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구리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4초

부유부엽성 개구리밥 식물체의 구조분화 연구 (Structural Aspects of the Reduced Free-floating Hydrophyte, Spirodela polyrhiza)

  • 김경애;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233-240
    • /
    • 2000
  • 미분화된 엽상체 및 연결사와 뿌리로만 구성되어 있는 개구리밥(Spiroela polyrhiza)식물체의 구조분화 양상이 연구되었다. 엽상체는 엽육세포 내에 발달하여 있는 다수의 엽록체와 않은 막으로 구획화된 기실이 잘 발달되어 있어 광합성 및 부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측부로 발달하는 연결사에는 기실이 형성되어 있지 많으며 탈리층을 형성하여 모엽상체와 자엽상체를 분리시킨다. 뿌리는 흡수 및 식물체의 중심을 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근단부위에는 액포화된 근관세포층이 뚜렷히 발달하여 있다. 뿌리의 피층에는 원주형 기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층세포 내에는 잘 발달된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rER등의 세포소기관들이 치밀하게 분포하였다. 엽상체, 연결사, 뿌리세포에는 엽록체가 발달하며 다수의 원형질 연락사가 분포하였다. 개구리밥은 10mm내외의 매우 축소된 식물체를 구성하나 효율적으로 잘 발달된 구조 분화체계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는 수표면에 부유하여 빠르게 생장 및 증식하는 작은 식물체 크기와 이들의 괌은 생활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皮膚 赤色素細胞 (Erythrophore)의 分化에 관한 電子顯微鏡的 硏究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Cutaneous Erythrophore Differentiation in Bombina orientalis)

  • 문명진;김우갑;김창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5-176
    • /
    • 1984
  •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腹皮의 赤色 發現에 관여하는 赤色素細胞의 分化 過程을 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다. 成體에서 관찰되는 赤色素細胞의 전형적인 구조는, 주위의 電子密度가 내부보다 낮은 多量의 carotenoid 顆粒들과, 불규칙한 膜狀, 纖維狀 EH는 同心圓狀의 lamella 構造를 가지는 小量의 pterinosome들이 腹皮의 基低膜을 따라 뻗어있는 赤色素細胞의 突起 속에 치밀하게 채워진 形態를 하고 있다. 分化된 最初의 赤色素細胞는 變態期의 前肢 출현시기를 전후하여, 外膜이 없고 電子密度가 낮은 carotenoid 顆粒이 뭉쳐져 있는 狀態로 나타나며 pterinosome은 관찰되지 않는다. 腹皮의 赤色이 外部로 발현되기 시작하는 시기는 대\ulcorner 變態 後 $1 \\sim 2$週가 경과한 뒤이며, 이 시기에 未分化된 pterinosome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産卵 後 1年이 경과한 어린 개구리에서 발현되는 外部 體色은 성숙한 成體와 동일하였지만, 관찰되는 色素 顆粒의 形態는 carotenoid 축적의 정도가 낮은 상태이며, pterinosome의 分化도 成體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 PDF

개구리 세포막에 대한 Racemic Ketamine의 영향 (Effects of Racemic Ketamine on Excitable Membranes of Frog)

  • 이종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9-108
    • /
    • 1991
  • Racemic ketamine을 사용하여 개구리의 좌골신경 및 toe muscle에 대한 작용을 관찰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214 mM sucrose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투여 방법으로 세포막의 활동 전압에 대한 영향을 electric recording으로 관찰하였다. 즉, intracellular 투여는 single sucrose gap technique으로, extracellar 투여는 double sucrose gap technique을 사용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Racemic ketamine은 개구리의 좌골신경 및 toe muscle의 활동전압을 intracellular 및 extracellular 투여시 모두 의의 있게 억제하였다. 2. 개구의 toe muscle에서 $K^+$-수축을 억제하였다. 3. naloxone은 ketamine의 억제작용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못하였다.

  • PDF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Boulenger) 피부 점액선의 세포구조 및 점액분비물질의 조직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Mucous Glands and Histochemical Pronerty of the Mucous Secretory Material in Bombina orientalis.)

  • 문명진;김기영;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1-231
    • /
    • 1989
  • 피부선이 잘 발달되어 있는 Bombina속 중에서 유일하게 국내에 서식하는 무당개구리를 재료로 하여 피부 점액선의 미세구조와 점액분비물질의 조직화학적 성질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무당개구리의 점액선은 진피에 위치한 단포상선으로서 선분비부는 외부의 근상피세포층과 내부의 선상피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직화학반응의 결과, 점액선에서 생성되는 물질의 주성분이 산성다당류임을 확인하였으며, 배피에 비해 복피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피부표면의 관찰 결과, 점액선의 개구부는 피부의 표면에 돌출된 식물의 기공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과립선의 개구부에 비해 분포밀도는 높았으나 크기는 소형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점액선의 선상피세포층에는 점액분비세포와 미토콘드리아가 잘 발달되어 있는 세포의 2종류로 이루어져 있었고, 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점액분비세포는 세포의 분화정도에 따라서 성숙 또는 미성숙된 세포로 구분되었으며, 세포질 내에 함유된 점액분비물질의 주변에서는 조면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 PDF

낙동간 상류부의 하천변 관목 및 초본성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7
    • /
    • 2001
  • 경상북도 낙동상 상류부에 위치한 하천변 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아래처럼 10군강에 속하는 3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의 1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특히, 과거에 인위적 영향을 반영하여 쑥군강에 속하는 군집 군락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A. 관목식물군락-A-1나도버들군장, 버드나무군단: 버드나무-왕버들군집, 버드나무군집, 시무나무군집, 갯버들군집, 눈갯버들군집, 선버들군집, A-2 찔레꽃 군강: 국수나무군락, 구기자나무군락: A-3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누리장나무군락; B, 초본식물군락 B-1 가래군강: 노랑어리연꽃군집, 마름군락, B-2 좀개구리밥군강: 좀 개구리밥-개구리밥군랍, B-3 가막사리군강: 고마리군집, 미꾸라지낚시-여뀌군집, 개기장-여뀌군집, B-4 갈대군강; 창포군집, 갈풀-미나리군집, 달뿌리풀군집, 물억새군집, 갈대군락, B-5 쑥군강:물쑥군집, 쑥군락, 물봉선군락, 왕고들빼기-환삼덩굴군집, 칡-환삼덩굴군집, 수크려군랑, B-6 명아주군강: 물피군락, 바랭이군란, 큰개여뀌군락, B-7 억새군강: 억새군락, B-8 질경이군강: 비노리-질경이군락, 이들 식생단위는 거의가 일본의 것과 공통하고 있어 한국에 고유한 하천변 식생은 매우 드물다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한편 하천에는 고유한 군강의 군집, 군락은 하류에서 상류로 감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 하였으마, 귀화식물의 수는 그 반대였다. 또,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하천변 식생의 복원생태 및 자연보호 등에 관해 상세히 논하였다.

  • PDF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정자의 미세구조 (Sperm Ultrastructure of Bombina orientalis)

  • 이정훈;권중균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42-54
    • /
    • 2005
  • 본 연구는 무당개구리과 (Discoglossidae)의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자두부는 전 후방의 끝이 뾰족하고 다소 유연성을 갖는 초생달 혹은 버들 잎 모양의 특이한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 핵은 전 후방이 가늘고, 중앙 부분은 굵은 원뿔형이었다. 염색질은 완전하게 농축되어 있지 않고, 마치 널빤지를 겹쳐 놓은 듯한 지붕모양과 같은 형태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져 있었다. 핵 내에는 불규칙한 형태의 nuclear lacunae들이 흩어져 있었다. 정자경부와 중편부는 발달 되어 있지 않았다. 편모는 9+2 구조의 axoneme, axial rod 그리고 undulating membrane을 가지고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들은 핵의 상단부를 둘러싸고 있는 protoplasmic bead내에만 국한되어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핵의 전방부에서 중앙 부위로 주행하는 nuclear rod는 섬유성 다발로 구성되었으며, 마치 사람의 속눈썹 모양과 같은 형태를 취하며, 핵의 2/3까지 뻗쳐져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