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방 시스템

Search Result 1,438,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Gas Generator를 이용한 액체 로켓 터보펌프 엔진 시스템의 동특성 해석

  • 정영석;임석희;이한주;조기주;오승협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88-88
    • /
    • 2003
  • 로켓 엔진 시스템에는 가압가스로 추진제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가압 시스템과 터보펌프를 이용해 엔진으로 고압의 추진제를 공급하는 터보펌프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터보펌프 시스템은 다시 Gas Generator를 이용하는 개방형 엔진과 Prebumer를 이용한 폐쇄형 엔진인 다단 엔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로켓의 엔진 시스템은 Turbine, Turbopump, Gas Generator, Thrust Chamber, Tube, Valve, Propellant Tank 등 각 구성품 간에 서로 상호간섭이 매우 심한 공정이다 로켓 엔진 시스템은 이와 같은 상호간섭에 의해 추력 제어 및 혼합비 제어, 추진제 소진 제어 적용 시 정확하고 강인한 제어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확한 동특성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모델을 통해 적절한 제어 시스템을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며 해외의 경우 로켓은 특수 분야에 속함으로 공개되어 있지 않다. 로켓에 대한 개발 연구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선행 연구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Gas Generator를 이용한 개방형 터보펌프 엔진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as Generator를 이용한 개방형 터보펌프 엔진시스템에 대한 동특성 모델을 구성하였다. 배관부, 터빈, 펌프, 밸브, Gas Generator, 재생냉각, 추력연소실 등 엔진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품에 대한 동특성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matlab의 simulink를 통해 각 구성품을 연결하여 최종 엔진시스템의 동특성 모델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동특성 모델을 통해 각종 변화(추진제 밀도 변화, 추력 변화, 혼합비 변화 등)에 대한 엔진 시스템 변화를 예측하여 정확한 엔진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넓혔으며 추력 제어 및 혼합비, 추진제 소진 제어를 최적으로 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개방형 네트워크 프로토콜

  • 강현주;최준균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8 no.5
    • /
    • pp.55-65
    • /
    • 2001
  • 본 고에서는 개방형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현재 가장 활발하게 연구 개발이 진행중인 GSMP (Generic Switch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과 MEGACO 프로토콜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통해 망 환경을 위한 시스템간에 표준화된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규 서비스를 위한 진화 측면에서 기존 서비스와 상호 연동이 가능한 개방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진화 전망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Analysis of dynamic downpull force on underflow type floating gate (부력식 수문의 동적 하향력 분석)

  • Lee, Ji Haeng;Han, Il Yeong;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78-78
    • /
    • 2018
  • 자동수문이란 설정된 관리수위 이하에서는 수문이 개방되지 않고, 유량이 증가하여 관리수위 이상이 되면 수문이 개방되어 관리수위까지 방류하게 되면 다시 수문이 닫히게 되어 자동으로 관리수위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직 자동수문의 방류특성이 수동식 연직수문과 다른 점은 유량에 따라서 수문 개방고의 증감과 수문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수문의 운영 중 수문개방고의 거동과 자동개폐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정밀한 수문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수문 개방 시 흐름이 정지되어있다고 가정하면, 정수압 상태의 부력이론에 의한 부력수문의 개방고는 어렵지 않게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흐름이 정지되어 있다가 수문의 하단으로 방류가 시작되면 수문 선단을 포함한 주변에 압력 차이로 인해 동수압 하중이 발생하게 되어 수문에 진동을 유발하고, 수문개방을 억제하는 힘이 발생하여 수문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부력식 수문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정수압 상태의 부력이론에 의한 수문 개방율과 측정에 의한 수문 개방율을 비교하였으며, 압력계수를 이용하여 이론과 측정 수문 개방고의 차이는 동적하중에 의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측정된 자료와 수치모형 ANSYS - Fluent의 사용성을 검증하였고, 부력식 수문의 형상에 따른 동적하중을 분석하였다. 수문 형상비는 0.24~1.09로 설정하였고, 분석결과 부력식 수문은 수문 개방율이 커짐에 따라 압력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적하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부력식 수문의 형상비에 따라서는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동적하중이 감소하는 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건축의 개방형시스템을 위한 표준화(2)

  • Park, Jun-Yeong
    • Korean Architects
    • /
    • no.8 s.352
    • /
    • pp.84-88
    • /
    • 1998
  • 이번 글은 총 4회에 걸쳐 연재될 "건축의 개방형시스템을 위한 표준화" 가운데서 제2회에 해당한다. 특히 ISO 및 국내외 표준화 추진현황의 종합결과를 바탕으로 '국제화에 대응한 표준화의 개념 및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표준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과 동시에 향후 건축사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코자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nufacturing Resource Management System as Open Type based on Mold Image Data (금형 이미지 데이터 기반 개방형 제조 자원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Yoon, Yeo-Been;Cho, Jung-Hyun;Song, Je-O;Lee, S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27-22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견적 단계부터 공정별 제조 현황을 고객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MRP 시스템과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제조현장 작업자들 중심의 실시간 제조 현황 데이터를 관리 및 활용하여 생산 납품에 대한 예측 관리하며, BOM 중심의 소요 자재 관리는 물론, 소모성 자재를 위한 Part List 개념이 도입된 MRP 기반의 MRO 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동시에 고객의 발주 정보를 기초로 유휴 및 유사 금형을 검색하여, 금형의 재활용 및 생산원가와 납기일 등의 코스트 절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고객 개방형 제조 관리 시스템 구축을 제안한다.

  • PDF

An Extension of managed object for more effective integrity control in framework-based software environment (프레임웍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효과적인 무결성 제어를 위한 관리 대상의 확장)

  • 심우곤;백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558-560
    • /
    • 1998
  • 기존의 개발방식은 개발자의 가정과 제한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가정을 벗어난 요구사항의 변화에는 쉽게 적응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개방형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많다. 최근 많은 개발 방식들이 선보이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요구사항의 변화에 따라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일부가 변경되면 전체 시스템의 무결성이 깨어진다는 데 있다. 즉, 무결성의 보장 없이는 개방형 시스템 구축의 의미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수주의 효율적인 무결성 제어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그 관리대상을 확장.정의하였다.

형상모델링 시스템 개발도구 AICS

  • 이순섭;한순흥;염재선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1
    • /
    • pp.15-18
    • /
    • 1993
  • 1970년대 초반부터 조선공업에 이용되기 시작한 CAD/CAM시스템은 설계단계에서 생산단계까지 그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그 적용범위도 계속 넓어져 가고 있다.그러나 이들 CAD/CAM시스템들은 폐쇄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종 설계관련 응용프로그램과의 접속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CAD/CAM은 개방형 구조를 갖고, 기존환경과 접목이 가능한 통합시스템 개발로 나아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객체지향기술을 실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개방형 구조를 갖는, 객체지향형 모델러인 AICS에 관해서 소개하였다.

  • PDF

Analysis on Authentication Mechanism in Open Distributed Systems (개방형 분산 시스템 환경의 인증 메커니즘 분석)

  • 강창구;최용락
    • Review of KIISC
    • /
    • v.7 no.2
    • /
    • pp.15-34
    • /
    • 1997
  • 분산 시스템 환경은 다수의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보안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논문은 개방형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각종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인증 메커니즘에 관하여 다룬다. 기본적인 위협 요소, 인증 요구조건 및 서비스를 검토하고 관련된 메커니즘들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분산 시스템의 응용에서 암호학적인증 메커니즘의 설계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Kerberos, X.509, SPX 및 SESAME 인증 메커니즘을 실체 인증의 개념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PDF

A Web Synchronization System based on M2M (M2M 기반에서의 웹 동기화 시스템)

  • Ko, 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52-1153
    • /
    • 2011
  • 본 시스템은 개방형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사물 지능 통신) 기반의 개방형 API 중에서 컴퓨터 지원 협력 작업 환경 API 에서의 웹 동기화 시스템에 대한 설계를 제안한다. M2M 기반의 웹 동기화 시스템이 잘 지원되면 웹 기반 원격 제어, 결함 진단 등 개발 시 비 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