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변 여과수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방사형 집수정의 취수량 추정식의 적용성 및 한계점 고찰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Groundwater Yield Estimation Equations for Radial Collector Wells)

  • 김규범;이호정;최명락
    • 지질공학
    • /
    • 제28권3호
    • /
    • pp.443-453
    • /
    • 2018
  • 하천변에서의 대용량 강변여과수 개발은 방사형 집수정을 통하여 주로 이루어지는데, 초기 취수량의 산정을 위한 다양한 경험식이 개발되어 왔다. 안성천에 설치된 방사형 집수정을 대상으로 경험식을 활용한 초기 취수량을 추정한 결과, Babac, Kordas 및 Petrovic 방법은 실제 취수량 $6,124m^3/d$과 유사하나 Milojevic 방법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방법별 적용 조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각 방법의 입력 인자인 하천에서 집수정까지의 거리, 수평정의 개수, 대수층의 두께, 수평정의 길이, 수리전도도 등의 변화에 따른 추정식의 적용성을 분석한 결과, 각 방법별로 일정 조건하에서의 추정식 사용이 요구되며, 특히 수리전도도는 취수량 결정에 매우 중요하므로 정확한 산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배후지 지하수위를 고려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수평정별 취수량 결정 기법 (Determination of the Groundwater Yield of horizontal well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ncorporating riverside groundwater level data)

  • 김규범;오동환
    • 지질공학
    • /
    • 제28권4호
    • /
    • pp.583-592
    • /
    • 2018
  • 최근들어 방사형 집수정 방식의 대용량 강변여과수 개발에 따른 배후지의 지하수위 강하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의 방사형 집수정을 대상으로 Modflow를 활용하여 수평정의 취수량에 따른 배후지의 수위 강하를 예측하였으며,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후지 수위 강하가 최소가 되는 수평정별 취수량을 결정하는 다층퍼셉트론 기반의 인공신경망 모델을 개발하였다. 하천 방향으로 굴착된 수평정 HW-6의 취수량을 높이는 것이 OW-7 및 OB-11 관측정의 지하수위를 높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모델 입력 자료의 수 및 훈련과 검증 자료의 분류는 인공신경망 모델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향후 현장의 실제 운영 자료와 수치모델의 비교를 통하여 인공신경망 모델을 보완한다면 배후지의 지하수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지속가능 온실 냉난방을 위한 강변여과수 취수 및 회수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iverbank Filtration Water Supply and Return System for Sustainable Green House Heating and Cooling)

  • 조용;김대근;김형수;문종필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0-29
    • /
    • 2012
  • The green house on the waterfront is air-conditioned by a water-source heat pump system with riverbank filtration water. In order to supply riverbank filtration water in alluvium aquifer, the riverbank filtration facility for water intake and recharge, two pumping wells and one recharge well, has been constructed. The research site in Jinju, Korea was chosen as a good site for riverbank filtration water supply by the surface geological survey, electrical resistivity soundings, and borehole surveys. In the results of two boreholes drilling at the site, it was revealed that the groundwater table is about 3 m under the ground, and that the sandy gravel aquifer layer in the thickness of 6.5 m and 3.5 m occurs at 5 m and 7 m in depth below the ground level respectively. To prevent the recharge water from affecting the pumped water which might be used as heat source or sink, the distance between pumping and recharge wells is designed at least 70 m with a quarter of recharged flow rate. It is predicted that the transfer term, the recharge water affects the pumping well, is over 6 months of heating season. Hydrogeological simulation and underground water temperature measurement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pumping and recharge well positions in order to confirm the capability of sustainable green house heating and cooling.

친수지역 강변여과수 열원을 활용한 냉난방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ter-Source Heat Pump System Using Riverbank Filtration Water on the Waterfront)

  • 조용;김대근;문종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1.2-201.2
    • /
    • 2011
  • A water-source heat pump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cooling and heating of a green house on the waterfront in Jinju. In order to supply a heat source/sink of water in alluvium aquifer to the heat pump system, the riverbank filtration facility (two pumping wells and one recharge well) for water intake and injection has been constructed. To pump and recharge water sufficiently, the geometric design such as depth and diameter for the wells have been completed, and details of the well such as slot size and length of the screen and filter pack size have been designed based on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design method including D30 technique.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step-drawdown test, long-term pumping test, and recovery test have been carried out for two developed pumping wells. Step-drawdown test has been performed on 4 step flowrates of 150, 300, 450, $600m^3$/day for 1 hour, and long-term pumping test on flowrate of $500m^3$/day for 24 hours, and recovery test for 6 hours. Since the underground water filtrated by riverbank is flowing smoothly into the well, the water level goes down slightly for the long-term test. Consequently, the stable pumping flowrate for two pumping well has been predicted at least over $1,647m^3$/day which is larger than the flowrate of $1,000m^3$/day for a 60 RT heat pump system.

  • PDF

다목적 여과저류지에서의 하상여과용 인공하천 설계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Stream for Riverbed Filtration in Multi-purpose Filtration Pond)

  • 손동훈;박재영;김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36-543
    • /
    • 2011
  • 다목적 여과저류지에 하상여과를 적용하기 위한 인공하천의 최적설계를 찾기 위해서 하천수의 에너지경사와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이용하여 물 흐름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였고, Euler의 방법을 이용한 수치해법으로 해석하였다.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모사를 수행함으로써 하상여과용 인공하천의 여러 설계요소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면적이 100 ha인 강변저류지의 경우, 인공하천의 종단경사는 2/10,000, 하상에서의 침투율은 $2.5m^3/m^2-day$가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수심은 1 m 이내이고 하상에서의 Manning의 조도계수는 0.026 정도로 예측되었으며, 인공하천의 길이가 길수록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인공하천에 빠른 유속을 발생시킴으로써 하상여과에 수반하는 하상의 폐색을 방지하는 방법은 효율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낙차가 큰 보의 주변에서 본 설비의 효율이 더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창원시 대산면 강변충적층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level Fluctuation in Riverside Alluvium of Daesan-myeon, Changwon City)

  • 정재열;함세영;김형수;손건태;차용훈;장성;백건하
    • 지질공학
    • /
    • 제13권4호
    • /
    • pp.457-47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대산면 강변여과수 취수장 부지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위 및 하천수위 변동과 하천-대수층간의 상호작용은 장기적으로 취수정의 적정양수량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2003년 2월부터 2003년 10월까지의 지하수위 분포를 보면 지하수위는 대체로 배후지쪽에서 낙동강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으며, 수두경사는 0.008 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취수정의 양수와 강수량에 의한 낙동강 수위 상승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동방향이 역전되기도 한다. 낙동강 수위는 강수량 변화에 따라 해수면 기준으로 0 ∼ 10m를 보인다. 6개 지하수 관측공(DS1, DS2. DS3, DS4, DS6, DS7)에 대해서 자기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1그룹(DS1호공과 DS3호공)은 강한 선형성과 기억효과를 보여주고, 2그룹(DS2호공과 DS6호공)은 중간정도의 선형성과 기억효과를 나타내며. 3그룹(DS4호공과 DS7호공)은 가장 약한 선형성과 기억효과를 보였다. 1그룹은 낙동강 수위변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고, 2그룹은 낙동강수위와 취수량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3그룹은 취수량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표수-지하수 연계 이용을 위한 적지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ite Analysis System for Conjunctive Use of Surface and Ground water)

  • 이상일;이상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878-882
    • /
    • 2004
  • 지하수를 이용한 물 문제 해결 방법은 여러 수공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고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과도한 지하수 개발은 새로운 공학적 문제를 야기하게 되어 각 수자원에 내한 개별적인 분석 단계를 지나 여러 수자원을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 방법 중 하나로 지표수와 지하수를 연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고, 개발 대상 지역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계층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이 적용되었다. 이리한 적지 분석을 위한 시스템(SASCU)을 GIS와 연계하여 개발함으로써 개랄 가능 후보지에 대한 개발 우선순위 결정에 도움이 괼될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남 창녕군 증산리 일대 방사집수정을 활용한 강변 여과수 개발량 평가 (Evaluation of Well Production by a Riverbank Filtration Facility with Radial Collector Well System in Jeungsan-ri, Changnyeong-gun, Korea)

  • 이은희;현윤정;이강근;김형수;정재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4호
    • /
    • pp.1-12
    • /
    • 2010
  • Well production by a riverbank filtration facility with multi-radial collector well systems in Jeungsan-ri, Changnyeong gun, Korea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 drawdown at collector wells due to pumping and groundwater inflow rates along the horizontal arms of the collector wells were compu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Sensitivities of the well production to hydraulic conductivity and well flow coefficient, which represents the resistance to the flow from the aquifer to the horizontal arms, were analyzed.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with given proposed pumping rate conditions, the drawdown in the caisson exceeded maximum drawdown constraints in the study site and the adjustment of the pumping rate at each well is needed. The drawdown is affected by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main aquifer and the well flow coefficient, which means the profound field investigation of the study site is needed to accurately estimate the efficiency of riverbank filtration through radial collector wells.

강변여과수 열원 히트펌프 온실난방 성능시험 (Estimation of Greenhouse Heating performance for Ground Filtration Water Source Heat Pump)

  • 문종필;이성현;권진경;강연구;이수장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0.2-200.2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the greenhouse performance for Ground filtration water source heat pump which was installed for supplying the heat to the paprika greenhouse in Jinju city. Experimental area of Greenhouse was $3,300m^2$, For keeping the heat from greenhouse, single plastic covering and double thermal screen was installed. With considering all of greenhouse insulation condition and designed heatng temperature, heating capacity for experimental greenhouse was calculated as 320,000kcal/hr. Coefficient of performance(COP) of Ground filtration water source heat pump was gauged and greenhouse heating performance was tested from Febuary 1 to Febuary 28 in 2011. The result showed that COP of heat pump was in the range of 3.7~4.7 and COP of heating system was in the range of 3.0~3.5. The vaule of COP was very high and the temperature inside greenhouse was well corresponded to the setting temperature of greenhouse environment controlling system. lots of Ground filtration water made the the number of well fewer and the expense for installing heating system cheaper than that of geothermal system used custmarily. and this system went beyond the limitation of intaking amount of groundwater in normal Groundwater source heat pump.

  • PDF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 작성ㆍ연구 - 부여 군수리 시범 지역을 중심으로 -

  • 박재현;김진삼;김형수;석희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38-442
    • /
    • 2004
  • 국가적인 수자원 다변화 정책의 일환으로 충적층을 활용한 강변여과, 지하수댐, 직접 함양 등의 다양한 충적층 지하수 인공함양 활용 가능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충적층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충적층 수문지질도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부여 군수리 지역을 시범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수자원 개발을 위한 충적층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형적, 지질학적, 수리적 및 환경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를 작성하였다. 본 충적층 수문지질도에는 지하수위 및 수질 변화, 지표 토양조건 및 지하 대수층 분포 등를 추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이들 자료는 직접 현장 조사를 통해 획득되었다. 이러한 시범 충적층 수문지질도의 작성은 향후 충적층 지하수의 개발 및 관리시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보다 정밀하고 효용성 있는 충적층 수문지질도 작성을 위해서는 이번 시범 작성을 참조하여 보다 많은 개선과 표준화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