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지능화된 사물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과 사물 (물리 또는 가상), 사물과 사물간에 상호 소통하고 상황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인프라이며, 2017년 2,900억 달러 시장이 예측되는 스마트 폰 이후 유망기술이며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 등과 융합하여 초연결사회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IoT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 및 추론, 개방형 시맨틱 플랫폼, 고신뢰 네트워크, 센서-스마트 단말 인터렉션 및 협업, 에너지 하베스팅, 스마트센서 등의 핵심기술 개발과 글로벌 표준화, 정보보호, 사생활 침해 우려 등의 장애 극복을 위해 IoT 생태계 참여자 모두의 협력이 필요하다.
In today's rapidly-changing business context with technology convergence among various fields, new technology development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re very important to the survival and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is study develops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open innovation perspective and empirically tests it by using 2,000 data from SMEs in South Korea.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reveals that SMEs' external technology collaboration network and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divers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nd these effects are fully mediated by their new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especially in terms of SMEs' managers who pursue entrepreneurship.
This research deals with Freinet School in France as a model of open public schools, with focus on the school's operating philosophy, operating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e cases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suggestions for Korea's public education reform. Freinet School has been operated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French education activist Célestin Freinet(1896-1966). This researcher approached the following four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s Freinet School can have on the change and reform of Korea's public school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Freinet School has on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France? Second: What are the operating principles of Freinet School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viewpoints and roles towards its teachers and students? Third: What are the kin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utilization of time and space with regard to Freinet School's operating regulations and the cases of educational practices? Fourth: What suggestions can Freinet School provide for Korea's public educational reform? This researcher have conducted preceding and philological researches on Freinet School pedagogy and analyzed such data as moving image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the books published by Freinet School Teachers' Association.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초연결 혁명 진행 중에 있다. 이에 정부는 사물인터넷을 공공, 산업, 개인 등 국가사회 현안 해결의 수단으로 활용하여 산업경쟁력 강화 및 창의적 IoT 서비스 제품 창출과 중소 중견 전문기업 육성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물인터넷의 핵심인 단말 플랫폼기술에 대한 글로벌 기업 및 프로젝트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융합기반 사업화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 단말 플랫폼의 개발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본다. 뿐만 아니라, 향후 사물인터넷의 단말 플랫폼 경쟁력 확보 및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단말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하드웨어 플랫폼 구축방법으로 개발자 지향 개방형 SW-SoC(System on Chip) 융합을 통한 인프라 구축방안 제시하고,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 산 학 연 협력기반 기술개발 로드맵 방향을 제시한다.
Hanmin Jung;Youngjin Jang;Gihyeon Choi;Harksoo Kim;Jung Hoon Park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2023.01a
/
pp.131-132
/
2023
본 연구는 R&D 전주기 지원을 위해 과제 기획 및 수행과 연구성과 창출 시나리오를 통합 설계하고, 연구자 관점에서의 실효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연구가 R&D 전주기를 몇 가지 활동으로 세분화하고 모형화하였지만, 개념적 설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산업계 및 학계 전문가와 협력하여 R&D 경험을 시나리오에 반영하고 이를 프로토타입으로 실증하였다.
공공기술을 활용한 스케일업(Scale-up)이 기업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스케일업의 사전적 의미는 '규모 확대'다. 기술, 제품, 서비스, 경영 등 기업의 외형과 내실이 크게 개선되거나 그에 상응하는 성과 창출의 뜻이 담겨있다. 기업가치 10억 달러($1 billion) 이상, 설립된 지 10년 이하로 통칭되는 유니콘(Unicorn) 기업의 등장이 스케일업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 붙은 양상이다. 스케일업은 이러한 차원에서 고성장 기업을 통칭하는 말로 쓰인다.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직원 수 10명 이상, 최근 3년간 매출이나 연평균 고용 성장률이 20% 이상인 기업을 스케일업으로 정의한다. 문제는 미국과 같은 선진기업 환경에서는 핵심 기술이나 신성장 동력 확보차원에서 다양한 기업인수합병(M&A)이 추진되거나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개방형 혁신) 방식의 기업간 기술협력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그러하지 못하다는데 있다. 결과적으로 국내 기업 환경과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해 공공연구기관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거나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추진하는 연구소기업 제도를 활용한 스케일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4차산업 시대를 맞아 기업간 합종연횡이 더욱 빈번하고 일어나고 기술간 융복합이 가속화되는 지금의 상황에 비춰볼 때 공공기술을 활용한 연구소기업들의 다양한 스케일업 사례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안겨준다. 기업성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적 도구로 활용될 소지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3.05a
/
pp.905-912
/
2003
최근 웹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제조업체별 다양한 웹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으나 호환성의 문제와 XML이 가지고 있는 의미적 관계표현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웹을 통한 개방형 환경과 거래 참여자간 다양한 거래요구가 발생하면서 상호협력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와 자동화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맨틱 웹을 기반으로 하여 중개자 중심의 BtoB 웹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상거래 프레임웍을 비교분석하고 시맨틱 웹을 기반요소를 이용하여 웹서비스를 모델링하였다. 온틀로지를 지원하는 기술적 언어로 표현하여 에이전트간의 웹서비스 구현을 위한 가능성을 알아보고 시맨틱 웹이 BtoB 웹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제안하였다.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1999.10a
/
pp.144-149
/
1999
발전소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발전소 운전원의 훈련에는 기준 발전소 주제어실의 각종 패널라 계기들을 기계적으로 동일하게 만들고 정확한 수학적 모델로 발전소 시스템을 모사한 전 범위 시뮬레이터가 주로 이용된다. 전범위 시뮬레이터는 실제 현장을 모사하는 시뮬레이션 컴퓨터와 주제어실의 패널 계기들을 연결시켜 주는 I/O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기 설치 운용되고 있는 선행 호기 시뮬레이터를 보면 주 공급업체는 모델링 기술을 가지고 있는 업체가 맡고, I/O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I/O 모듈과 네트웍 프로토콜까지 협력업체나 자사의 독자 모델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I/O 모듈의 제작사가 대부분 외국의 특정 업체여서 예비품의 입수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어렵고,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용이성과 경제적 측면에서 특정 벤더 규격에 종속되지 않고 일반적인 표준을 따르는 off-the-shelf 제품을 이용하는 발전소 시뮬레이터 I/O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화력 발전소와 원자력 발전소를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I/O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요구사양을 소개하고, 네트웍에서 시스템 아키텍처까지 개방형 인터페이스 방식의 상용 제품을 채용하는 PC기반 시뮬레이터 I/O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성능 예측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 구축 방안의 효용성을 보인다.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19
no.4
/
pp.481-491
/
2018
As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is dynamic, uncertain, and complex, supply chain management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the supply chain in terms of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and capabilities of companies involved in the supply chain. Companies pursuing open innovation gain greater access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ccumulate knowledge flows and learning experiences, and may generate better business performance from dynamic capabil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upply chain dynamic capabilities, open innovation, and supply uncertainty on supply chain performance. Through questionnaires on 178 companies listed on KOSDAQ,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ion and reactivity capabilities among supply chain dynamic capabil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open innov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case of information exchange, an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ases of integration, cooperation and reactivity. Third, two of the 3-way interaction terms, "information exchange*open innovation*supply uncertainty" and "integration*open innovation*supply uncertain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upply chain needs to achieve optimization of the whole process between supply chain components rather than individual companies, dynamic capabil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performance. Second, for KOSDAQ companies featuring limited capital resources, open innovation that integrates external knowledge is valuable. In order to increase synergistic effec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ynamic capabilities accordingly. Third, since resources are constrained, managers must determine the type or level of capabilities and open innovation in accordance with supply uncertainty. Sinc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analyzing survey data, it is necessary to collect secondary data or longitudinal data. It is also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Kim, H.M.;Hwang, J.K.;Kim, M.;Chung, H.J.;Jo, C.H.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1996.10b
/
pp.59-65
/
1996
중국은 향후 2020년까지 1000MW급 경수로를 중점적으로 35기이상을 건설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잠재시장이다. 따라서 현재 1000MW급 원전기술자립을 95% 확보한 한국은 중국 및 인근 아시아지역 원전건설 시장에서 외국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주도적인 참여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원자력기반기술이 우수한 중국과 한국은 한국형표준원전(KSNP)을 기본모델로 하여 중국 및 아시아의 원전건설에 적용할 표준원전(CSNP, ASNP)을 공동개발 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성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이 원자력기술 수출국으로 위치를 확고히 하고, WTO 출범에 따른 원자력시장 개방화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원자력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건설자금조달 및 사업관리 능력과 함께 폭넓은 해외협력 관계를 갖춘 세계적인 원전공급자(Nuclear Vendor)를 육성해야 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