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선 형상

Search Result 1,17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Effects of Novel Fin Shape of High Temperature Heat Exchanger on 1 kW Class Stirling Engine (1kW급 스털링엔진 고온 열교환기의 Fin 형상 개선 효과 분석)

  • Ahn, Joon;Kim, Seok Y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8
    • /
    • pp.545-552
    • /
    • 2017
  • In this research,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novel and existing fins, adjusted in terms of factors such as length, spacing, and angle, of a high-temperature heat exchanger for a 1 kW class Stirling engine, designed as a prime mover for a domestic cogeneration system.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s a result of shape optimization was confirmed with numerical analysis by including the air preheater, which was not considered during optimization. However, a negative heat flux was observed in the cylinder head portion. This phenomenon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exhaust gas and wall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Furthermore, assuming an ideal cycle, the effects of heat transfer enhancement on the thermodynamic cycle and system performance were predicted.

Design of an Evaluation Tool for SCM Process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프로세스 평가 도구 설계)

  • 이영식;장치원;황선명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723-726
    • /
    • 2003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소프트웨어의 품질 및 생산성을 높이고 조직의 업무를 효과 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서 프로세스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 방법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형상관리 활동을 관련 표준에 바탕을 두어 정량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고,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형상관리 프로세스 평가 도구를 설계하였다.

  • PDF

EDISON_CFD를 이용한 화성에서 운용 가능한 풍력터빈의 설계

  • Kim, Dong-Hyeon;Park, Sang-U;Jeong, Sang-J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614-618
    • /
    • 2016
  • 본 논문은 EDISON_CFD를 활용하여 화성에서 운용 가능한 풍력터빈에 대해 실험 및 개선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성의 중력 및 공기밀도 등 화성의 환경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풍력터빈의 형상을 새롭게 설계 하였다. 개선 설계는 기존의 풍력발전기 형상을 변형시키며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받음각과 형상에 따라 생성되는 토크를 확인하였다. 개선설계한 풍력터빈 모델은 단위 미터 당 약 8 W의 전력생산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Fast Structure Recovery and Integration using Improved Scaled Orthographic Factorization (개선된 직교분해기법을 사용한 빠른 구조 복원 및 융합)

  • Park, Jong-Seung;Yoon, Jong-Hy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3
    • /
    • pp.303-315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3D structure recovery and registration method that uses four or more common points. For each frame of a given video, a partial structure is recovered using tracked points. The 3D coordinates, camera positions and camera directions are computed at once by our improved scaled orthographic factorization method. The partially recovered point sets are parts of a whole model. A registration of point sets makes the complete shape. The recovered subsets are integrated by transforming each coordinate system of the local point subset into a common basis coordinate system. The process of shape recovery and integration is performed uniformly and linearly without any nonlinear iterative process and without loss of accuracy. The execution time for the integr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relative to the conventional ICP method. Due to the fast recovery and registration framework, our shape recovery scheme is applicable to various interactive video applications. The processing time per frame is under 0.01 seconds in most cases and the integration error is under 0.1mm on average.

  • PDF

A fundamental study on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improved shape steel fiber shotcrete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현장 적용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 Kim, Sang-Hwan;Heo, Ch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5 no.1
    • /
    • pp.59-68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the fundamental study on the field applicability of new-type steel fiber improved the existing shape.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reviews and the laboratory test program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 of the new-type of steel fiber. The steel fiber sticking coefficient of new-type steel fiber was estimated from the test results. The laboratory scaled shotcrete rebound tests were also performed to analysis the field applicability of New-type steel fiber shotcrete and the mechanical behaviour of New-type steel fiber shotcrete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steel fiber shotcrete.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 characteristic of New-type steel fiber shotcrete was incre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Shape Decomposition (형상 분해를 이용한 손동작 인식)

  • Choi, Junyeong;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23-2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형상 분해(Shape Decomposition)를 이용한 손동작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형상 분해 방법을 손동작 인식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동작에 대해서 유연한 인식이 가능하며, 기존의 형상 분해 방법을 손 형상 분해에 적합하게 효율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실시간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Initial Shape Analysis of 3 Dimensional Suspension Bridges using Improved TCUD Methods (개선된 TCUD법을 이용한 3차원 현수교의 초기형상해석)

  • Jo, Kyeong-Sik;Kim, Min;Kim, Moon-Yo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78-8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TCUD(Improved TCUD, I.TCUD)법 및 개선된 초기부재력법(Improved Initial Force Methods, I.IFM)을 이용하여 3차원 현수교의 초기형상해석을 수행하였다. 절점평형법에 의하여 초기 평형상태를 결정하고, 이때 계산된 무응력장을 초기값으로 입력하여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여 나온 값을 초기값으로 하여 해석을 반복한다. 이를 통하여 간단한 수치 해석 기법인 I.IFM이 정밀한 I.TCUD법과 비교하여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수치예제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Improved deformation energy for enhancing the visual quality of planar shape deformation (평면 형상 변형의 시각적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형상 변형 에너지)

  • Yoo, Kwangseok;Choi, Jung-Ju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8 no.4
    • /
    • pp.1-8
    • /
    • 2012
  • We present improved deformation energy to enhance the visual quality of a shape deformation technique, where we preserve the local structure of an input planar shape. The deformation energy, in general, consists of several constraints such as Laplacian coordinate constraint to preserve the quality of deformed silhouette edges, mean value coordinates and edge length constraints to preserve the quality of deformed internal shape, and user-specified position constraints to control the shape deformation. When the positions of user-specified vertices change, shape deformation techniques compute the positions of the other vertices by means of nonlinear least squares optimization to minimize the deformation energy. When a user-specified vertex changes its position rapidly, it is frequently observed that the visual quality of the deformed shape decrease rapidly, which is mainly caused by unnecessary enlargement of the Laplacian vectors and unnecessary change of the edge directions along the boundary of the shape. In this paper, we propose improved deformation energy by prohibiting the Laplacian and edge length constraints from changing unnecessarily. The proposed deformation energy incorporated with well-known optimization technique can enhance the visual quality of shape deformation along the silhouette and within the interior of the planar shape while sacrificing only a little execution time.

엔드밀 형상에 따른 절삭가공 분석과 DB 구축 및 형상설계 S/W 개발에 관한 연구

  • 한창규;고성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67-267
    • /
    • 2004
  • 엔드밀은 산업현장에서 정밀 금형과 다이 제조 시 넓게 사용되는 절삭 공구이며 공작기계의 향상에 따라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공작기계의 고속화에 따라 공작기계의 측면에서는 강성 증가, 열변형의 억제와 동적 안정성의 개선 및 응답성 개선을 통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이송속도와 절삭속도의 증가를 통해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공구의 측면에서는 새로운 재종 및 코팅기법의 개발을 통해 공구수명의 향상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공구형상의 최적화를 통해 동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가공 정밀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inary Shape Coding Using Baseline-Based Method (베이스라인 기반 이진 형상 부호화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Jeong-Hun;Park, Sang-Ju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4
    • /
    • pp.403-410
    • /
    • 2001
  • 물체의 형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베이스라인기반 기법을 개선하였다. 베이스라인 기반 기법은 2차원인 물체의 형상 데이터를 전환점(turning point)과 기준선(Baseline)으로 부터의 거리값으로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즉, 가로나 세로의 한 방향의 거리 값과 다른 방향의 전환점을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베이스라인 기반 기법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허용 왜곡과 비트율을 판단하여 가로나 세로로 기준점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서 부호화해야하는 점들과 전환점들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압축률을 높이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기존의 부표본화에서 사용된 왜곡을 판단보다 더 세밀하게 판단하여 더 많은 종류의 부표본화를 가능케 함으로써 압축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베이스라인 기반 부호화와 MPEG-4에서 채택하고 있는 CAE(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와 비교해 보았을 때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