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방형 오피스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Open Telematics Service Based on the Gateway and Framework (게이트웨이와 프레임워크 기반 개방형 텔레매틱스 서비스 개발)

  • Kim, Chul-Su;Kim, Jong-Ik;Han, Woo-Yong;Kwon, Oh-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591-59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 게이트웨이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확장된 개방형 서비스 응용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개방형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대표적인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모바일 오피스를 개발하였다. 텔레매틱스 게이트웨이와 프레임워크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개발자들이 통신망에 대한 상세한 지식 없이도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하고 특정 이동 통신망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텔레매틱스 개방형 서비스 응용 프로토콜은 텔레매틱스 단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이에서 주고 받는 메시지들을 정의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오피스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서비스 응용 프로토콜을 확장하였고 확장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방형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IMT-2000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 서은주;이상민;김윤관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8 no.8
    • /
    • pp.88-98
    • /
    • 2001
  •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 위주였으나, 현재에 와서는 음성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게임, 위치, 동영상, 전자상거래, 모바일 오피스 등의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비중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아이디어를 신속히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무선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대한 요구가 커지자, 자바, BREW, stinger, SIM toolkit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비동기 표준 단체인 3GPP에서는 이들 현재 기술들을 바탕으로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인 MExE를 제안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대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입장과 각 요소 기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Digital Format Registry for Opened Office Document format (다양한 문서형식을 지원하는 기술정보은행(DFR) 개발)

  • Sohn, Won-Sung;Nam, Dong-Sun;Lim, Soon-Bum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33-3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XML 기반의 Digital Format Registry를 고도화하며 국내 실정(750 여개의 기록관)에 맞는 기술정보은행 서비스 제공 모델을 연구하여 적용방안을 수립하고 이에 필요한 요소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도 고도화 연구 개발 사업에서는 이러한 표준에 대한 지원을 최우선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업무 환경에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국제 표준기반의 ODF(Open Document Format)와 OOXML(Office Open XML)이라는 개방형 오피스 문서 형식을 추가 지원하였으며, ISO 28500 WARC라는 웹 기록물 저장 국제 표준 형식에 대한 유효성 검증 기능을 개발 추가하여 웹 기록물에 대한 장기보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2010년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 분석 및 전망

  • Seo, Seung-Hyun;Kim, Jong-Myoung;Chun, Kil-Soo
    • Review of KIISC
    • /
    • v.21 no.1
    • /
    • pp.11-18
    • /
    • 2011
  • 국내외 스마트폰 가입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소설미디어 산업, 생활 밀착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산업, 모바일 광고 및 미디어 산업 등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이끌고 있으며, 정부 및 민간 기업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오피스 도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손안의 PC'로 불리는 스마트폰은 기존 PC가 가지고 있던 보안 위협 문제들도 내재하고 있으면서 무선인터넷 환경, OS 플랫폼의 개방성, 오픈마켓의 위험성, 도난 및 분실, 위치정보 노출 등의 신규 보안 위협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취약성들을 활용한 새로운 모바일 악성코드들의 출현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발생한 국내외 모바일 악성코드의 현황을 살펴보고, 2010년에 출현하였던 모바일 악성코드들의 주요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최근 악성코드들의 동향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