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의동영상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초

동영상 강의의 효율성을 위한 학습자의 얼굴추출 및 탐색 (Learner′s Face Extracting and Searching for the Efficiency of Moving-Picture Lecture)

  • 김철민;이양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74-377
    • /
    • 2004
  • 동영상 강의는 시간이나 장소 등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을 통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한 학습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학습자의 학습자세와 태도에 따라 학습효과는 매우 다를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영상으로부터 학습자의 얼굴정보를 입력받아 주기적으로 탐색하여 학습자의 강의에 대한 집중도와 충실도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입력영상의 분할된 중심영역으로부터 학습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입력받아 사용하였으며, 빠르고 효율적인 얼굴영역의 추출을 위하여 피부색상(skin-color)정보와 얼굴의 지역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영상의 빠른 얼굴추적을 위하여 설정된 영역들로부터 구성되는 블록들의 위치와 구성정보를 이용한 블록탐색 기법을 사용하였다.

  • PDF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cturer Appearance and Students' Behavioral Patterns on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Video Lectures)

  • 태효하;제혜금;김보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7-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형태대학교 18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DISC 행동유형을 분류한 후 교수가 출연과 마출연 동영상에 배정하여 학습하게 하였다. 이후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을 측정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가 출연하는 강의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고, 학습자 행동유형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의동영상은 교수자가 출연하는 것이 좋으며,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행동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고려하여 교수자 출연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정보성 동영상 요약 및 키워드 기반 영상검색 시스템 (Information Video Summarization and Keyword-based Video Tracking System)

  • 김기훈;문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701-702
    • /
    • 2023
  • 비대면 교육이 증가함에 따라 강의, 특강과 같은 정보성 동영상의 수가 급격히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성 동영상을 보아야 하는 학습자들은 자원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영상 이해 및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GPT-3 모델과 KoNLPy 사용하여 동영상 요약을 수행하고 키워드 기반 해당 영상 프레임으로 바로 갈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이를 통해 동영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다양한 객체가 결합되는 무 손실 압축 강의 콘텐츠 제작기 구현 (Study of the compression of the various video stream objects using lossless method for the education contents)

  • 임창록;강필준;이상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7-440
    • /
    • 2010
  • 동영상, 음악, 카메라영상, 음성 등 다양한 객체를 결합하는 강의 제작기는 강의 콘텐츠 제작에 유용하다.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객체를 결합하여 무 손실 압축 처리한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다. 결과물로서 음성/영상/인덱스의 3가지 종류의 파일이 생성된다. 인덱스파일은 영상 정보, 영상 파일 구성정보, 음성정보, 음성파일 구성정보를 가지며 음성파일은 각 객체의 음성만을 interpolation 처리 후 하나의 데이터로서 혼합한 결과물이다. 영상 파일은 영상 정보만을 결합한 뒤 wavelet, motion estimation, 사전코드 방식과 huffmancode 방식을 혼합한 방식을 응용한 무 손실 압축 영상데이터 이다.

  • PDF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Remote Learning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M University -)

  • 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77-39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194명과 M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1,54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교육과 학생 23명과 이공계 학생 8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기말에 학생들의 각 교과목에 대한 강의평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원격수업 유형 중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강의 자료를 활용한 음성녹음 방식이나 수업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이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에게 학습 만족도가 높은 수업방식이다. 셋째, 교수자의 많은 사전 준비와 학습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온라인 강의에 대한 효과적인 복습을 지원하는 메모 시스템 (Memo System to support efficient Review for Online Lectures)

  • 문창희;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69-570
    • /
    • 2021
  • 온라인 교육은 컴퓨터 테크놀로지 발달과 웹 기반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리 잡으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초, 중, 고등학교를 비롯하여 대학교는 2020년 3월 역사상 처음으로 개강을 비대면 온라인 상황으로 맞이하게 되었다. 온라인 강의 시청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영상에 대한 필기 양도 많아지고 있다. 온라인 강의는 대부분 시각적 자료와 함께 교수자의 설명이 더해진다. 시각자료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과 교수자의 말로 설명이 되는 부분에 대해 필기를 할 때 시각 자료를 그려 필기하거나 영상의 어느 부분에 해당 내용이 나오는지 시간을 같이 메모해서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을 시청하며 구간에 메모를 저장, 표시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학습자가 영상에 직접 메모를 표시하여 맞춤형 학습에 따른 복습 효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도록 한다.

  • PDF

멀티미디어 동영상 강의 저작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for multimedia animation lectures)

  • 하얀;정선호;이승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13-520
    • /
    • 2004
  •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동영상 저작도구를 개발하여 가상 교육의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하나의 동기화 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통합하여 저작하고 편집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재생 속성들로부터 XML문서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동영상 강의를 손쉽게 저작할 수 있으며, 웹 문서로의 빠른 전환이 가능하다.

  • PDF

심정지 인지를 위한 동영상 교육과 강의식 교육의 비교 연구 : 청소년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Video Lecture and Instructor-Led Lecture for the Recognition of Cardiac Arrest : Korean Youths)

  • 정은경;이효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39-145
    • /
    • 2018
  • 일반인이 심정지를 신속하게 인지하는 것은 심정지 생존에 중요한 첫 단계이다. 본 연구는 심정지 상황에서 발생하는 심정지 호흡을 기존 강의식 교육과 동영상 교육으로 시행한 후, 심정지 인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파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설계는 연구대상자를 강의식 교육과 동영상 교육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여 교육을 수행한 후 심정지인지를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5년 10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15세 이상 청소년 104명으로 실험군 52명, 대조군 52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는 동영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41). 하지만 반응이 없고 심정지 호흡을 보이는 동영상에서는 실험군 중 심폐소생술시행이 43명(82.7%), 대조군 중 심폐소생술 시행이 33명(63.5%)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6).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교육 시 동영상으로 심정지 호흡을 교육하는 것이 기존 강의식 교육에 비해 심정지 인지를 향상시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영상 강의를 통한 간호대학생의 HIV/AIDS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HIV/AIDS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by Video-Learning Methods)

  • 서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87-196
    • /
    • 2020
  • 본 연구는 동영상 강의를 통한 간호대학생의 HIV/AIDS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시 V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93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5월 26일부터 6월 16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동영상 강의 전보다 후에 HIV/AIDS 지식과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태도의 세부항목 중 사회적 낙인인식의 차이는 미흡했다. 또한 지식과 태도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해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것은 아니었으므로, 정확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되 HIV/AIDS에 대한 인식개선을 좀 더 강조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사회적 낙인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동영상 강의가 간호대학생의 HIV/AIDS 지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유용한 교수학습 방법임이 입증되었으며, 본 연구는 추후 다양한 컨텐츠를 동영상 강의 방법으로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동영상 콘텐츠의 학습 효율 극대화 지원을 위한 투명 메모 모듈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ransparent memo module to support maximization of learning efficiency of video contents)

  • 윤경섭;김현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93-196
    • /
    • 2021
  • 정보산업의 발달로 동영상 콘텐츠들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동영상 시청과 동시에 학습을 위해 필기를 할 경우에 화면 분할로 인한 시선 분산으로 강의에 집중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투명도 조정, 최상위 고정, 과목과 주차별 분류 등을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시청중인 동영상 콘텐츠와 같은 속도로 같은 곳을 바라보며 필기가 가능한 투명한 메모 모듈을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