 있는 stromotion 영상 생성에 적용하기 위하여 프레임별 추출된 객체의 영상을 새로운 프레임 영상에 합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초당 10 프레임의 처리 속도에서 원하는 스트로모션 효과 영상을 생성하였다.

  • PDF

Measurement Method of Deep Cervical Flexors from Cervical Ultrasound Images (경추 초음파 영상에서의 심부 경부 굴곡근 두께 측정 방법)

  • Kim, Kwang-Baek;Hong, D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5-3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경추 초음파 DICOM 영상에서 심부 경부 굴곡근의 하단 후보 경계선을 이용하여 경추가 위치하는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한 경추 후보 영역에 퍼지 시그마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경추 객체를 추출한다. 심부 경부 굴곡근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기준점을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 심부 경부 굴곡근의 하단 경계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심부 경부 굴곡근내의 지방이 경추 객체로 추출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개선된 영상에서 경추 객체들이 가진 픽셀 좌표를 이용하여 측정 기준점을 설정한다. 그 후, 객체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기준점을 다시 설정한다. 심부 경부 굴곡근 영역과 측정 기준점을 이용하여 심부 경부 굴곡근의 두께를 측정한다. 제안된 방법을 경추 초음파 DICOM 영상에 적용하여 심부 경부 굴곡근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기존의 심부 경부 굴곡근 두께 측정 방법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 Object Model of Korean Web Pages for Title Identification (웹문서의 테이블 객체 모델링을 통한 제목 추출 방법)

  • Yoon, Ju-Hyoung;Park, Se-Jong;Lee, Seung-Wook;Han, Young-S.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18-21
    • /
    • 2003
  • 한국어 웹 문서에는 일반적으로 제목이 명시가 되어 있음으로 텍스트를 요약하는 방식의 제목추출과는 달리 여러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웹 문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목에 해당하는 테이블 객체를 찾아내야 한다. 웹 문서를 테이블 객체의 리스트로 보고, 이들을 휴리스틱 규칙에 의해서 본문 후보와 이를 기준으로 하는 제목 후보 객체들로 구분하는 단계와 제목 후보들 간의 확률적 분포 값과 본문과의 언어적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목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목을 인식한다. 인식의 정확성에 기여하는 것은 제목과 본문 객체를 구분하는 규칙 그리고 제목의 확률분포 및 언어적 유사 정도 등이며 이들 각 정보가 정확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무작위로 추출된 500개의 다양한 양식의 웹 문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목인식 정확성은 95.1%였다.

  • PDF

Shadow casting method using symmetric and distance feature of the object region (객체의 대칭성과 거리 벡터를 사용한 그림자 제거 방법)

  • Lee JungWon;Choi C.G.;Cho J.H.;Kim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838-84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감시 시스템 내에서 검출된 객체에 대해 정확한 특징벡터를 추출하기 위한 그림자 제거(shadow casting)방법을 제안한다. 그림자에 외해 부정확한 특징벡터를 가지게 되는 객체는 동일한 객체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객체로 인식하는 잘못된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객체가 가지는 대칭성을 사용하여 그림자 후보 영역을 추출한 후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 가중치값을 사용하여, 추출한 영역에 대해 그림자를 제거를 수행한다.

  • PDF

Extracting Interclass interactive behaviors from UML State Diagrams (UML 상태 다이어그램으로부터 클래스들간 상호 행동의 추출)

  • Lee, Woo-Jin;Kim, Young-Gon;Kim, H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027-1030
    • /
    • 2000
  •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이해 및 테스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객체 간의 상호 작용을 우선 이해하여야 한다. UML로 작성된 시스템 명세에서는 각각의 클래스에 대한 행동이 UML 상태 다이어그램으로 기술되어 있어 전체 시스템의 행동을 유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 연구에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기반으로 객체간 행동 테스팅을 수행하기 위해서 UML 상태 다이어그램들을 합성하여 객체간 행동을 추출, 생성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추출, 합성된 객체간 행동 모델은 기존의 널리 알려진FSM 기반 테스팅 기법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Object Detection and 3D Position Estimation based on Stereo Vision (스테레오 영상 기반의 객체 탐지 및 객체의 3차원 위치 추정)

  • Son, Haengseon;Lee, Seonyoung;Min, Kyoungwon;Seo, Seongji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0 no.4
    • /
    • pp.318-324
    • /
    • 2017
  • We introduced a stereo camera on the aircraft to detect flight objects and to estimate the 3D position of them. The Saliency map algorithm based on PCT was proposed to detect a small object between clouds, and then we processed a stereo matching algorithm to find out the disparity between the left and right camera. In order to extract accurate disparity, cost aggregation region was used as a variable region to adapt to detection object. In this paper, we use the detection result as the cost aggregation region. In order to extract more precise disparity, sub-pixel interpolation is used to extract float type-disparity at sub-pixel level.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estimate the spatial position of an object by using camera parameter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image - based object detection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of autonomous aircraft in the future.

A Study on Motion Detection of Object Using Active Block Matching Algorithm (능동적 블록정합기법을 이용한 객체의 움직임 검출에 관한 연구)

  • Lee Chang-Soo;Park Mi-Og;Lee Kyung-Se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4C
    • /
    • pp.407-416
    • /
    • 2006
  • It is difficult for the movement detection of an object through a camera to detect exact movement because of unnecessary noises and changes of the light. It can be recognized as a background, when there is no movement after the inflow of an o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ast search algorithm for tracking and extract of object that is realtime image. In this thesis, we evaluate the difference of the input vision based on initial image and replace some pixels in process of time. When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image and input image, we decide it is the point of the time of the object input and then extract boundary point of it. The extracted boundary point detects precise movement of the object by creating minimum block of it and searching block that maintaining distance. The designed and embodied system shows more than 95% accuracy in the performance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