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수관측

Search Result 69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ainfall envelop lines constructed from observations in South Korea (관측자료로부터 구축한 우리나라 강우포락곡선)

  • Kang, Hyoungseok;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6-56
    • /
    • 2022
  • 지속시간 동안 물리적으로 발생 가능한 최대의 강수량으로 정의되는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를 나타내는 한 가지 방법으로 포락곡선이 있다. 포락곡선은 최대강수량을 지속시간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역사적으로 발생한 극한 강수현상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낸다. 오랜 기간 동안 강수 관측이 이루어졌다면 관측자료로부터 직접 포락곡선을 그릴 수 있겠으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통계적 추정 방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근해왔다. 하지만, 강우관측자료가 상당히 누적된 지금에 이르러서는 직접 포락곡선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연구에서는 50년 이상의 강우관측년도를 보유하고 있는 24개 종관기상관측 지점의 최대강우량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기후조건을 대표할 수 있는 포락곡선을 산정하였다. 이번에 산정된 포락곡선을 우리나라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PMP와 비교하였으며, 전세계의 지속시간에 따른 최대강수량을 대표하는 Jennings law와도 비교하였다.

  • PDF

Sounding Observation with Wind Profiler and Radiometer of the Yeongdong Thundersnow on 20 January 2017 (2017년 1월 20일 영동 뇌설 사례에 대한 연직바람관측장비와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의 분석)

  • Kwon, Ju-Hyeong;Kwon, Tae-Yong;Kim, Byung-G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4 no.3
    • /
    • pp.465-480
    • /
    • 2018
  • On 20 January 2017, the fresh snow cover which is more than 20 cm, accompaning with lightning occurred over Yeongdong coastal region for the first 3-hour of the heavy snowfall event. This study analyzed sounding observations in the heavy snow period which were including the measurements of wind profiler, radiometer and rawinsonde. The features examined from the vertical wind and temperature data at the two adjacent stations, Bukgangneung and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ong (30-40 kts) north-east winds were observed in the level from 2 to 6 km. The Strong atmospheric instability was found from 4 to 6 km, in which the lapse rate of temperature was about $-18^{\circ}C\;km^{-1}$. These features indicate that the deep convective cloud develops up to the height of 6 km in the heavy snowfall period, which is shown in the satellite infrared images. 2) The cooling was observed in the level below 1 km. At this time, the surface air temperature at Bukgangneung station decreased by $4^{\circ}C$. The narrow cooling zone estimated from AWS and buoy data was located in east-west direction. These are the features observed in the cold front of extratropical cyclone. The distributions of radar echo and lightning also show the same shape in east-west direction.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Yeongdong thundersnow event was the combined precipitation system of deep convective cloud and cold frontal precipitation.

장기관측자료 시계열분석을 통한 대수층 특성 평가

  • 원이정;김형수;구민호;서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265-268
    • /
    • 2002
  •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및 부여 정동ㆍ자왕 지역의 장기수위관측 데이터 및 강수, 대기압 자료의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대수층의 함양특성 및 특히, 대기압에 대한 지하수위 변화 특성을 통한 대수층의 특성(properties) 유추 가능 여부를 보고자 하였다. 하천에 인접한 자왕지구의 경우 자기상관분석에 의하면 다른 세 지역에 비해 데이터 값이 안정적이지 못하며, 대기압 변화에 대한 상관분석에서도 낮은 상관성을 나타낸다. 강수에 대한 함양 특성을 상호상관분석을 통해 해 보았으나, 강설에 의한 영향인지 대체적인 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차후 장기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좀 더 정확한 대수층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PDF

Estimating the Total Precipitation Amount with Simulated Precipitation for Ungauged Stations in Jeju Island (미계측 관측 강수 자료 생성을 통한 제주도 지역의 수문총량 추정)

  • Kim, Nam-Won;Um, Myoung-Jin;Chung, Il-Moon;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9
    • /
    • pp.875-885
    • /
    • 2012
  • In this study, the total precipitation amount in Jeju Island was estimated with the simulated precipitation for ungauged stations missing precipitation data using the spatial precipitation analysis. The missing data were generated through the modifi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 this study, and the analysis of spatial precipit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ndent Slope Model). The generated data with modifi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have similar pattern with original data. Thus, the model in this study shows good applicability to estimate the missing data. The difference of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between Case 1 (original data) and Case 2 (modified data) appears very small ratio which is about 1.5%. However, the difference of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according to elevation shows the large ratio up to 37.4%. As the results, the method of estimating missing data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calculate the total precipitation amount at the low station density area and the places with the high spatial variation of precipitation.

Analysis of the 'Chukwookee' data using time series model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측우기 자료의 분석)

  • 조신섭;이정형;김병수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9 no.2
    • /
    • pp.25-43
    • /
    • 1996
  • One of the main issues related to the precipitation amounts measured by the Korean raingage, Chukwookee, invented by King Sejong is the discontinuity in the time series around 1907 when the modern raingage was first used in Korea. To solve this discontinuity problem Wada(1971) reproduced the Chukwookee data but many authors questioned the validity of Wada's metho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recipitation amounts in Seoul from 1771 to 1994 using the intervention model and show that Wada's method results in the overestimation of the precipitation amounts. We also propose a reproduction method by considering monthly constant and including the rainfall of less then 2 mm and the snowfall which were ignored previously.

  • PDF

Mesoscale Characteristics of Frontal System on Redar Data (레이더 자료에 나타난 전선성 강수계의 중규모적 특성 분석)

  • Jeong, Yeong-Seon;Im, Eun-Ha;Nam, Jae-Ch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219-227
    • /
    • 2000
  • In Korea, heavy rainfall is mainly induced by the Changma front or frontal system passed over Korea periodically. Both its unknown mesoscale characteristics and the lack of direct measurements make it difficult to predict precipitation reasonably. To understand its 3-dimensional structure, initiation and development mechanism of precipitation in that system will be very helpful to forecast it more accurately. A meteorological radar is specially useful because it produces direct measurement with high resolution in time and space. In this study, representative frontal system is selected and analyzed specially focused on its vertical structure using radar data. Results shows that there are convective cells with horizontal scale of 10 - 20 km in precipitation system. Melting layer located between 3 and 5 km height, maximum fall speeds of rain drops were seen just below bright band.

  • PDF

Evaluation of Precipitation Stations and Survey Network in Yeongsan Rriver Basin (영산강유역 강수량관측소와 조사망의 평가)

  • Choi, Kyu Hyun;Lee, Joon Ho;Oh, Chang Yeol;Hwangbo, Jong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92-492
    • /
    • 2017
  • 강수량은 지상에 내린 물의 총량으로 홍수 및 갈수량 산정에 있어서 유출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부정확한 자료 및 수문분석기법에 의한 수자원량의 추정은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과소 또는 과다 설계로 문제를 가져올 수 있으며, 수리 수문분석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될 수 있다. 특히 강수량자료를 기초로 하는 홍수예보 및 갈수예보 모형들은 그 입력치인 강수량자료의 정확도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강수량은 면적 강수량을 대표할 수 있는 위치에서 관측되어야 점 강수량을 면적 강수량으로 환산하는데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최근 강수 특성은 과거에 비해 시공간적으로 매우 불규칙해졌으며, 특히 짧은 지속시간 동안에 많은 양의 강우가 집중되고 있다. 강수량조사망은 이와 같은 강수 특성 변화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강수 특성을 반영하여 수문조사, 홍수예보, 강우레이더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강수량조사망에 대한 재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재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강수량조사망을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강수량관측소는 그 자체에 여러가지 오차를 내재하는데, 이는 바람의 영향, 증발, 주변 환경 변화 등 다른 여러 가지 오차들이다. 이러한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관측시설의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강수량자료의 품질 문제를 최소화하여 강수량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강수량관측소 및 운영현황에 대한 명확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하며, 기존의 강수량조사망에 어떠한 문제점 등이 내포되어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하여 수문조사, 홍수예보, 강우레이더 활용에 적합한 강수량조사망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홍수통제소 관할 유역의 강수량관측소 67개소를 조사 평가하여 수문조사, 물관리, 강우레이더의 활용에 필요한 강수량조사망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신설 강수량관측소는 14개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 평균 시강수량의 추정 불확실도가 0.2 이상인 영역은 19.3 %에서 10.6 %로 줄어들며, 연평균 강수량의 추정 불확실도가 0.2 이상인 영역은 9.0 %에서 4.7 %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수량조사망 구축에 필요한 강수량관측소 설치, 위치선정, 배치 등에 관한 기준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겨울철 한반도 중서부지방의 강수판별 연구 (2010년 2월 4일~2월 12일 사례를 중심으로)

  • Heo, Sol-Ip;Jeong, Hyo-Sang;Ryu, Chan-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95-97
    • /
    • 2010
  • 최근 겨울철 온난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강수형태가 비로 내리는 경우가 잦아지고 있다. 또한 대륙고기압이 확장할 때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우에서 강설로 변하는 예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강수유형의 판단은 겨울철 중요한 예보요소 중 하나로 본 연구는 중서부지방의 2010년 2월 4일부터 12일까지의 사례기간동안 일기도, AWS관측자료, 위성, KLAPS(층후, 빙결고도, 상당온위)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강우에서 강설로 변하는 강수형태를 분석한 것이다.

  • PDF

A Certification of Linear Programming Method for Estimating Missing Precipitation Values Ungauged (미계측 결측 강수자료 보완을 위한 선형계획법의 검정)

  • Yoo, Ju-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3
    • /
    • pp.257-264
    • /
    • 2010
  • The amount and continuity of precipitation data used in a hydrological analysis may exert a big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It is a fundamental process to estimate the missing data caused by such as a breakdown of the rainfall recording machine or to expand a short period of rainfall data. In this study a linear programming method treated as a data-driven approach for estimating the missing rainfall data is compared with seven other methods widely used and its superiority is certified. The data used in this research are annual precipitation ones during 17 years at the Cheolwon station including an ungauged period of 15 years and its five surrounding stations. By use of this certified method the ungauged precipitation values at the Cheolweon station are estimated and the areal averages of annual precipitation data for 32 years at the Han River basin are calculated.

Accuracy Evaluation of GPM Satellite-derived Precipitation Data (GPM 위성강우 정확도 평가)

  • Kim, Joo Hun;Choi, Yun Seok;Kim, Kyeo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601-601
    • /
    • 2016
  • 글로벌 위성 기반의 강수량 관측에 대한 역사는 1979년에 Arkin의 의해 제안된 IR방법에 의해 위성으로 부터 강우자료를 유도하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7년 해양에서의 비교적 정확한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다중 채널의 마이크로파(MW) 복사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위성강수 추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후 두 IR과 MW를 혼합한 방법에서, 또다시 1997년 TRMM위성의 PR(Precpipitation Radar)의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2014년 GPM 핵심 위성(GPM Core Observatory)에 탑재된 Dual PR에 의한 방법으로 위성강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가고 있다. 전지구강수관측위성(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Mission) 사업은 미국우주항공국(NASA)과 일본우주항공국(JAXA)의 주도로 전 지구 규모의 강수관측을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추가 파트너로 프랑스의 CNES(French Centre National d'?tudes Spatiales), 인도의 ISRO(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미국 NOAA, 그리고 유럽연합의 EUMETSAT(European Organisation for the Exploitation of Meteorological Satellites)가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4월 발사된 GPM핵심 위성의 발사에 따라 제공되는 GPM 위성강우 자료의 정확도 평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GPM 데이터는 Level-1에서 Level-3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Level-3의 IMERG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성강우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IMERG 위성강우자료는 GPM 위성군의 모든 수동 MW 데이터를 조합하여 강우량을 추정하는 데이터이다. 자료의 시간적 범위는 2015년 8월 18일~8월 20일이고 공간적 범위는 한반도 영역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정확도 평가를 위한 지상계측자료는 기상청 ASOS(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의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GPM에서 제공되는 IMERG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는 그림 1과 같이 전라도 지역에 많은 강수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의 기상청 ASOS 관측 강수량 기록은 전국적으로 1순위가 고창군 25.5mm, 2순위가 부안군 21.9mm, 3순위가 정읍 및 영광군이 19.0mm로 위성으로부터 관측된 값과 지상계측값의 공간적 분포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강우의 시계열적 정확도와 총강우량 등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