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체군집최적화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mprov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for Adaptive Beam Forming System (적응형 빔 형성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개체 군집 최적화 알고리즘)

  • Jung, Jin-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3
    • /
    • pp.587-592
    • /
    • 2018
  • An adaptive beam forming system using a phased array antenna improves communication quality by beam forming adaptively to a communication environment having an interference signal. For adaptive beam forming, a good combination of the phases of the excited signals to each radiating element of the phased array antenna should be calculated. In this paper, improv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that adds a re-spreading procedure according to particle density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good phase shift combination output.

Statistical Analysis of Receding Horizon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Multi-Robot Formation Control (다개체 로봇 편대 제어를 위한 이동 구간 입자 군집 최적화 알고리즘의 통계적 성능 분석)

  • Lee, Seung-Mo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5
    • /
    • pp.115-120
    • /
    • 2019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ulti-robot formation control based on receding horizon particle swarm optimization (RHPSO). The formation control problem of multi-robot system can be defined as a constrained nonlinear optimization problem when considering collision avoidance between robots. In general, the constrained nonlinear optimization problem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find the optimal solution. The RHPSO algorithm was proposed to quickly find a suboptimal solution to the optimization problem of multi-robot formation control.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RHP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candidate solutions and generations incr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a suboptimal solution that can be used for real-time control with minimal candidate solutions and generations.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formation err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ndidate solutions and the number of generations.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results a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the minimum number of candidate solutions and the minimum number of generations of the RHPSO algorithm are derived within the allowable control error.

유전 알고리즘과 군집 분석을 이용한 확률적 시뮬레이션 최적화 기법

  • 이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62-64
    • /
    • 1998
  • 유전 알고리즘은 전통적인 등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하기 어려웠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인한 (Robust) 탐색 기법이다. 특히 목적함수가 (1)여러 개의 국부 최대치를 가지거나 (2)수학적으로 표현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거나 (3) 목적함수에 교란항이 섞여 있을 경우도 우수한 탐색 능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성 분석(cluster analysis)을 이용하여 군집화함으로써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나타나는 다양한 해집합을 형성하는 개체군을 그룹화하고, 각 군집에 부여된 군집 적합도에 따라서 최적해를 구함으로써 최적값에 근접시킬 수 있는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의 출력이 특정한 테스트 함수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가정한 경우에 확률적으로 나타나는 시뮬레이션 모델의 출력을 최대화하는 문제에 대하여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Reliability Optimal Design of Satellite system(Based on MSC System's structure of KOMPSAT-2) (인공위성 시스템의 신뢰도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아리랑위성 2호의 MSC 시스템 구조를 중심으로))

  • Kim, Heung-Seob;Jeon, Geon-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12
    • /
    • pp.1150-1159
    • /
    • 2011
  • Reliability is defined as a probability that a system will operate properly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under the design operating conditions without failure. Reliability-Redundancy Optimization Problem(RROP) involves selection of components with multiple choices, redundancy levels and redundancy strategy(Active or Standby) for maximizing system reliability with constraints such as cost, weight, etc. Based on the design configuration of Multi-Spectral Camera(MSC) system of KOMPSAT-2,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for RROP is suggested in this study. Due to the nature of RROP, i.e. NP-hard problem, Parallel Particle Swarm Optimization(PPSO) algorithm is proposed to solve it. The result of the numerical experiment for RROP is presented as instance of recommended design configuration at some mission time.

Genetic Algorithm and Clustering Technique for Optimization of Stochastic Simulation (유전자 알고리즘과 군집 분석을 이용한 확률적 시뮬레이션 최적화 기법)

  • 이동훈;허성필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90-100
    • /
    • 1999
  • 유전자 알고리즘은 전통적인 등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하기 어려웠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인한(Robust) 탐색 기법이다. 특히 목적함수가 (1)여러 개의 국부 최대치를 가지는 경우, (2)수학적으로 표현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 (3)목적함수에 교란 항(disturbance term)이 섞여 있을 경우도 우수한 탐색 능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나타나는 다양한 해집합을 형성하는 개체군을 군집성 분석(cluster analysis)을 이용하여 군집화하고, 각 군집에 부여된 군집 적합도에 따라서 최적해를 구함으로써 단순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한 최적화보다 훨씬 향상된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반응표면의 형태가 정형화한 테스트 함수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가정한 경우에 대하여 몬테 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 PDF

Prediction Model for Specific Cutting Energy of Pick Cutters Based on Gene Expression Programming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유전자 프로그래밍과 개체군집최적화를 이용한 픽 커터의 절삭비에너지 예측모델)

  • Hojjati, Shahabedin;Jeong, Hoyoung;Jeon, Seokw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8 no.6
    • /
    • pp.651-669
    • /
    • 2018
  • This study suggests the prediction model to estimate the specific energy of a pick cutter using a gene expression programming (GEP)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Estimating the performance of mechanical excavators is of crucial importance in early design stage of tunnelling projects, and the specific energy (SE) based approach serves as a standard performance prediction procedure that is applicable to all excavation machin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CS and BTS, penetration depth, cut spacing, and SE. A total of 46 full-scale linear cutting test results using pick cutters and different values of depth of cut and cut spacing on various rock types was collected from the previous study for the analysis. The Mean Squared Error (MSE)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method is more than two times larger than the MSE generated by GEP-PSO algorithm. The $R^2$ value associated with the GEP-PSO algorithm, is about 0.13 higher than the $R^2$ associated with MLR.

Determination of Optimal Cluster Size Using Bootstrap and Genetic Algorithm (붓스트랩 기법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군집 수 결정)

  • 박민재;전성해;오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263-266
    • /
    • 2002
  • 데이터의 군집화를 수행할 때 최적 군집수 결정은 군집 결과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K-means 방법에서는 초기 군집수 K에 따라 군집결과의 성능 차이가 많이 나타난다. 하지만 대다수의 군집분석에서 초기 군집수의 결정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주관적으로 결정된다. 이때 개체수와 속성수가 증가하면 이러한 결정은 더욱 어려워지며 이때 결정된 군집수가 최적이 된다는 보장도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의 수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그 결과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최적 군집수 결정 방안을 제안한다. 데이터의 속성에 근거한 초기 해 집단이 생성되고, 해 집단 내에서 최적화된 군집수를 찾기 위해 교차 연산이 이루어진다. 적합도 값은 전체 군집화의 비 유사성의 합의 역으로 결정되어 전체적인 군집화 성능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수렴된다. 또한 지역 국소값을 해결하기 위해 돌연변이 연산이 사용된다. 그리고 유전자 알고리즘의 학습 시간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 붓스트랩 기법이 적용된다.

Creation and clustering of proximity data for text data analysis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위한 근접성 데이터의 생성과 군집화)

  • Jung, Min-Ji;Shin, Sang Min;Choi, Yo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3
    • /
    • pp.451-462
    • /
    • 2019
  • Document-term frequency matrix is a type of data used in text mining. This matrix is often based on various documents provided by the objects to be analyzed. When analyzing objects using this matrix, researchers generally select only terms that are common in documents belonging to one object as keywords. Keywords are used to analyze the object. However, this method miss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document as well as causes a problem of removing potential keywords that occur frequently in a specific document. In this study, we define data that can overcome this problem as proximity data. We introduce twelve methods that generate proximity data and cluster the objects through two clustering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k-means cluster analysis. Finally, we choose the best method to be optimized for clustering the object.

Structural Damage Detection Using Swarm Intelligence and Model Updating Technique (군집지능과 모델개선기법을 이용한 구조물의 결함탐지)

  • Choi, Jong-Hun;Koh, Bong-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9 no.9
    • /
    • pp.884-891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of swarm intelligence algorithms to tackle a traditional damage detection problem having stiffness degradation or damage in mechanical structures. Particle swarm(PSO) and ant colony optimization(ACO) methods have been exploited for localizing and estimating the location and extent damages in a structure. Both PSO and ACO are population-based, stochastic algorithms that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underlying concept of swarm intelligence and search heuristic. A finite element (FE) model updating is implemented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a set of natural frequencies between measured and baseline vibration data. Stiffness loss of certain elements is considered to simulate structural damages in the FE model. It is numerically shown that PSO and ACO algorithms successfully completed the optimization process of model updating in locating unknown damages in a truss structure.

Generating Adaptive Fuzzy Classification Rules using An Efficient Evolutionary Algorithm (효율적인 진화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응형 퍼지 분류 규칙 생성)

  • Ryu, Joung-Woo;Kim, Sung-Eun;Kim, M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769-771
    • /
    • 2005
  • 데이터 특성이 연속적이고 애매할 때 퍼지규칙으로 분류 규칙을 표현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 특성에 대해서 소속함수를 결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퍼지 분류 규칙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 규칙의 정확성과 이해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소속함수를 생성하기 위해 진화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먼저 지도 군집화로 진화를 위한 초기 소속함수를 생성한다. 진화알고리즘은 전역적 최적 해를 찾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시간에 대한 효율성이 낮다. 특히 모델 최적화 문제에서는 개체 평가 단계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체 데이터를 여러 개의 부분 데이터들로 나누고 개체들은 전체 데이터 대신 매번 부분 데이터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개체를 평가함으로써 수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진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퍼지 분류 규칙 생성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로 UCI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들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기존 방법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