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모형

Search Result 2,03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AADT estimation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using irregular factor decomposition method (불규칙변동 분해 시계열분석 기법을 사용한 AADT 추정)

  • 이승재;백남철;권희정;최대순;도명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65-73
    • /
    • 2001
  • Until recently, we use only weekly and monthly adjustment factors in order to estimate the AADT. By the way. we can suppose that the traffic is time series data related to flow of time. So we tried to analyse traffic patterns using time series analysis and apply them to estimate the AADT. We could divide traffic patterns into trend, cyclic variation, seasonal variation and irregular variation like as time series data. Also, in order to reduce random error components, we have looked for the weather conditions as an influential factor. There are many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falls, but, temperatures, and sunshine hours among others but we selected rainfalls and lowest temperatures. And then, we have estimated the AADT using time series factors. To compare the results of, we have applied both irregular variation joined to weather factors and that not joined to. RMSE and U-test were opted at methods to appreciate results of AADT estimation.

  • PDF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 Chang, Yunk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1 no.1
    • /
    • pp.289-306
    • /
    • 2017
  •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It examines the extended and sustainable service outreach strategies of 14 Korean public libraries whose makerspaces were identified as "infinite imagination spaces." Through interviews with staff members, the study identifies the needs, effec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makerspaces. The study also evaluates the development, types, funding sources, and outcomes of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strategies with stable and varied funding, staffing, and training are crucial to fostering makerspaces that not only become communal gathering spots, but also become gateways to technological tinkering that 'make' spaces for community archive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lan for the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ased on Regional Central Libraries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Ji-Yeon;Kim, You-Se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3
    • /
    • pp.129-150
    • /
    • 2011
  • The study aims at discussing issue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ased on regional central libraries which not only support various types of regional libraries and conduct cooperative businesses with them, but also are responsible for collecting and preserving library materials. The study analyzes concepts and types of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y literature review and explores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Futhermore, it conducts a survey and finds that the regional central libraries do not perform their preservation functions, due to the lack of their manpower and budget. As a result, the study provides an establishment plan for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which participant libraries hold ownership of transferred materials and regional central libraries own the right of management. Also, it suggests to expand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service coverage from participants to regional communities.

Study on the Network Design of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토양수분.증발산량 관측망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Yeon-Kil;Lee, Jung-Hoon;Kwon, Kyu-Sa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4-324
    • /
    • 2011
  • 토양수분량과 증발산량은 물 순환과 강우-유출모형의 검증과 개발, 수자원 계획 및 개발, 작물의 소비수량 산정, 수자원의 손실량 산정 등에 다목적으로 이용되는 귀중한 수문자료로서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정한 위치에서 정기적으로 측정되어야 자료의 이용성이 크다. 선진 외국에서는 일찌기 자국의 유역특성에 맞는 토양수분량 및 증발산량 관측망을 구축하여 정기적으로 자료를 생산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관련기관의 특정 목적에 따라 관측을 수행하고 있을 뿐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토양수분량 및 증발산량 자료를 생산하고 있지는 않다.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은 기상, 유역, 토지피복, 토양, 임상 특성 인자에 따라 그 크기와 특성이 상이하다. 이와 같은 자료의 특성 때문에 토양수분량 및 증발산량 관측망은 반드시 유역의 대표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의 조절인자에 대한 대표성을 반영 할 있는 면적 개념의 관측망을 개념화하여 이를 한강 등 5대 권역에 적용하였다.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관측망 설계 시 필요한 설계인자를 산정하기 위해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의 토지이용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산림 66.8%, 논 25.98%, 밭 7.14%로 분석되었다. 산림지를 보다 세분화하였을 때 침엽수림 48.55%, 활엽수림 25.36%, 혼효림 27.09%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중권역수로 구분하면 침엽수림 69개, 활엽수림 21개, 혼효림 13개, 논 8개가 된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관측망을 구축한 결과, 한강 권역은 8개소, 낙동강 권역 8개소, 금강 권역 5개소, 섬진강 권역 2개소, 영산강 권역 2개소의 총 25개소로 구축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me Collections through Book Curation: In-depth Interview with Public Librarians (북큐레이션을 통한 테마 컬렉션의 구축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 담당자의 심층면담을 통해 -)

  • Pyo, Soon Hee;Baek,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4
    • /
    • pp.189-21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me collection in the library, to clarify the reality of the theme collection operation. This study was to set up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theme collection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2 directors and librarians from four public libra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me collection can be built and function properly with a solid understanding of its collection, users and community, and sharing its services goals and orienta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ask of constructing a theme collection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librarian, and it is interrelated with the various library works. Finally, a comprehensive model of current theme collections was discussed.

Assessment of Drought Index considering Dam Water Shortage (댐 갈수를 고려한 가뭄관리지수 산정연구)

  • Kwak, Jaewon;Kim, Keuksoo;Kim, Taeyoung;Ha, Sangbong;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1-311
    • /
    • 2018
  • Generally, the water resources in South Korea were supplied from river flow and dam. Among them, the dam is the most important supplier for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However, the climate change has caused a setback in water supply chain.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herefore to suggest a drought index consideing dam water shortage for efficiently dam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 standardzied balanced index(SBI), which has same concept with the standardzied precipitation index, were suggested. Also, the management index for the dam were established with SSVI and the storage percentage that compared to previous years.

  • PDF

HyGIS based on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기반 HyGIS)

  • Won, Young Jin;Choi, 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6-316
    • /
    • 2016
  • HyGIS는 DEM 기반의 수문지형처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모형을 연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S/W 모음이다. 이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비롯한 다수의 기관 및 연구원들이 노력한 성과물이다. 본 연구는 기존 HyGIS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성과물의 실용화 사업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S/W 테스팅, 오픈소스 도입,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먼저 S/W의 테스팅에 있어서 기존 개발 소스코드는 블랙박스 테스트 방식의 동등 클래스 분할, 경계 값 분석 등 일부 모듈에 대한 단위 테스트와 제한적인 통합테스트가 수행된 바 있다. 보다 체계적인 테스트 단계로서 화이트박스 테스트 개념 중 문장/분기/조건 커버리지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실제 소스코드 중 핵심 구간에 대한 적용 및 정량화를 통하여 현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였고 보완 방안을 도출하였다. 오픈소스 적용을 위하여 QGIS, MapWindow 등 공간정보 분야의 최신 오픈소스 모듈을 비교 검토하였다. 적용 단계는 이를 기존 HyGIS S/W에 반영시키는 과정이며, S/W 관점에서는 컴포넌트 모듈의 대체라고 표현될 수 있다. 대규모의 전환 비용이 발생되므로 적용 후보에 대하여는 기능적 측면 뿐만 아니라 마이그레이션 비용과 중장기적인 유지보수 비용을 고려한 검토가 이루어 졌다. 한편 오픈소스 기술의 적용은 단순히 구성 요소 원가절감 측면만이 아닌, 중장기적 유지보수 체계 도모 및 지속가능한 생태계로의 전환에 더 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적용 분야이다. HyGIS 입력 Data의 공급을 위한 인프라로서 자체 구축 인프라가 아닌 IaaS 클라우드인 Blob Storage 및 CDN을 시험 적용하였다. 클라우드를 활용함으로써 초기 비용을 최소화하고 합리적 비용으로 유연한 확장이 가능한(Scale Out, Scale Up) 구조를 취하게 되었다. 또한 입력 Data 공급 서버를 위한 Storage 측면만이 아니라 S/W의 배포에 있어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여 HyGIS S/W가 설치된 VM(Virtual Machine)자체를 임대하는 방식으로 시험 구성 되었다. VM에 대한 RDP 프로토콜 Access에 있어서 IP기반 접근 제어를 통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방안을 실험하였으며, ISO 27001, ISO 27018 등 관련 보안 규정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검토하였다. 이러한 클라우드 VM방식 서비스를 통하여 Package형 S/W 뿐만 아니라 Subscription 방식의 서비스 제공 방식을 병행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는 S/W 설치 및 H/W Lock 구비 과정이 생략되는 이점이 있다.

  • PDF

Assessment of applying rainfall forecast correction by using backward tracking method (역추적 기법을 활용한 예측강우 보정기법의 적용 및 평가)

  • Na, Wooyoung;Kang, Minseok;Kim, Gildo;Park, Junpy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8-98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대류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강우 특성은 산지 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유역에 상당한 피해를 야기한다. 통상 대류성 집중호우는 규모가 작고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중규모 이상의 유역에서 부분적으로 상이한 강우특성을 보인다. 아울러 이러한 호우 패턴의 변화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하나의 기상 특성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초단기예보 모형은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입력 값인 예측강우 자료를 생산한다. 시스템에 입력되는 예측강우 자료는 두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첫 번째는 예측강우 자료 자체가 가지는 정확도의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G/R비 개념을 도입하여 예측강우의 품질을 개선하고 있다. 두 번째 문제는 호우사상의 크기에 대한 것이다. 현재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예측강우 보정기법은 호우의 거동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예측강우의 편의보정계수인 G/R비가 적절하지 않게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의 예측강우 보정기법과는 달리 호우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G/R비를 결정하고 이를 예측강우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해 G/R비를 산정하고 몇 시간 내에 대상지역에 도달하게 될 호우에 대한 예측 강우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에 발생한 주요 호우사상을 선정하고,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개선된 보정기법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보정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비정상적으로 과대하게 보정된 결과를 주는 데 반해, 호우의 이동경로를 고려한 보정방법을 적용한 경우에서는 실제 관측된 강우와 매우 유사한 합리적인 보정치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Developing the Probability of Human Casualties by Flooding (홍수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확률 개발)

  • Hong, Seung Jin;Kim, Gil Ho;Choi, Cheon Kyu;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4-464
    • /
    • 2018
  • 최근 풍수해 현황 분석(국민안전처, 2016)에서는 2003년 이후 태풍 루사와 매미와 같은 대형태풍이 최근에 발생하지 않아 대부분 하천급류로 인한 인명피해가 대부분이라고 언급하였다. 최근 풍수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호우/태풍이 발생할 경우 인명보호와 불편해소를 최우선에 두고 각종 정책들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홍수범람발생 예상지역에 대한 인명피해 분석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최근들어 인명피해를 평가하는 기술은 피해자료로부터 비교적 간단히 분석되는 경험적 방법에서 2차원 동적 수리모형과 연계, 그리고 정밀한 인구, 건물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대피율, 사전경보 등 인명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고 개념적이고 기계적 방법으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명피해 평가와 관련한 연구사례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고, 치수경제성분석에서 제시하는 침수면적에 기반한 간략한 방법만이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 국외에서 제시한 접근방법은 본 연구에서의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과 방향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며, 국내 실정을 고려할 때 주요 영향인자를 추가하고, 특히 노출인구, 인명 인벤토리의 해상도를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홍수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확률은 사후분석의 일환으로 침수흔적도를 통해 총 2개의 침수구간을 설정한 후 Census data를 활용한 위험인구(Population at Risk, PAR)를 산정한후, NDMS 인명피해 자료를 활용하여 침수구간별 인명피해 발생확률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제시한 침수구간의 경우 데이터의 축적정도에 따라 구간을 세밀화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총 2개구간(0-1m, 1m 이상)으로 계략화 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지자체의 인명피해 자료를 통해 인명피해 발생확률을 산정하였으며, 해당내용을 시범유역의 빈도별 침수구역도에 적용하여 인명피해 발생을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결과의 경우 인명피해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유추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인명피해에 기반한 해당지역의 장래피해규모를 예측하는 데에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 Influencing to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of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지침 준수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 Song, Mi Ok;Moon, Jeong E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189-198
    • /
    • 2019
  • In this preliminary study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an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we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adherence to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 control guidelin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f 183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21.0 and SPSS 21.0 program. The model fit was ${\chi}^2=52.06$ (df=9, p<.01), GFI=.93, RMSEA=.16, NFI=.85, and CFI=.90,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6.2%. As a resul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was appropriate for explaining the intention abou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reinforce the concepts of TPB, and iterate research to verify its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