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체명 사전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생물학적 개체명 사전을 위한 구축 및 관리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ools for Biological Named Entity Dictionary)

  • 장현철;김태현;이현숙;박수준;박선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853-856
    • /
    • 2003
  • 바이오 텍스트 마이닝을 위한 정보 추출의 첫 단계는 생물학적 문헌으로부터의 유전자, 단백질, 세포조직 등과 같은 생물학적 개체명의 인식이다. 생물학적 개체명의 명명법상 특징이 매우 다양하고 저자의 개성에 의해 쉽게 좌우되어 단순히 규칙이나 학습 방법 만으로는 쉽게 개체명들을 인식할 수 없다. 또한, 생물학 관련 문헌에 나오는 가능한 모든 개체명과 이들의 모든 변형을 수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알려진 개체명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사전을 탐색하고 알려지지 않은 용어들을 규칙과 통계 기반 방법을 통하여 인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만족할 만한 수준의 양질의 사전을 구축하는 것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어느 순간 만족할 만한 성능을 낼 수 있는 사전을 구축했다. 할지라도 유지 관리 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잘 구축된 자원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적절한 사전을 자동으로 구축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사전 구축 및 관리에 드는 많은 비용을 줄이면서도 상당히 효과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텍스트 마이닝 엔진을 위한 생물학적 개체명 사전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이를 쉽게 관리하도록 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 PDF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Named-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 송치윤;양성민;강상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21-323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문서 내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것을 의미한다.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은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RNN기반의 심층 학습모델로서 개체명 인식 연구에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을 사용하고, 입력 자질로 단어뿐만 아니라 품사 임베딩 모델과, 개체명 사전을 활용하여 입력 자질을 구성한다. 또한 입력 자질에 대한 벡터의 크기를 최적화 하여 기본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 PDF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Named-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 송치윤;양성민;강상우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321-323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문서 내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은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RNN기반의 심층 학습모델로서 개체명 인식 연구에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을 사용하고, 입력 자질로 단어뿐만 아니라 품사 임베딩 모델과, 개체명 사전을 활용하여 입력 자질을 구성한다. 또한 입력 자질에 대한 벡터의 크기를 최적화 하여 기본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 PDF

기계학습 기반 개체명 인식을 위한 사전 자질 생성 (Feature Generation of Dictionary for Named-Entity Recogni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 김재훈;김형철;최윤수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2호
    • /
    • pp.31-46
    • /
    • 2010
  • 오늘날 정보 추출의 한 단계로서 개체명 인식은 정보검색 분야 뿐 아니라 질의응답과 요약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개체명은 일반 단어와 달리 다양한 문서에서 꾸준히 생성되고 변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체명의 특성 때문에 여러 응용 시스템에서 미등록어 문제가 야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미등록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자질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기계학습 기반 개체명 인식 시스템은 단어 단위의 자질을 사용하므로 구절 단위의 개체명을 그대로 자질로 사용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구절 단위의 정보를 단어 단위의 자질로 변환하는 자질 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으로 개체명 사전과 WordNet을 개체명 인식의 자질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영어 개체명 시스템은 F1 점수의 약 6%가 향상되었고 오류의 약 38%가 줄어들었다.

한국어 제목 개체명 인식 및 사전 구축: 도서, 영화, 음악, TV프로그램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Dictionary Construction for Korean Title: Books, Movies, Music and TV Programs)

  • 박용민;이재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7호
    • /
    • pp.285-292
    • /
    • 2014
  • 개체명 인식은 정보검색 시스템, 질의응답 시스템, 기계번역 시스템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개체명 인식은 일반적으로 PLOs(인명, 지명, 기관명)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미등록어와 고유명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유명사나 미등록어는 중요한 개체명 후보로 쓰일 수 있다. 하지만 도서명, 영화명, 음악명, TV프로그램명과 같은 제목 개체명은 PLO와는 달리 단어부터 문장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개체명 인식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뉴스 기사문을 이용하여 제목 개체명을 빠르게 인식하고 자동으로 사전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특수기호로 묶인 어절을 추출하고, 주변 문맥 단어 및 단어 거리를 이용하여 SVM으로 제목 후보들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제목 후보들은 상호 정보량을 가중치로 SVM을 이용해 제목 유형을 분류하였다.

휴리스틱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 학습 말뭉치 품질 향상 (Improving Quality of Training Corpus for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Heuristic Rules)

  • 이성희;송영길;김학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5년도 제2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02-205
    • /
    • 2015
  • 개체명 인식은 문서에서 개체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개체명의 범주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기존의 지도 학습 기법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을 위해서는 개체명 범주가 수동으로 부착된 대용량의 학습 말뭉치가 필요하며, 대용량의 말뭉치 구축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말뭉치 구축비용을 최소화하고 초기 학습 말뭉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말뭉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반자동 개체명 사전 구축 방법으로 구축한 개체명 사전과 원거리 감독법을 사용하여 초기 개체명 범주 부착 말뭉치를 구축한다. 그리고 휴리스틱을 이용하여 초기 말뭉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학습 말뭉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개체명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 결과 휴리스틱 적용을 통해 개체명 인식의 F1-점수를 67.36%에서 73.17%로 향상시켰다.

  • PDF

반자동구축된 개체명 주석코퍼스 DecoNAC과 KoBERT를 이용한 개체명인식 플랫폼 DecoNERO (A Named Entity Recognition Platform Based on Semi-Automatically Built NE-annotated Corpora and KoBERT)

  • 김신우;황창회;윤정우;이성현;최수원;남지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04-30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전자사전 DECO(Dictionnaire Electronique du COreen)와 다단어(Multi-Word Expressions: MWE) 개체명을 부분 패턴으로 기술하는 부분문법그래프(Local-Grammar Graph: LGG) 프레임에 기반하여 반자동으로 개체명주석 코퍼스 DecoNAC을 구축한 후, 이를 개체명 분석에 활용하고 또한 기계학습에 필요한 도메인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는 DecoNERO 개체명인식 플랫폼을 소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최근 들어 좋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기계학습 방법론들은 다양한 도메인을 기반으로한 대규모의 학습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교하게 설계된 개체명 사전과 다단어 개체명 시퀀스에 대한 언어자원을 바탕으로 하는 반자동으로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체명주석 코퍼스 DecoNAC 기반 접근법의 성능을 실험하기 위해 온라인 뉴스 기사 텍스트를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DecoNAC을 적용한 경우, KoBERT 모델만으로 개체명을 인식한 결과에 비해 약 7.49%의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otraining 학습을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Cotraining-based Learning)

  • 이현숙;정의석;황이규;윤보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97-60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정보추출 및 정보검색, 문서요약과 같은 자연어처리 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체명 인식 모델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한국어 개체명 인식에 관한 연구는 규칙 기반 연구의 경우 수동으로 생성한 규칙이나 어휘사전에 매우 의존적이고, 통계기반의 연구의 경우 개체명이 태깅된 대량의 학습데이터를 필요로 하므로 새로운 도메인으로의 이식성 관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이 태깅되지 않은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Cotraining 기반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개체명 인식을 위한 규칙과 사전을 자동적으로 확장하였다. 실험 결과, 경제분야 문서에 대해 87.6%의 정확률을 보였다.

  • PDF

생의학 분야 학술 논문에서의 개체명 인식 및 관계 추출을 위한 언어 자원 수집 및 통합적 구조화 방안 연구 (A Study on Collecting and Structuring Language Resource for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Relation Extraction from Biomedical Abstracts)

  • 강슬기;최윤수;최성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27-24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생의학 분야 비정형 텍스트에서 핵심적 내용을 추출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반 정보 추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언어자원 수집 및 통합적 구조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정보 추출 시스템을 크게 개체명 인식과 개체명 간 관계 추출 시스템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시스템에 적합한 학습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생의학 분야 개체명 사전과 학습 집합을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해당 자원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개체 구별을 위해 필수적으로 포함시켜야 할 항목들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 학습과정에서 사용될 학습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한 항목을 선정한다. 이와 같이 선정된 학습데이터의 구성 내용에 따라 수집된 자원들을 가공하여 학습 데이터를 구축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의학 분야의 하위 분야인 유전자, 단백질, 질병, 약물 4개 분야에 대한 개체명 사전과 학습 집합을 수집하여 각각을 학습 데이터로 구축하였으며, 개체명 사전을 통해 구축된 개체명 인식용 학습 데이터를 대상으로 개체명 수용 범위를 측정하기 위한 검증 과정을 수행하였다.

언어자원 자동 구축을 위한 위키피디아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Wikipedia Contents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Linguistic Resources)

  • 류철중;김용;윤보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187-194
    • /
    • 2015
  • 급변하는 자연언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지식자원(linguistic knowledge resources)의 구축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콘텐츠의 특성을 활용해 언어지식자원을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확장 가능한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특히 언어분석 과정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개체명(NE: Named Entity) 사전을 자동으로 구축, 확장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사전 구축대상문서로 위키피디아(Wikipedia)를 선정,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위키피디아 콘텐츠가 갖는 구문적 특성과 구조 정보 등의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체명 사전을 구축,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