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우의 시공간분포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stimation of Missing Rainfall Data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Using Radar Data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강우의 결측치 추정)

  • Song, Chang-U;Song, Chang-Joon;Kim, Byeong-Sik;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96-120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점 강우의 결측치를 추정하기 위해 전통적인 통계학적 내삽기법을 이용한 역거리가중치법(IDWM), 역지수가중치법(IEWM), 상관계수가중치법(CCWM)과 패턴 인식의 일종인 인공신경망(ANN)기법 그리고 시공간적 강우분포의 측정이 가능한 레이더 자료를 이용해 결측치를 추정하여 각각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임진강 유역의 15개 지상관측소를 대상으로 교차검정(Cross validation) 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CCWM 방법과 ANN기법에 의한 RMSE가 0.46~1.79의 범위를 보였고, 보정레이더를 이용하여 결측치를 추정한 경우RMSE가 0.05~2.26의 범위를 보여 기존의 전통적 결측치 추정방법보다 실측치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이는 레이더자료가 지점 강우자료와는 달리 강우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공간분포의 정보를 지니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Flood Estimation using Historical Rainfall Events and Storage Function Model in Large River Basins (과거강우사상과 저류함수모형을 이용한 대유역 계획홍수량 추정)

  • Youn, Jong-Woo;Lee, Dong-Ryul;Ahn, Won-Sik;Rim, Hae-W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3B
    • /
    • pp.269-279
    • /
    • 2009
  • The design flood estimation in a large river basin has a lot of uncertainties in areal reduction factors, time-spatial rainfall distribution, and parameters of rainfall-runoff model. The use of historical concurrent rainfall events for estimating design flood would reduce the uncertainties. This study presents a procedure for estimating design floods using historical rainfall events and storage function model. The design rainfall and time-spatial distribution were determined through analyzing concurrent rainfall events, and the design floods were estimated using storage function model with a non-linear hydrology response.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cedure of this study, the estimated floods were compared to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f flood data. Both floods gave very similar results. It show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cedure presented in this study for estimating design floods in practices.

High resolution mapping of future forcasts for precipitation using AWE-GEN-2D over South Korea (AWE-GEN-2D를 이용한 국내 미래 강우의 고해상도 예측)

  • Doi, Manh Van;Kim,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8-328
    • /
    • 2022
  • GCM은 기후 변수들의 미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모형이지만, 공간에 대해 저해상도 형태로 결과가 제공되며,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국지적 규모의 기후변수(즉, 강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간변동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강우의 예측은 강우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추계학적으로 재현하는 일기생성 모형인 AWE-GEN을 이용하여 앙상블 시계열을 생성하고, 구름의 생성과 소멸 및 이동, wet/dry 셀들의 생성과 이동, 지형의 국지적 특성 등을 반영한 시공간 변동 앙상블 시계열은 AWE-GEN-2D 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된 국내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생성된 시공간 격자 기반의 일기생성 시계열은 PRISM을 사용하여 매핑된 강수량의 공간 분포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측정되지 않은 관측소 또는 원격 지역에 대한 평균 및 극한 강수량의 미래 예측 추정에 사용되었다. 또한, 평균 및 극한 강우의 공간 분포에 대한 미래 변화는 다양한 기간,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 등의 영향에서도 고려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자원 관리 및 재난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Applicability of a Space-time Rainfall Downscaling Algorithm Based on Multifractal Framework in Modeling Heavy Rainfall Events in Korean Peninsula (강우의 시공간적 멀티프랙탈 특성에 기반을 둔 강우다운스케일링 기법의 한반도 호우사상에 대한 적용성 평가)

  • Lee, Dongryul;Lee, Jinsoo;Kim, Dongk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9
    • /
    • pp.839-852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a rainfall downscaling algorithm in space-time multifractal framework (RDSTMF) in Korean Peninsul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8 heavy rainfall events that occurred in Korea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8 and 2012 were analyzed using the radar rainfall imager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the multifractality for all 8 heavy rainfall events. Based on the multifractal exponen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the parameters of the RDSTMF were obta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intensity of the rainfall events and the parameters of the RDSTMF was developed. Based on this relationship, the synthetic space-time rainfall fields were generated using the RDSTMF. Then, the generated synthetic space-time rainfall fields were compared to the observati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ndicated that the RDSTMF can accurately reproduce the multifractal exponents of the observed rainfall field up to 3rd order and the cumulative density function of the observed space-time rainfall field with a reasoable accuracy.

Hydrological Assessment of Multifractal Space-Time Rainfall Downscaling Model: Focusing on Application to the Upstream Watershed of Chungju Dam (멀티프랙탈 시·공간 격자강우량 생산기법의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 : 충주댐상류유역 중심으로)

  • Song, Ho Yong;Kim, Dong-Kyun;Kim, Byung-Sik;Hwang, Seok-Hwan;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959-972
    • /
    • 2014
  • In this study, a space-time rainfall grid field generation model based on multifractal theory was verified using nine flood events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Chungju dam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KMA radar rainfall data sets were analyzed for the space-time multifractal characteristics. Simulated rainfall fields that represent the multifractal characteristics of observed rainfall field were reproduced using the space-time rainfall grid field generation model with log-Poisson distribution and three-dimension wavelet function. Simulated rainfall fields were applied to the S-RAT model as input data and compared with both observed rainfall fields and low-resolution rainfall field runoff. Error analyses using RMSE, RRMSE, MAE, SS, NPE and PTE indicated that the peak discharge increases about 20.03% and the time to peak decreases about 0.81%.

Rainfall Variations in the Nam River Dam Basin (남강댐 유역에 있어서 강우분포의 변화)

  • 박준일
    • Water for future
    • /
    • v.28 no.1
    • /
    • pp.91-106
    • /
    • 1995
  • An investigation into the rainfall variability in time and space in the Nam River dam basin of Korea was made with use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Nam River dam basin is a small mountainous watershed where the wind direction and orography are the dominant influences on the pattern and distribution of rainfall.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distribution vary with elevation, position, wind direction. And in the three directions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there is the related formulation dependent on the distance between two stations. The resultrs of this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raingauge networks, hydrological forecasting, and so on in the Nam River dam basin.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the effect of rainfall data periods on probability rainfall (강우자료 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시공간적 분석)

  • Lee, Moonyoung;An, Heejin;Lee, Jiwan;Kim, Kewtae;Jung, Younghun;Kim, Seongjoon;Um, Myoung-Ji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9-339
    • /
    • 2022
  • 본 연구는 최신 강우 자료를 사용하여 자료의 기간을 네 가지 경우로 나누어 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각 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0년을 기준으로 시강우 자료 관측기간이 40년 이상이 되는 62개 국내 강우관측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지점별 강우자료의 분석 기간은 최근 10년, 20년, 30년, 40년의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은 Gumbel 분포형에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고, 이를 연강수량과 함께 공간적으로 분포시킨 결과, 연강수량의 분포에서 나타나지 않는 변화들이 확률강우량의 분포에서 명확히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기간의 시간이 증가되고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경기 북부와 전라남북도 경계 및 영동지방의 확률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근 40년과 비교하였을 경우, 최근 10년, 20년, 30년 확률강우량의 변화량 결과에서 전라남도 지역은 지속기간 길어질수록 변화 양상이 뚜렷하게 보였으며, 강원도 지역은 최근 10년, 20년 변화량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기간에 따라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이 크거나 작은 대표 지역들을 선정하여 기간별 확률강우량의 IDF 곡선을 도시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 PDF

Evaluation of Raingauge Network Efficiency Considering Entropy Theory and Spatial Distribution (엔트로피 이론 및 공간분포를 고려한 강우관측망 평가)

  • Lee, Ji-Ho;Joo, Hong-Jun;Jun, Hwan-Do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83-7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엔트로피 이론(혼합분포 적용)과 관측소의 공간적 분포를 동시에 고려하여 강우관측망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혼합분포를 이용하는 강우관측망 평가는 연속분포를 이용하는 경우 비해 강우의 시공간적 간헐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유역의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시 강우관측소는 균등하게 설치된 경우가 가장 이상적이며, 이를 최근린 지수(Nearest neighbor index)를 이용하여 강우관측소 간에 공간적 분포를 등급화하였다. 최근린 지수는 임의의 점에 가장 가까운 인접 점들 간의 거리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점의 분포를 보다 지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엔트로피의 최대 정보전달량 및 강우관측소의 등급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유클리디언 거리를 이용하여 2개의 목적함수를 통합하였으며, 이를 MOGA(Multi Objective Genetic Algorithm)를 이용하여 최적관측망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MOGA를 이용하여 관측망을 평가한 경우 엔트로피 이론만을 적용했을 때보다 최적관측소가 보다 분산됨을 확인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space-time resolution radar data for urban flood model (도시홍수모형을 위한 레이더 자료의 시공간 해상도 결정)

  • Ham, Dae Heon;Yoon, Jung Soo;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2-502
    • /
    • 2015
  • 현재 기상레이더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레이더 자료의 공간해상도는 $1^{\circ}{\times}250m$, 시간해상도는 10 분으로 보통 기상 및 수문분야에서는 10 분 이상의 $1km{\times}1km$의 격자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크기의 해상도는 중규모 이상의 유역에서의 강우-유출 해석에 적합할지 모르나 이보다 고해상도의 자료를 요구하는 도시 유역과 같은 소규모 유역에서는 한계점이 있어왔다. 또한 너무 높은 해상도 자료를 강우-유출 과정에 입력하게 되면 레이더 강우 자료에 내포되어 있는 무작위 오차로 인해 강우-유출의 오차가 커지게 된다. 반면 너무 낮은 해상도 자료를 강우유출과정에 입력하게 되면 강우의 공간적인 특성이 평활화되고 이로 인해 레이더 강우 자료는 분포형 강우 자료로써의 기능을 잃게 된다. 이에 적절한 시공간 해상도 결정을 위해 공간 해상도에 따른 도시홍수모형의 입력 자료를 분석하였다.

  • PDF

Radar Rainfall Adjustment by Kalman-Filter Method and Flood Simulation using two Distributed Models (칼만필터 기법에 의한 레이더 강우 보정 및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홍수 모의)

  • Bae, Young-Hye;Kim, Byung-Sik;Seoh, Byung-Ha;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7-1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를 이용하여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격자형 면적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방법인 칼만필터 기법을 이용하여 지상 강우 관측망과 레이더 강우 관측망을 조합하여 면적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지상 강우량을 면적강우량으로 전환하는 기법인 Thiessen법, 역거리법, 크리깅 기법을 이용하여 면적강우량을 산정한 후 칼만필터 기법에 의해 보정된 면적 레이더 강우와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칼만필터 기법에 의해 보정된 레이더 강우는 실제 강우 분포와 유사한 공간분포를 가지는 원시 레이더 강우 분포를 잘 재현하면서도 강우 체적(볼륨)은 우량계 자료의 체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칼만필터 기법에 의해 보정된 레이더 강우를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Vflo^{TM}$ 모형과 준분포형 모형인 ModClark 모형에 적용하여 홍수유출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Vflo^{TM}$ 모형은 첨두시간과 첨두치가 관측 수문곡선과 유사하게 모의되었으며 ModClark 모형은 총 유출체적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매개변수 검증에서는 $Vflo^{TM}$ 모형이 ModClark 모형보다 관측 수문곡선을 잘 재현하였다. 이를 통해 지상강우와 레이더 강우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정확도 높은 면적강우량을 산정하고 분포형 수문모형과 연계하여 홍수유출모의를 실시할 경우 충분한 적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