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직성 척추염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8초

강직성척추염과 관계된 측두하악관절장애에 대한 특수 운동치료의 효과 (Effect of Disease-Specific Exercise on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Neck Mobility in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Associated With Ankylosing Spondylitis)

  • 오덕원;전혜선;권오윤;유승현;박시복;황경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8
    • /
    • 2008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disease-specific exercise (DSE) o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function and neck mobility in TMJ dysfunction associated with ankylosing spondylitis (AS). Ten AS patients (seven males and three females) with TMJ dysfuncti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DSE included exercises to correct head and neck posture and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neck and TMJs. The patients attended treatment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averaging 1 hour each session. Assessments were performed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6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reatment. General physical status was assessed by four clinical measures (tragus-to-wall distance, modified Schober test, lumbar side flexion, and intermalleolar distance), the Bath ankylosing spondylitis function index (BASFI), and the Bath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 activity index. The main outcome measures included TMJ function (craniomandibular index (CMI)), and neck mobility (flexion, extension, rotation, and lateral rotation). None of the measures of general physical status, with the exception of BASFI, were significant1y different between the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6-week follow-up (p>.05). However, CMI and all neck movements, except for extension, significant1y improved after the treatment (p<.05). These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DSE used in the present study seems to be a clinical1y useful method for managing patients with symptoms from the stomatognathic system in AS. Further studies with more subjects and longer treatment times, including the follow-up period, will be conduct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 PDF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구강내과 진료실태 (The Oral Disease of Inpatient with the Systemic Disease)

  • 유상훈;정성희;어규식;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15-26
    • /
    • 2008
  • 다양한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 상태와 치과적인 주소 및 진단명 그리고 치료내용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구강내과적인 주소가 무엇인지를 관찰함으로써 입원한 전신질환자와 구강질환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은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 26%, 뇌경색 25.2%, 뇌내출혈, 다발성 관절증, 고관절증 각각 4.7%, 신경근 및 신경총 장애, 고혈압성 심장 및 신장 질환, 강직성 척추염 각각 2.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 내원한 환자의 주소는 치통 28.6%, 정기검사 23%, 치아동요 8.7%, 치아지각과민 7.1%, 치주출혈 6.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3. 내원한 환자의 진단된 구강질환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 28.9%, 치아우식증 17.1%, 치수 및 치근단주위의 질환 15.1%, 타액선의 질환 10.5%, 치아경조직의 기타질환 8.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4. 내원한 환자의 치료내용은 치주치료 17.95%, 치료거부 16.67%, 구강건조 및 구취 제거를 위한 약물치료 13.46%, 발치치료 12.18%, 보철치료 8.97%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5. 내원한 환자의 구강내과적인 주소는 16% 이었으며, 구강연조직질환 6.4%, 두개하악장애 5.6% 그리고 구취 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입원한 전신질환자를 통해서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의 구강질환과 구강질환이 있는 환자의 전신질환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파악이 되었으나 향후 구강질환과 전신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