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 건강 기록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Comparison of Recognizing Personal Health Record Between Healthcare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보건대학생과 의과대학생 간의 개인건강기록(PHR) 인식 비교)

  • Baek, Eun-Hae;Lim, Sung-Won;Kim, Han-Kyoul;Rhee, Hyun-Sil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0
    • /
    • pp.373-382
    • /
    • 2012
  • With the paradigm shifts towards consumer-centered health service, it is expected that more health care consumers will keep their health information and manage their own health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Understanding",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between medical users(healthcare stud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medical students). We collected data from 208 health and medical students via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m April to June, 20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Chi-square on SPSS 19.0 ver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PHR between two groups. Looking at the order of the importance of PHR contents, two groups equally emphasized medical records, surgical history, and test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ime and effectiveness of PHR(p=0.02). Intergrated type of PHR was preferred by both groups. Recently, PHR reflects needs and demands of users more than ever. However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promote the utiliz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argeted strategies for the elderly groups and specific types of disease.

An Analysis o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Digital Healthcare: Focusing on the PHR Service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구조에 대한 분석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 중심으로)

  • Lee, YeonKyeong;Lee, Mi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75-676
    • /
    • 2022
  • 헬스케어 패러다임이 정밀, 예측, 맞춤, 예방의료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수요자 중심의 고부가 가치형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한 영역인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는 개인의 모든 건강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예방과 관리 목적에 맞추어 맞춤형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건강기록 서비스의 가치사슬을 정리해보고, 가치사슬 핵심요인 중심의 산업구조분석을 통해 주요 환경변화에 있어 경쟁자들과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필요한 차별화 전략의 우선순위를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Internet-based Personal Health Record(PHR) System: Using Google Health (인터넷기반의 개인전자건강기록 시스템 적용사례 연구: 구글헬스를 중심으로)

  • Jeong, Seong-He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0 no.3
    • /
    • pp.433-439
    • /
    • 2009
  • With the help of fast growing popularization of internet, all areas of e-Health have expanded rapidly; such that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digital personal health record and its management.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health record and made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Google Health, the internet-base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 Google Health allows you to store and manage all of your health information, import medical records from hospitals and pharmacies, share your health records, and explore online health services. This examples represents not only a significant change of current medical systems but also enables to estimate the future stream of it. As a result, this paper, in the areas of e-Health which will be expanded in various service areas, may give you a greater sense of importance of personal health record and will eventually provide more complemental structure of future personal health recor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it.

  • PDF

A Study on Security Weakness and Threats in 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s (개인건강기록 서비스에서 보안취약성 및 위협요소에 관한 연구)

  • Yi, Myung-Kyu;Hwang, Hee-J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6
    • /
    • pp.163-171
    • /
    • 2015
  • Personal Health Records(PHR) service offers patients a convenient and easy-to-use solution for managing their personal health records, crucial medical files, and emergency contacts. In spite of the indispensable advantages, PHR service brings critical challenges that cannot be avoided from consumer side if the security of the data is concerned. The problem of user's privacy infringement and leaking user's sensitive medical information is increasing with the fusion of PHR technology and healthcare. In this paper, therefore, we analyze the various security aspects that are vulnerable to the PHR service and needed to be resolved. Moreover, we analyze the security requirem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HR users and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and provides the PHR security mechanism for addressing PHR security threats and satisfying PHR security requirements.

산업보건관련 기록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중심으로 -

  • Go, Bong-Ryeon;An, Min-Seo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
    • /
    • pp.52-77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보건관련기록의 표준화를 위하여 산업장 건강관리실 기록지를 수집하여 기록의 종류, 내용과 양식을 비교 분석하므로써 간결하고 유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록을 개발코자 조사연구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총 32개 산업체로써 조사기간은 1991년 2월 4일부터 4월 6일까지이며 자료 수집 방법은 우편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의 건강관련 정보기록으로 일일업무기록은 모두 쓰고 있었으며, 의약품 보호구 수불현황은 65.6%에서 사용하였고, 개인건강기록부, 매월업무보고서, 진료의뢰서는 각각 40.6%, 21.9%, 28.1%에서 사용하였다. 2. 간호사의 건강관리 업무관련정보기록은 일일간호 및 처치기록은 84.4%가 사용하였고, 현장순회일지, 환경위생점검일지 사용이 가장 낮았으며, 건강상담일지, 보건교육일지, 건강관리대상자 관리현황, 공상자 치료 및 관리현황은 제조업인 경우에는 21~26%가 사용하였고 기타 사업장인 경우에는 업거나 사용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사업장의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사항이나 작업환경개선 및 유지, 관리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장순회일지나 환경위생점검일지에 대한 기록이 정확히, 철저히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담 및 보건교육일지 작성도 보건교육이 전반적인 산업보건 사업계획과 통합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기록양식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양식의 내용을 업종별 중요성에 따라 표준화된 기록지 개발을 제언한다.

  • PDF

A Security Labeling Scheme for Privacy Protection in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보안 레이블 기법)

  • Yi, Myung-Kyu;Yoo, Done-sik;Whangbo, Taeg-Keu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6
    • /
    • pp.173-180
    • /
    • 2015
  • The advent of personal healthcare record(PHR) technology has been changing the uses as well as the paradigm of internet services,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ervices being personalization. But the problem of user's privacy infringement and leaking user's sensitive medical information is increasing with the fusion of PHR technology and healthca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ity labeling scheme for privacy protection in PHR system. In the proposed scheme, PHR data can be labeled also manually based on patient's request or the security labelling rules. The proposed scheme can be used to control access, specify protective measures, and determine additional handling restrictions required by a communications security policy.

Verifiable Could-Based Personal Health Record with Recovery Functionality Using Zero-Knowledge Proof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 복원 기능을 가진 검증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 건강기록)

  • Kim, Hunki;Kim, Jonghyun;Lee, D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0 no.6
    • /
    • pp.999-1012
    • /
    • 2020
  • As the utilize of personal health records increases in recent years, research on cryptographic protocol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Currently, personal health records are commonly encrypted and outsourced to the cloud. However, this method is limited in verifying the integrity of personal health records, and there is a problem with poor data availability because it is essential to use it in decryp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verifiable cloud-based personal health record management scheme using Redactable signature scheme and zero-knowledge proof. Verifiable cloud-based personal health record management scheme can be used to verify the integrity of the original document while preserving privacy by deleting sensitive information by using Redactable signature scheme, and to verify that the redacted document has not been deleted or modified except for the deleted part of the original document by using the zero-knowledge proof.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data than the existing management schemes by designing to recover deleted parts only when necessary through the Redact Recovery Authority. And we propose a verifiable cloud-based personal health record management model using the proposed scheme, and analysed its efficiency by implementing the proposed scheme.

Implementation of Personal HealthCare Server System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버 시스템 구현)

  • Seo, Kyeong-Won;Jeong, Ju-Hui;Shin, Moon-Sun;Seo, S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18-1721
    • /
    • 2015
  • 본 논문에서 구현한 헬스케어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으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의 운동, 식단 등과 같은 건강기록을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건강기록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알맞은 건강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개인 건강기록(PHR) 정보와 라이브로그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지식베이스를 설계하고, 온톨로지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개인건강기록 시스템 개발)

  • Lee, Jisoo;Dang, Thien-Binh;Yeom, Sanggil;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80-682
    • /
    • 2017
  • 최근 급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성 질환은 초기 증상 발생 시 올바른 인지와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그러나 유지 관리비용 면에서 모든 개인의 응급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의료시스템은 구축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심박 체온의 생체신호로 응급 상황을 판별해 지정된 보호자에게 알린다. 또한, 응급버튼을 통해 곧바로 응급상황을 알린다. 개인이나 가족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velopment of Personal Health Profiling System Based on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FHIR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개발)

  • Kim, Young-Sik;Kim, Il 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360-362
    • /
    • 2014
  • Health Level Seven(HL7)에서 V2.x, V3 보다 향상된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ty Resources)를 표준을 개발하고 있고, 이를 채택한 솔루션 개발이 활발하고, 각 국가 의료환경에서의 검증이 필요하다. 현재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V2.x Message와 V3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CDA)가 존재 하지만, 이 기술 표준들을 개발하고 사용하는데 긴 시간 투자의 문제점이 있다. 현재 V4로 불리우는 개선된 FHIR를 사용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인지 확인한다. 개인건강기록 관리 또한 사회적인 관심을 끌고 있고,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함을 반영하여 개인건강기록 관리 시스템을 스마트폰으로 접속 가능한 시스템으로 개발한다.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시스템과 Personal Health Profiling(PHP) 시스템간의 정보교류를 FHIR Open API로 구성한다. PHP 시스템에서는 이들 트랜잭션을 RESTful 서비스로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FHIR기반의 PHP 시스템을 통해 개인건강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