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발상세수준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1초

공동주택용 국내.외 감지기의 설치 및 시험 기준 비교

  • 손봉세;이채원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6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전체 화재발생 건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화재 및 인명안전의 개선 대책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주거공간은 다른 어떠한 방호공간보다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되는 소방대상물이다. 국내의 주거공간을 대표하는 공동주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화재감시시스템이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감지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지기의 성능은 인간의 두뇌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이미 일본의 경우는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준으로 제정하여 널리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국은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화재특성 및 화재하중 등에 대한 시험을 통해 다양한 방호공간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코드가 정립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에 적합한 전용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와 방재선진외국의 감지기 설치 및 성능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설치 및 시험 기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복합모멘트접합을 갖는 콘크리트 충전 보-기둥 합성접합부의 반복하중 실험 (Cyclic Loading Tests of Concrete-Filled Composite Beam-Column Connections with Hybrid Moment Connections)

  • 임종진;김동관;이상현;이창남;엄태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345-354
    • /
    • 2016
  • 최근 합성 보-기둥 접합부를 위한 복합모멘트접합(hybrid moment connection)상세가 개발되었다. 기둥으로 팔각형태의 콘크리트 충전강관이 사용되었고, 보에는 U단면 콘크리트 충전강관이 사용되었다. 보-기둥 모멘트접합을 위해 보 강관은 기둥 강판에 직접 용접되었다. 하지만 보 하부 플랜지는 응력집중을 피하기 위하여 기둥 강판에 용접되지 않았고, 대신 보 플랜지의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해 기둥 관통철근이 사용되었다. 기존 외다이어프램 보강상세 및 복합모멘트접합 상세를 갖는 총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반복하중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복합모멘트접합 상세는 보 플랜지의 인장력이 기둥 내부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었다. 또한, 하중재하능력 및 변형능력이 기존 외다이어프램 상세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종 접합부 파괴모드는 복합모멘트접합 상세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GIS 기반 가뭄분석을 위한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drought inventory map service module for GIS based drought analysis)

  • 이상민;신용현;양동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4-484
    • /
    • 2021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웹기반 가뭄아틀라스에 탑재되는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모듈은 GIS기반 가뭄상황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가공이 필요한 다양한 GIS 가뭄분석정보를 제공하여 가뭄 대응 업무 담당자가 공간에 기반한 가뭄분석 업무에 사용함을 주목적으로 해당 서비스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도서비스 모듈은 JAVA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오픈소스 기반의 Geosever와 Openlayer를 적용하여 167개 시군을 대상으로 가뭄 관련 분석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이다. 지도 레이어별 가시화를 통한 중첩분석이 가능하며, 사용자 필요 시 해당 분석지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하였다. 상세 제공 정보로는 가뭄 분석을 위한 면적정보와 통계정보로 이원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별 가뭄인벤토리 지도는 지역별 차트정보와 속성DB 테이블을 같이 지도화면에 표출한다. 주요기능으로는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창을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가뭄인벤토리 지도를 체크하면 가뭄아틀라스 지도화면에 가시화된다. 체크된 가뭄인벤토리 지도는 테이블정보 표출과 자료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 모듈의 관리 및 사용 방법으로는 가뭄인벤토리 지도데이터를 GIS 데이터셋화하여 Geoserver에 로딩하며, 로딩된 지도데이터는 WMS(web tilemap service) 포맷으로 변환한 뒤, 각각의 분석지도가 가지고 있는 속성DB정보를 고려해 지도 스타일을 적용하였다. 웹 브라우저 표출방법으로는 Openlayer 기반으로 GeoWebCache를 생성해 가뭄인벤토리 지도를 웹기반 가뭄아틀라스 상에 표출한다.

  • PDF

위성기반 태양광 발전가능량 산출기술 개발 동향 및 향후 전망 (Technology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Satellite-Based Photovoltaic Electricity Potential)

  • 한경수;김진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79-587
    • /
    • 2016
  • 세계적으로 자국의 에너지 수급의 안정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위성기반 태양광 발전가능량 산출기술 개발이 중요한 관심사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위성기반 일사량 산출기술과 태양광 발전가능량 산출기술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관련기술 개발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동향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태양광 발전가능량 산출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30% 이하로 아주 미미한 수준이며 이는 태양광 자원지도 제작에 국한되어있다. 이러한 기술 수준을 단시간 내에 선진국과 대등하게 끌어올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집중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선진국 대비 80% 수준의 기술 수준을 달성하여 주요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만이 실제 현업에서의 태양광 발전소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COMS 뿐만 아니라 차세대 고해상도 정지궤도기상위성 자료를 이용한 수백 m 급 고정밀 일사량 상세화 기술과 단기 또는 중기 일사량 예측을 위한 핵심기술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하며, 이후 위성기반 태양광 발전가능량 산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현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이 현실적으로 타당한 기술개발 전략일 것이다.

커뮤니티 컴퓨팅 모델에 기반한 개발도구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CDTK(Community Developing Tool Kit) Based-on Model Driven Architecture)

  • 김준영;정유나;김민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B)
    • /
    • pp.118-120
    • /
    • 2006
  • 커뮤니티 컴퓨팅 시스템은 3단계 모델(CCM, CIM-PI, CIM-PS)로 이루어져 있다. 모델은 이 전의 모델을 기반으로 툴의 지원을 받아 코드를 상세화하면서 실제 구현단계에 이르게 된다. 3가지 모델 중 가장 먼저 기술해야 하는 CCM(Community Computing Model)은 커뮤니티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가장 놓은 수준의 추상화 모델로서, 시스템의 환경과 요구사항을 기술하는 부분이다. 기술된 CCM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CIM-PI(Platform Independent Community Implementation Model)에서는 시스템의 구현을 고려하여 컴퓨팅 요소들과 또 이들 간에 생길 수 있는 협업관계를 자세히 기술한다. 이렇게 기술된 CIM-PI를 멀티에이전트 플랫폼 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CDTK를 이용해 변환해 농은 것이 CIM-PS(Platform Specific Community Implementation Model)이다.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컴퓨팅 시스템 개발을 더욱 쉽고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만든 CDTK와 이 개발 툴을 통해 얻을 수 있을 수 있었던 여러 장점들에 대해 소개한다. CDTK를 이용한 적용사례로 유비쿼터스 환경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시나리오에 적용하여 CDTK의 실현성과 효율성을 검증해 보았다.

  • PDF

Sentinel-1 SAR 영상과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고해상도 해상풍 산출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Sea Wind in Coastal Areas Using Sentinel-1 SAR Imag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 조성억;안지혜;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1187-1198
    • /
    • 2021
  • 해상풍 데이터는 최근 들어서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일환으로 해상 풍력발전 단지가 각광받으면서 더욱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2020년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 연안해역을 촬영한 Sentinel-1 영상 368장과 저해상도 수치모델의 UV 컴포넌트를 이용한 DNN (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개발하여 해상풍 데이터를 공간해상도 10 m 수준으로 정밀하게 생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CMOD (C-band Model) 함수에 비해 40% 정도 오차가 감소하였으며, U 컴포넌트와 V 컴포넌트는 각각 상관계수 0.901, 0.826의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부울경 해역(해안선으로부터 3 km 버퍼 영역)에 대해 산출한 10 m 해상도의 바람장 지도를 작성해 보면, 내륙에서 외해로 갈수록 풍속이 강해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면서도 공간적으로 상세화된 바람 패턴을 잘 나타낼 수 있었다. 이러한 고해상도 해상풍 지도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상세조사뿐 아니라, SAR를 활용한 전천후 연안 방재 및 연안레저 정보 제공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장수준 농업정보 생산 (Production of Farm-level Agro-information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문경환;서형호;신민지;송은영;오순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8-166
    • /
    • 2019
  • 농민이 농장에서 적지적작 기술을 구현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농민이 농장 수준에서부터 최적의 작물을 선택하고 최적의 재배기술을 구사하는데 농장의 기상과 작물의 생육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기술의 적용 결과를 사전에 모의해 볼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시험하기 위하여 고랭지배추 주산지역을 대상으로 농업용 전자기후도와 작물 생육모형 기술을 결합하여 농장의 상세 기상과 작물 생육정보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농장 수준의 농업 실황정보를 생산하여 농민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는 유력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농민이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정보 생산 속도의 개선, 일부 기상요소에 대한 소기후 모형의 개발 및 여러 옵션을 시험해 볼 수 있도록 작물 생육모형을 개선하는 것 등이 필요하였다.

전지구 모델(CCSM3)을 이용한 지역기후 모델(MM5)의 역학적 상세화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Dynamic Downscaling Method using a General Circulation Model (CCSM3) of the Regional Climate Model (MM5))

  • 최진영;송창근;이재범;홍성철;방철한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9-9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대기환경 사이의 통합적 상호작용 연구를 위하여 전 지구규모 기후모델(CCSM3) 결과를 지역 규모 기후모델(MM5)의 초기 및 경계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역학적 상세화(Downscaling)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상세화 기법에서는 위 경도 좌표계로 이루어진 CCSM3 결과를 Lambert-Conformal Arakawa-B 격자 체계로, CCSM3의 hybrid-vertical coordinate를 MM5의 sigma coordinate로 대체하는 과정과 CCSM3 모델 수행 결과와 모델 수행에 필요한 변수들 간의 일치화 과정이 포함된다. 전 지구 규모 모델 결과들이 지역 규모 모델의 입력값으로 역학적 규모 축소되는 과정을 검증하기 위해 공간 분포 및 통계분석을 수행한 결과, 여름철과 겨울철의 기온 및 강수량 패턴이 동아시아 영역 및 한반도 지역에 대해 기존 관측을 이용한 결과와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통계 분석 결과 모델 예측지수가 기온의 경우 0.9 이상의 좋은 값이 나타났으며, 상관성 역시 0.9 수준의 결과를 보여 인터페이스 구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공간데이터베이스 다중 추상화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Designing for a system of multi level spatial database abstraction)

  • 최병남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421-438
    • /
    • 2002
  • GIS을 활용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의 상세한 정도(추상화 수준)는 그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추상화 수준이 달라지면 공간자료의 기하학적인 단순화뿐 아니라, 객체(인스턴스), 공간 및 속성 자료, 위상관계, 의미관계 등이 변화되거나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원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추상화하여 목표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추상화하는 연산자를 재정의하고, 어떤 객체에 어떤 연산자들을 어떤 순서로 적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 기준에 따라 워크플로우를 제시하였으며, 프로토타입시스템을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토했다.

  • PDF

FMS의 현상과 장래 동향

  • 이동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25
    • /
    • 1984
  • 중품종, 중량생산용의 합리적인 생산 system의 일형태로서 미국 Kearney & Trecker 사가 실용하고 있는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약칭 F.M.S.)을 처음으로 발표한 것은 1960 년대 후반이었다. 그러나 이 FMS도 그 후 얼마동안은 선전마저도 되는일 없이 지내왔다. 그런데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의 제품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 단수명화의 방향으로 진보되어, 그 결과, FMS의 중요성이 인식되게 되었다. 그리고 1970 년대후반부터 라고 표현될만한 상황이 일본,미국,서독 등 3개국을 중심으로 표현했다. 당초에는 라고 하는 용어만이 선행한 바람 직하지 못한 점은 있었으나 그후 FMS의 본질을 이해한 System의 도입증가와 함께 FMS 기술도 상당히 발전되어 왔다. 또한 FMS의 가동예의 증가와 더불어 그 도입효과가 눈부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 FMS의 중요성은 , 혹은 라고 하는 말로 집약되는데 당연히 현재로서는 FMS는 공업선진국, 개발 도상국을 막론하고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중요한 FMS의 상황을 국제적인 관점에서 정확히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금에 있어서의 FMS기술의 급속한 진보는 이와같은 관점에서의 상황파악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제까지도 예컨데 Scharf와 Schulz, Hutchinson, Spur와 Mertinz 혹은 기계기술협회생산기술조사분과회(일본)의 조사예가 있으나, 상세한 것은 각국별, 혹은 각사별의 해설을 참조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다. 더우기 이제까지는 기계가공용 FMS가 주체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FMS의 적용범위는 판금가공, 단조가공, Plastic사출성형가공, 조립 등에 널리 이용되어 왔기때문에 점점 그 현상의 파악이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와같은 FMS의 현상과 장래의 발전동향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설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