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별요소 복원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한.중.일 역사문화경관 비교를 통한 상상적 환경 복원

  • Park, Gyeong-Bok;Sim, U-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07.10c
    • /
    • pp.15-19
    • /
    • 2007
  • 본 연구는 서양의 과학적 합리적 이성주의에 대한 단절된 동양문화의 상징적 사유체계에 내재된 상상적 환경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상적 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의 고대도시인 서울, 북경(北京), 교토(京都) 등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들 사례도시의 역사 문화경관을 분석하여 상상적 환경요소를 도출하고자 해석학과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였다. 동북아시아 삼국(한 중 일)의 역사문화경관 비교와 재해석을 통해 그 속에서 내재된 상상적 환경을 도출한 결과, 각 도시에 내재된 장소의 정신과 자연환경요소가 인문환경요소로 반영되어 구조화되었으며, 개별요소들이 결합하여 조직화되었고, 점진적으로 장소(場所)의 혼(魂)은 더욱 성화(聖化)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생활의 실존적(實存的) 장(場)인 도시공간을 상상적 환경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비교분석한 최초의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동북아시아 삼국의 역사문화경관에 내재된 상상적 환경의 보편성을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으나, 각 도시별 세부적인 요소에 이르기까지 특수성을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 PDF

The Traditional Garden Conservation Techniques through Partial Restoration Case - Focusing on the Palace Garden Sites of Korea, China and Japan - (일부 복원 사례를 통해 본 전통정원 보존기법 - 한·중·일 궁궐정원 유적을 중심으로 -)

  • Kim,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28-35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toration techniques of traditional garden sites targeted Korean, Chinese, Japanese palace garden. Restoration was divided into the restore foundation and restore individual elements depending on the residual state of the actual garden features. And derived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considered by conservation techniqu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anfo Pavilion Area in Beihai Park where the foundation and foundation stones were restored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Archaeological Site in Gwanbuk-ri, Buyeo restored only the remaining structures of the ponds, waterways and large buildings among the areas where the excavation was completed. The Second Daigokuden Garden in Heijokyo Palace restored building sites and foundation, and installed poles and piles so that the area of the Second Daigokuden Garden could be known. Second,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Gyeongju where the restoration of individual elements was made, preemptively restored the remains of traditional gardens based on pond garden estuaries and feedbacks that were confirmed through initial excavation. Huanghuazhen Area in Yuanmingyuan Garden was restored based on Western copper plate prints and related records, but further data found after the restoration confirmed that it was restored differently than it is now. East Palace Garden in Heijokyo Palace covered existing features with soil and restored buildings on them. Typical garden elements such as landscape stone and waterways were preserved and exposed. Third, foundation restore is a case in which the base is identified through the current state of the traditional garden site, it is important to restore the foundation first and secure the territoriality when there is no restoration plan for the elevation structure or size of the garden relics. Restoration of individual garden elements requires careful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by limiting the restoration of objects that can be resto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for each element, such as some buildings or facilities in the traditional garden site.

Development of linkage system between grid-based hydraulic model and ecological connectivity assessment model (격자기반 수리해석 모형과 생태적 연결성평가 모형의 연동시스템 개발)

  • Kim, Chang Wan;Chegal, Sun Dong;Cho, Gil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73-75
    • /
    • 2018
  • 최근의 하천복원 사업은 제외지 중심의 하천복원에서 벗어나 제내지의 격리 차단된 구하도까지 복원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복원에 따른 수리적 및 생태적 연결성 향상이 적절히 수행되는지에 대한 정량적 평가 수단이 부족한 상태다. 본 연구에서는 구하도 복원에 따른 생태적 연결성 평가수단으로서 복원전 후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대상어종의 서식처적합도지수(HSI)와 식생의 공간분포를 분석 또는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공간분포된 수리특성을 위해서는 2 3차원의 모형이 필요하지만 복잡한 계산과정, 고도의 기술 및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1차원 홍수추적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1차원 수리특성을 2차원으로 확장시키는 수치모형도 함께 개발하였다. 다만 개발된 각 모형의 단계별 실행 결과는 개별적인 요소의 평가로서 그 의미가 작으므로 하천복원의 종합적 평가를 위한 수리-물리서식처-식생의 통합적 모의가 필요하다 개발된 모형의 사용성 증대 및 생태적 연결성 평가 통합모형으로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모형을 하나의 연동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하며, 연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리적 및 생태적 연결성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해석할 수 있다.

  • PDF

Radiation of the damper of Loudspeaker (스피커 댐퍼의 음향방사)

  • Yi H.R.;Oh S.J.;Yoon S.W.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27-130
    • /
    • 2004
  • 다이나믹 스피커의 진동판과 보이스코일을 지지하는 댐퍼는 스피커 진동부에 복원력을 공급하는 탄성체로서만 고려되어 왔다. 즉, 음파발생 장치로서 스피커를 고려할 때, 음파발생부로서 진동판과 부가적 음파발생부로서 에지에 의한 영향만이 고려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진동판과 에지를 제거한 후, 댐퍼와 보이스코일 만으로 진동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제작하여 댐퍼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댐퍼를 개별적인 음원으로 가정하여 댐퍼에 의해 발생된 음파를 계산하여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댐퍼는 스피커 진동계 복원력을 제공하는 요소로저 만이 아닌 진동판 이외의 부가적인 음원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ehabilitation after Bankart and SLAP Repair (Bankart 병변과 SLAP 병변 수술 후 재활)

  • Kim, Y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2 no.2
    • /
    • pp.75-81
    • /
    • 2008
  • 견관절의 안정요소 중 정적 안정요소는 관절와 상완 연골 인대 복합체나 관절 일치성 등으로서 재활 과정 중 신장 운동에 관여하며, 회전근 개 근육과 각 관절 사이의 운동 조화 등으로 이루어진 동적 안정요소는 근력 강화 운동으로 재활이 이루어진다.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 후 재활은 복원된 조직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향상하기 위해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드러운 수동 관절 운동을 먼저 실시한다. 능동적 관절운동은 수술한 조직이 치유될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환자가 통증없이 독립적인 견관절 운동이 가능할 때 실시한다. 견갑와 상완 관절뿐만 아니라 견갑 흉곽 운동과 견갑골 부착 근육에 대한 재활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끝으로 본문에 상술한 모든 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운동 내용과 시기를 조정하여 개별화해야 효과적인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An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Basic Data System for Restoration of 3x3 Kan Central Hall Remains of Buddhist Temple in Joseon Dynasty - Comparison with the floor plan of the extant Hall- (조선시대 사찰의 3X3칸 주불전 건물지 복원을 위한 자료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 현존 주불전과의 평면 계획 비교를 중심으로-)

  • Kim, Hwan-Chol;An, Dai-Wh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163-177
    • /
    • 2016
  •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making a system of basic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3X3 Kan central hall remains of a Buddhist temple from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both an extant hall and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basic material can be construc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floor plan. Multi-step comparisons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example for restoration. For this study, five parts of the 3x3 Kan remains were compared with 70 extant halls for a case study. For the first comparison, the limit of collection makes four examples in the whole examples. There are many relationships with the area and the length ratio of the front to the side as the comparison articles, so there are examples that satisfied both comparison articles. However,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ratio of the front Eokan to the front Hyeopkan and the length ratio of side Eokan to the side Hyeopka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asic material shows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with various directions that have pros and cons.

A Study on Rural Landscape Change by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농촌개발정책이 농촌경관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ang, Young-Eun;Choi, Dong-Wook;Hong, Sung-Hee;Jung, Yun-Hee;Kim, Sang-Bum;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21-35
    • /
    • 2011
  •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whi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rural areas in modern tim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Korean rural landscape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rural landscape.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rural landscape systematically, it should be divided into six types: housing landscape, cultivation landscape, green landscape, waterside landscape, streetscape and symbolic and religious landscape. According to this step, the contents and the procedures of changes were analyzed general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the styles of changes were deduced to be formation, alternation, relocation, damage and restoration on landscape elements. Lastly, it was concluded that complex changes of landscape in rural areas from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have been continued from macroscopic changes like overall structure and system of landscape to microscopic changes like shape, material, size and color of each landscape element. Rural villages which have not had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applied to them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is study.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uggest the direction for desirable rural planning. Future studies need to consider landscape change through not only the development policy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Old Stone Wall' Registered as a Cultural Property Focused on an Old Stone Wall in Sang-Hak Village ('옛담장' 등록문화재의 활용 방안 연구 정읍 상학마을 '다무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 Lee, Min Seok;Jeong, Seong Mi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4
    • /
    • pp.50-73
    • /
    • 2009
  • Recently old stone walls were designated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at meant an extension of categories about cultural properties from a spot area to whole area. Moreover given the changing situation of residential pattern, which is due to rapid social change, this designation can be seen as a significant measure to keep as intact as possible traditional landscapes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symbol system and meaning of old stone walls and attempt to pick out the cultural elements which are related to them. These days we have made efforts to various aspects for which mak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cultural contents. But many studies had done before emphasized aspects for beauty only. Especially existing studies about an old stone wall was mainly focused on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and tourist route. So we need to build a plot around oral research and need a creative approach for sharing with tourists. Cultural contents combine the original form, potential and capabilities with media by detecting original form of culture and finding out the worth and meaning. In this paper examined the probability of using by investigating a stone wall in Sang-hak Village that is related with recovering of places to live in contemporary society and finding cultural contents. I suggest more creative ways to make cultural properties into tourist resources by considering the possibilities of place marketing using storytelling, based on an analysis of data gathered.

Analysis of the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Bongsudang-jinchan Banquet in Joseon Dynasty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무대와 공연 요소 분석)

  • Song, Hye-ji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18
    • /
    • pp.413-444
    • /
    • 2009
  •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the ceremonial procedures and dance featured in bongsudang-jinchan, a feast celebrating the 60th birthday of Hyegyeong-gung Hongssi (Crown Princess Hong of Hyegyeonggung), the mother of King Jeongjo, which took place in Hwaseong haegung palace in 1795. The primary sources used are data on bongsudangjinchan recorded in Wonhaeng-eulmyojeongriuigwe, Jeongjo-sillok, Hongjae-jeonseo, pictorial sources such as Folding Screens of Hwaseong-neunghaeng and Hwaseong Ilgi, which is a journal in Korean by Yi Hui-pyeong. A court ceremony to offer music, dance, flowers, and food, as well as wine and poetry which express the sentiments of chung (fidelity) and hyo (filial piety) was considered a national ceremony and has constituted a unique musical culture during the 500 years of Joseon dynasty. However, after the fall of Joseon dynasty, ceremonial music and dance, which have been organically linked within the overall symbolic system of ye (courtesy), became scattered to become independent 'pieces.' As a result, all of their philosophy, principles, and the time-space interpretation of court music and dance became greatly reduced, leaving only the artistic expression and formal structure of the music and dance to become emphasized. Since the 1990s, there has been many research and events aiming to re-create the court ceremonial tradition,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the related performance activities. This is especially true with bongsudang-jinchan, which is now being performed on modern stage in various form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the issue of re-creating and restoring the original, and the question of artistic value found in the traditional pieces. Until now, much focus has been paid to the outer re-construction of uiju document as recorded in Wonhaeng-eulmyo-jeongriuigwe. On the other hand, there lacked an in-depth study which analyzes the stage situation and performance elements. Therefore in this paper, after focusing on the stage structure and performance elements, it is concluded that bongsudang-jinchan, the only court feast to be held in Haeng gung, not only consists of the fundamental aspects of court performance principle as 'governing through ye and ak (music),' but also served as an important occasion to bring together the sovereign and the subject. Bongsudang-jinchan had features of both naeyeon (feast for ladies) and oeyeon (feast for gentlemen). It minimized the use of screens and allowed every guest to enjoy food, music, and dance together, but provided a separate tent for foreign guests, maintaining the ideal balance between equality and distinction among different gender and social status. A screen symbolizing the venue for the feast is placed for all of the government officials. The king then pronounces the beginning of the banquet in which the ideal of gunsin-dongyeon (king and officials dining together) is realized. This indicates that bongsudang-jinchan, compared to other court ceremonies that emphasize the principle of yeak (courtesy and music), focuses more on the spirit of harmony and rapprochement. The king played a more active role in bongsudang-jinchan than in any other royal feasts. Examples as recorded in uiju documents are; Jeongjo's conversation with his retainers after the 7th wine, king's bestowing of food and flowers to the officials, writing his own majesty's poems with regard to the festival, and asking the retainers to write replying poems. All thes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making the occasion more rich, extensive, and meaningful. Moreover, as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orchestral music and court dance featured in bongsudang-jinchan shows, it was like any other court banquet in that it employed minimal use of extravagance in movements and conversation. However, the colors and tonal texture used in the music and dance were more brilliant in this case. Compared to other banquets that took place before king Jeongjo, the dance style was more diverse, which included some of the latest additions. There were past performances arranged anew. Noteworthy are; the incorporation of "Seonyurak (Boat Dance)" and "Geommu (Sword Dance)," traditionally used for local officials and civilians feast, to suit the court taste; and the use of saenghwang (mouth organ), which was a rising instrument in pungnyubang (literati's private salon), for "Hakmu (Cranes Dance)." This especially indicates the nature of the 'open structure' pursued by the court banquets at the time, which strove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rules and customs and accept something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