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객체의 경계 향상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Depth-map Coding Method using the Adaptive XOR Operation (적응적 배타적 논리합을 이용한 깊이정보 맵 코딩 방법)

  • Kim, Kyung-Yong;Park, Gwang-Ho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6 no.2
    • /
    • pp.274-292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coding method of the depth-map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tural images. The depth-map are so smooth in both inner parts of the objects and background, but it has sharp edges on the object-boundaries like a cliff. In addition, when a depth-map block is decomposed into bit planes, the characteristic of perfect matching or inverted matching between bit planes often occurs on the object-boundaries. Therefore, the proposed depth-map coding scheme is designed to have the bit-plane unit coding method using the adaptive XOR method for efficiently coding the depth-map images on the object-boundary area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DCT-based coding scheme (for example, H.264/AVC) for efficiently coding the inside area images of the objects or the background depth-map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the average bit-rate savings as 11.8 % ~ 20.8% and the average PSNR (Peak Signal-to-Noise Ratio) gains as 0.9 dB ~ 1.5 dB in comparison with the H.264/AVC coding scheme. And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the average bit-rate savings as 7.7 % ~ 12.2 % and the average PSNR gains as 0.5 dB ~ 0.8 dB in comparison with the adaptive block-based depth-map coding schem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subjective quality of synthesized image using the decoded depth-map in comparison with the H.264/AVC coding scheme. And the subjective qua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similar to the subjective quality of the adaptive block-based depth-map coding scheme.

Disparity Estimation Method using Smooth Filtering based Adaptive Weighting (평활화 필터 기반 적응적 가중치를 이용한 변위 추정 방법)

  • Mun, Ji-Hun;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92-93
    • /
    • 2016
  • 정확한 변위정보를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비용 값 계산함수 또는 비용 값 합산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비용 값 계산을 위해 좌, 우영상의 기울기와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s)를 이용하며 비용 값 합산을 위해 가이드 영상 필터링을 사용한다. 가이드 영상 필터링은 가이드 영상의 종류에 따라 필터링결과가 크게 변하게 되는데, 스테레오 정합에 사용된 원본 입력 영상을 가이드 영상으로 사용할 경우 정확한 화소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계영역을 보존하며 필터링 수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이드 필터링은 가이드 영상으로부터 미리 지정해준 이웃한 화소와의 거리와 색상차이의 분산 값만을 고려하여 필터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설정 변수 값에 매우 의존적인 특성을 갖는다. 가이드 필터링 과정에서 변수에 대한 의존성을 낮추고 경계영역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우선 평활화 필터를 이용하여 경계영역을 추출한다. 원본 입력영상을 사용하여 경계영역을 추출할 경우 객체 내부의 많은 텍스처 영역의 정보까지 추출되지만, 평활화 필터를 이용할 경우 정확한 경계 영역의 정보만을 추출 할 수 있다. 추출된 경계영역에 대해서만 높은 가중치를 사용한 뒤 기존의 가이드 영상 필터링과 혼합하여 최종 비용 값을 합산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경계영역의 정확도가 향상된 최종 변위 지도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An Efficient Text Detection Model using Bidirectional Feature Fusion (양방향 특징 결합을 이용한 효율적 문자 탐지 모델)

  • Lim, Seong-Taek;Choi, Hoeryeon;Lee, H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7-68
    • /
    • 2021
  • 기존 객체탐지는 경계 상자 회귀방식을 적용하였지만, 문자는 왜곡과 변형이 심한 특성을 가진 객체로 U-net 구조의 이미지 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 문자 탐지는 통계적 모델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심층 신경망 기반의 모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할을 통한 양방향 특징 결합 기법을 사용한 문자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이미지 분할 방식은 메모리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자 특징 추출 단계에서 경량화된 네트워크를 적용하였다. 또한, 객체 탐지에서 큰 성과를 보인 양방향 특징 결합 모듈을 U-net 구조에 추가하여 추출된 특징이 효과적으로 결합 되는 결과를 얻었다. 제안하는 모델의 문자 탐지 성능은 합성 문자 데이터셋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기존의 U-net 구조의 이미지 분할 방식보다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 Improved Area Edge Detection for Real-time Image Processing (실시간 영상 처리를 위한 향상된 영역 경계 검출)

  • Kim, Seung-Hee;Nam, Si-Byung;Lim, Hae-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
    • /
    • pp.99-106
    • /
    • 2009
  • Though edge detection, an important stage tha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image recognition, has been given numerous researches on its execution methods, it still remains as difficult problem and it is one of the components for image recognition applications while it is not the only way to identify an object or track a specific area. This paper, unlike gradient operator using edge detection method, found out edge pixel by referring to 2 neighboring pixels information in binary image and comparing them with pre-defined 4 edge pixels pattern, and detected binary image edge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next edge detection exploring pixel and proposed method to detect binary image edge by repeating step of edge detection to detect another area edge. When recognizing image, if edge is detected with the use of gradient operator, thinning process, the stage next to edge detection, can be omitted, and with the edge detection algorithm executing time reduced compared with existing area edge tracing method, the entire image recognizing time can be reduced by applying real-time image recognizing system.

Real-Time Virtual-View Image Synthesis Algorithm Using Kinect Camera (키넥트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가상 시점 영상 생성 기법)

  • Lee, Gyu-Cheol;Yoo, Jis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5
    • /
    • pp.409-419
    • /
    • 2013
  • Kinect released by Microsoft in November 2010 is a motion sensing camera in xbox360 and gives depth and color images. However, Kinect camera also generates holes and noise around object boundaries in the obtained images because it uses infrared pattern. Also, boundary flickering phenomenon occurs. Therefore, we propose a real-time virtual-view video synthesis algorithm which results in a high-quality virtual view by solving these problems. In the proposed algorithm, holes around the boundary are filled by using the joint bilateral filter. Color image is converted into intensity image and then flickering pixels are searched by analyzing the variation of intensity and depth images. Finally, boundary flickering phenomenon can be reduced by converting values of flickering pixels into the maximum pixel value of a previous depth image and virtual views are generated by applying 3D warping technique. Holes existing on regions that are not part of occlusion region are also filled with a center pixel value of the highest reliability block after the final block reliability is calculated by using a block based gradient searching algorithm with block reliabil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enerated the virtual view image in real-time.

Multi-view Depth Image Resolution Enhancement based on View Coherence (시점 간 일관성을 고려한 다시점 깊이 영상의 해상도 개선)

  • Choi, Jin-Wook;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373-375
    • /
    • 2011
  • 최근 들어, Time-of-Flight (TOF) 방식의 깊이 센서가 컴퓨터 비전이나 영상처리분야 등의 연구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TOF 방식의 깊이 센서는 실시간으로 정확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해상도가 낮고 센서의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깊이 센서의 단점을 극복하고 고품질의 다시점 영상 합성을 위해 기존 깊이 센서에 여러 대의 Charge-coupled Device (CCD) 카메라를 결합하여 시점 간 일관성 있는 고해상도의 깊이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한정되어 있는 시점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시점 영상을 합성할 때, 각 시점에 해당하는 깊이 영상의 정확도에 따라 합성되는 영상의 품질이 결정된다. 따라서 보유 시점에 해당하는 깊이 영상 간의 일관성이 유지되고 객체의 경계가 정확히 보존되어야만 생성되는 임의 시점 영상의 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Joint Bilateral Upsampling (JBU)을 기반으로 시점 간 일관성을 고려한 깊이 영상의 해상도 개선 기술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다시점 영상 합성 결과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 PDF

The Crowd Density Estimation Using Pedestrian Depth Information (보행자 깊이 정보를 이용한 군중 밀집도 추정)

  • Yu-Jin Roh;Sang-M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705-708
    • /
    • 2023
  • 다중밀집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군중 밀집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기존 방법 중 일부는 군중 계수를 기반으로 군중 밀집도를 추정하거나 원근 왜곡이 있는 데이터를 그대로 학습한다. 이 방식은 물체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원근 왜곡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보행자 깊이 정보를 이용한 군중 밀집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보행자의 깊이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편차가 적은 머리 크기를 이용한다. 머리를 탐지하기 위해 OC-Sort를 학습모델로 사용한다. 탐지된 머리의 경계박스 좌표, 실제 머리 크기, 카메라 파라미터 등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깊이 정보를 추정한다. 이후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밀도 맵을 추정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혼잡한 환경에서 객체의 위치와 밀집도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군중밀집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의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보안 및 교통 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based Image Retrieval Using Dominant Color Pair and Color Correlogram (Dominant 컬러쌍 정보와 Color Correlogram을 이용한 객체기반 영상검색)

  • 박기태;문영식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0 no.2
    • /
    • pp.1-8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n objec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based on the dominant color pair information. Most of existing methods for content based retrieval extract the features from an image as a whole, instead of an object of interest. As a result, the retrieval performance tends to degrade due to the background colors. This paper proposes an object based retrieval scheme, in which an object of interest is used as a query and the similarity is measured on candidate regions of DB images where the object may exist. From the segmented image, the dominant color pair information between adjacent regions is used for selecting candidate regions. The similarity between the query image and DB image is measured by using the color correlogram technique. The dominant color pair information is robust against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improved by reducing the errors caused by background colors.

A Nonlinear Image Enhancement Method for Digital Mammogram (디지털 맘모그램을 위한 비선형 영상 향상 방법)

  • Jeon, Geum-Sang;Kim, Sang-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4 no.1
    • /
    • pp.6-12
    • /
    • 2013
  • Mammography is the most common technique for the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To diagnose correctly and treat of breast cancer efficiently, many image enhance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is paper presents a nonlinear image enhancement 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digital mammogram.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a nonlinear function for brightness improvement and a nonlinear filter for contrast enhancement. The nonlinear function improves the brightness of dark area and extends the dynamic range of bright area, and the nonlinear filter efficiently enhances the specific regions and objects of the mammogram. The final enhanced image was obtained by combining the processed image with the nonlinear function and the filtered image with the nonlinear filter. The proposed nonlinear image enhancement method was confirmed the enhanced performance comparing with other existing methods.

Server Performance Improvement with Predicted Range of Agent Movement (이동 범위 예측을 통한 온라인 서버 성능 향상 기법)

  • Kim, Yong-O;Shin, Seung-Ho;Kang, Shin-Ji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1
    • /
    • pp.101-109
    • /
    • 2011
  • The performance of server becomes important issues in online game with the online game market expansio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improving performance to decrease synchronized packets for each entity's informations in game. Our method provides adapted solution of reconstructing spatial subdivision to reduce a load of movement between boundary regions using prediction of entity's movement range and disabled regions where entity can not move to. It is shown through the experiments that proposed method outperforms existing method in terms of processing quantity of pac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