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방형 링크드 데이터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Publishing in Library Linked Open Data (국내 도서관 링크드 오픈 데이터 구축과 발행의 개선방안 연구)

  • Lee, S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7 no.2
    • /
    • pp.145-16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situation where library LOD does not spread after the introduction of library LOD.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The improvement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library needs to avoid the redundancy of the LOD construction target and build the only and specialized data. Second, libraries need to develop LOD services that reflect user needs and implement convenient LOD interfaces. Third, libraries need to establish identification system of data and build a authority file. Fourth, libraries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data opening and linking to librarians and user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publicity. Fifth, it is necessary to use LOD for integrated search and to establish an integrated platform for search of library LOD. Sixth, libraries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for LOD issuance and utilization, and form a working-level consultative body.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pursue strong policies with a continuous commitment to LOD promotion and need to continue to provide budget support.

Adaptive electronic publishing system based on semantic technologies (시맨틱 기술을 활용한 동적 적응형 전자출판 시스템)

  • Sun, Dongeun;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081-1083
    • /
    • 2013
  • 문맥/상황 또는 사용자의 개방/공유/참여에 따라 연관된 내용 또는 전체 내용이 복합적으로 변화하고 다양한 이질적인 데이터가 결합된 동적 적응형 콘텐츠를 출판하기 위해서는 시맨틱 매쉬업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문/잡지의 뉴스 콘텐츠를 링크드 데이터로 변환해서, 시맨틱 기술을 활용해 출판할 수 있는 전자출판 시스템을 제안한다.

빅데이터 기반 대용량 시맨틱 웹 검색 기술 동향

  • Yun, Seok-Chan;Nam, Gung-Hyeon;Yang, Seong-Gwon;Kim, Hong-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1
    • /
    • pp.24-29
    • /
    • 2012
  • 시맨틱 웹 기술은 웹의 초창기부터 다양한 연구와 표준이 개발되었지만 이를 활용한 데이터 서비스 분야는 그 역사에 비해 성공 사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 웹 2.0을 시초로 링크드 데이터의 성장, 정부의 개방형 데이터 서비스, 소셜 웹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웹의 구조적 데이터는 폭발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대용량 시맨틱 웹 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기존 시맨틱 웹 기반 검색 기술의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빅데이터(Big Data) 기술 요소인 하둡(Hadoop) 및 NoSQL을 활용하여 대용량 시맨틱 웹 데이터를 활용한 Daum의 영화/음악/인물 기반 의미 검색 및 의학 LOD를 기반한 검색 서비스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이종 모델 데이터간 연결 및 실시간 데이터 리비전 관리 등 한계점들을 살펴보고 향후 대용량 공공 데이터 활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