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방적 수술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개방형 비성형술 후 비계측 연구 (Nasoanthropometric Study After Open Rhinoplasty)

  • 김윤태;안강민;명훈;황순정;최진영;정필훈;김명진;이종호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2005
  • 1. Introduction : 개방형 비성형술은 직접적인 비소주에 대한 접근으로 진단과 기술상의 장점으로 인하여 과거 수년간 의심의 여지 없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비익 연골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비개방형에 비해 개방형 비성형술의 경우 콧구멍과 비첨부의 비대칭 및 비익부의 길어짐 등의 불만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개방형 비성형술의 경우 아직도 접근의 용이성 및 대칭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Material & Methods : 이에 서울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개방형 성형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술후에 비익과 비첨부의 대칭 및 비공의 크기 정도를 평가해보고 개방형 비성형술의 좋은 결과에 대해 논해보고자 하였다. 3. Resulo : 술 후 환자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양측의 대칭 정도에서는 조금씩 차이를 보여 비첨은 대개 이환측으로 변위되어 있었으며 비공의 크기에서도조금씩 차이를 나타내었다. 4. Conclusion : 지금까지는 주로 비순부의 평균치나 성장 방향을 연구하는데 주로 계측치들이 이용되었던 반면, 수술 후 일어날 수 있는 비부의 변화앙상을 나타내는 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고 특히 구순 구개열 환자에서 연령, 성별에 따른 표준자료의 부족으로 형태학적인 비교 연구 및 표준자료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구순 구개열 환자의 술 전 및 술 후 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차트를 만들었고 변화양상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자료를 제시하는 바이다.

  • PDF

개방적 내고정술을 시행한 발목 골절환자 2례에 대한 수술 후 한의 재활치료: 증례보고 및 5개월 추적관찰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of Korean Medicine for Ankle Fractures Treated by 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 2 Case Reports with 5 Months Follow-Up)

  • 권민구;조희근;박혜린;설재욱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7-17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therapies in two patients with ankle fracture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 (ORIF). Two patients with fractures who received ORIF received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herbal medicine, and physical therapy during hospitalization. Patients were evaluated for AOFAS score, NRS, ROM, and ankle circumference. Case 1 was improved from 30 points to 62 points on the AOFAS score, from 8 to 2 on the NRS, and from 33 cm to 30 cm on the ankle perimeter. ROM was improved in all directions. Case 2 showed an AOFAS score of 64 to 90 points, frome 5 to 2 on the NRS, and from 25 cm to 23.5 cm on the ankle perimeter. ROM was improved in all dir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has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of ankle fracture patients who have received ORIF.

봉합나사와 골터널을 이용한 골성 반카르트 병변의 고정 (Alternative Fixation Technique for Bony Bankart Lesion with Using Suture Anchor)

  • 김병국;이호재;김고탁;단진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74-578
    • /
    • 2019
  • 급성 견관절 탈구에 동반된 골성 반카르트 병변은 골편과 상완인대의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안정된 고정이 치료에 필수적이며, 이의 실패는 견관절 재발성 불안정성과 외상 후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반카르트 병변에 큰 뼈 조각 또는 분쇄된 골절 파편이 있는 경우, 관절경 수술 시 제한된 시야와 조작의 어려움으로 큰 골편을 골절 부위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렵다. 개방형 시술 시는 골편에 도달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부 조직 유리 및 절제가 필요하여 이는 신경과 혈관 합병증, 견갑하건의 약화 및 견관절 강직 등, 외과적 접근법과 관련된 병적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저자들은 관절경적 수술이 용이하지 않은 크기의 관절와 골절이 동반한 견관절 전방 탈구 환자에서 골절면에 봉합나사 고정 후 골 터널을 만든 골편에 봉합사를 통과한 후 골편 및 상완인대를 함께 매듭 하여, 해부학적 위치로 안정된 정복을 얻는 수술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좌하엽 절제술 및 기관지성형술을 통한 결핵성 기관지협착의 치료 (Left Lower Lobectomy with Bronchoplasty for Treatment of Tuberculous Bronchial Stricture)

  • 윤찬식;정재일;김재욱;이홍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40-643
    • /
    • 2001
  • 26세 여자 환자로 좌측 주기관지 협착과 좌하엽 무기폐를 동반한 기관지결핵 1례를 보고한다. 환자는 9개월간 항결핵제치료를 받았으나 흉통과 기침을 호소하고 있었고, 기관지조영술상 좌상엽 기관지는 개방성을 보이며 좌하엽 기관지는 협착이 있으면서 기관지확장증 소견을 보여 좌하엽 절제술 및 기관지성형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후 폐기능의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 기관지결핵의 수술적 치료는 논란이 있지만 기관지성형술은 폐기능을 보존해서 환자의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결핵성 기관지협착의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 PDF

구순열 이차비기형의 교정; 아동과 성인에서의 이차 비성형술 (Correction of Secondary cleft lip-nasal deformity; secondary rhinoplasty in children and adults)

  • 송진아;명훈;황순정;서병무;이종호;정필호;김명진;최진영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5
    • /
    • 2003
  • 본 교실에서 최근 4년 동안 행해진 수술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이차 비기형의 교정은 양측성의 경우 비교적 이른 시기인 4-5세에 시행되었고 편측성의 경우에는 치조성형술(alveoloplasty)의 시행을 먼저 고려한 후 10세에서 13세 경에 시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정부위는 편측성의 경우 비대칭을 교정하는 수술이 중점적으로, 양측성의 경우 비주 연장술이 중점적으로 행해졌는데 아동과 성인에서 모두 비주와 비첨 수술이 거의 90%정도를 차지하였다. 그 외에 비중격 성형술, 비공 성형술 등이 10% 내외로 시행되었다. 비첨 성형술은 양측성 구순열의 경우 모두Millard's forked flap으로 시행되었고 편측성의 경우 간단하게 연골을 박리하고 Tajima suture를 시행한 경우가 아동에서 77%, 성인에서 30% 였다. 개방형 비성형술을 시행한 경우는 아동에서 40%, 성인에서 71%를 보였다. 자가 연골이식을 시행한 경우는 아동에서 23%, 성인에서 70%를 보였다. 비중격의 편향을 보이는 편측성 구순열 환자 모두에서 비중격 수술이 시행된 것은 아니었는데, 비익의 비대칭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진 반면 비중격의 비대칭에는 그렇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수술이 심미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비중격 성형술의 시행에 있어 비강폐쇄의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사료되었다.

  • PDF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의 시력예후와 안외상 점수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Outcome and Ocular Trauma Score after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 박수진;손병재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62-1070
    • /
    • 2018
  • 목적: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최종시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안외상 점수(ocular trauma score, OTS)와 소아 안외상 점수(penetrating ocular trauma score, POTS)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3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개방안구손상으로 본원에 내원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였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OTS와 POTS를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20/200 미만의 초기시력, 안구파열, 7.0 mm 이상의 손상 크기, 망막박리, 수정체이탈, 총 수술 횟수는 불량한 최종시력(<20/200)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반면에 20/32 이상의 좋은 최종시력의 경우 각막중심 침범 유무, 외상백내장 유무, 7.0 mm 미만의 손상 크기, 20/200 이상의 초기시력과 관련성이 있었다. OTS와 POTS 모두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단적 가치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두 점수 체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청소년에게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에서 초기시력과 안구손상 크기는 최종시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예측인자이다.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의 최종시력 예측에 있어 기존의 안외상 점수(OTS)뿐만 아니라 소아 안외상 점수(POTS) 또한 좋은 예측도를 보여주어 둘 모두 유용한 평가 방법으로 생각된다.

견(犬)에서의 개방성(開放性) 동맥관(動脈管) 증례(症例) (Patent Ductus Arteriosus in the Dog)

  • 김명철;김교준;이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91-195
    • /
    • 1987
  • 충남대학교 부속가축병원에 내원(來院)한 shepherd 견(犬)을 대상으로 임상진단(臨床診斷), 심전도(心電圖) 및 X-ray 검사(檢査)를 실시하여 개방성(開放性) 동맥관(動脈管)으로 진단된 예(例)에 있어서 이를 확인하고 또 치료할 목적(目的)으로 진단적(診斷的) 개흉술(開胸術)을 시도하였다. Pentobarbital sodium을 사용한 마취로 좌측 제(第)4늑간(肋間)에서 개흉(開胸)하여 동맥관(動脈管) 이중결찰법(二重結紮法)으로 시술(施術)하였다. 시술결과(施術結果)는 개방성(開放性) 동맥관(動脈管)의 결찰 3 분준(分俊)에 심실세동(心室細動)이 발생하였기에 defibrillator 로 제세동(除細動)을 실시하였으나 효과(效果)없이 회복하지 못하였다. 합병증이나 cyanosis가 있을 경우에는 수술적합성 여부를 신중히 고려하여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조직학적(組織學的) 소견(所見)으로는 간(肝)의 만성(慢性) 수동성(受動性) 충혈소견(充血所見)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물받이 길이 및 접근경사에 따른 조력발전 배수구조물 통수능 검토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Slope and Length of Apron on Discharge through Gate Structure)

  • 윤광석;여규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26-1030
    • /
    • 2005
  • 조력발전 건설사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조수간만에 의해 외해부와 조지부 사이를 이동하는 해수를 적절히 소통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조지 단류식 발전으로 창조시에 발전을 행할 경우, 발전을 행하면서 높아진 조지내의 수위를 다음 발전을 위해서 낮아진 외해수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배수시키지 못하면 그 시설은 발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즉, 수문구조물의 목적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계획된 유량을 충분히 그리고 안전하게 배제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구조물에 대한 물받이의 길이와 경사의 변화에 의한 외해 조위와 시화호 수위차 조건에 따른 유량계수를 구해 배수능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화호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수리모형을 1:25의 축척비로 제작하였다. 시화방조제를 기준으로 외해부의 조위와 조지부의 수위차를 8가지의 실험조건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량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8개 실험조건을 계획에서 제시된 수위-조위 조건에서 수위차 및 통수유량을 분배하여 결정하였고, 유량계수 산정식에 따라 상류 흐름 안정지점에서 유속-면적법에 의해서 유량을 측정하였다. 유속은 8개 지점에 대해서 측정하였고, 각 측정지점에서의 측선은 $3\~5$개이며, 측점은 $3\~4$점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화호와 외해의 수위차가 1.011m일 때의 수문을 통과하는 유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 II와 III의 통과유량은 각각 $1,571m^3/s$$1,515m^3/s$ 의서 실험 I 의 $58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은 수위차별 유량곡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험 II에서의 수문의 통수능이 실험 I의 통수능보다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 PDF

단일수평부력제트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Behavior of Single Horizontal Buoyant Jet)

  • 서일원;권호중;권석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11-1015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부력 조건이 달라질 때 단공방류구에서 정체수역으로 수평방류되는 부력제트의 거동을 규명하였다. LIF (Laser Induced Fluorescence)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는데, LIF 시스템은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어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으며, 동시에 한 평면상의 농도장을 일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기술이다. LIF 시스템은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방출시스템, 포착시스템, 처리시스템이 그것이다. 실험 조건을 고려해서 온수를 이용하여 주변수와의 밀도차를 재현하였으며, LIF 시스템의 추적입자로 형광염료 Rhodamine B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 데이터 취득과정에서 필요한 검정과정을 수행하였는데, LIF 시스템에서 검정과정은 레이저 입사광의 강도가 불균등한 분포를 가지는 점과 주변수의 매질에 의한 근의 감쇠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LIF 시스템은 부력제트의 농도장을 매우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방류밀도 Froude 수가 변함에 따라 측정된 순간이미지를 통해 제트의 진화과정을 상세하고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검정과정을 거친 농도 종단면에서 중심선의 연장선이 LIF 시스템에 의해 측정된 순간이미지의 중심선 궤적과 거의 일치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LIF 시스템을 통해서 취득된 단일수평부력제트의 궤적과 중심선 희석률을 기존의 상용모형인 VISJET과 CORMIX1에 의해 예측된 결과와 비교$\cdot$분석한 결과, 제트 중심선 궤적의 경우, LIF 시스템을 이용한 측정값은 대체로 VISJET 모형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심선 희석률의 경우, LIF 측정값은 대체로 CORMIX1 모형, Cederwall(1968)의 경험식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0\%$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 PDF

소아에서 동측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을 동반한 외상성 견관절 후방 탈구 - 증례 보고 - (Traumatic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with Ipsilateral Humeral Surgical Neck Fracture in a Child - A Case Report -)

  • 강석;정필현;김종필;김영성;이호민;김종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80-83
    • /
    • 2011
  • 목적: 소아에서 외상으로 발생하는 견관절 후방 탈구는 극히 드문 손상이며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문헌상 아직 보고된 증례가 없다. 대상 및 방법: 태권도 운동 중 수상하여 좌측 견관절 후방 탈구 및 동측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로 내원한 10세 소아에서 전신 마취하에 개방성 정복 및 핀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 추시 상 재탈구 및 상완골 두 무혈성 괴사의 합병증 없이 운동 범위의 완전 회복과 골유합 및 재형성을 얻었다. 결론: 소아에서 견관절 후방 탈구와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을 동반한 증례를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