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도래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8초

보령 지역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화석 강도래 (Plecoptera) 유충의 분류와 생태학적 의미 (Taxonomy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Stonefly (Order: Plecoptera) Nymphs from the Late Triassic Amisan Formation in the Boryeong region, Korea)

  • 남기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3-302
    • /
    • 2017
  • 최근 보령 지역의 후기 트라이아스기 아미산층에서 다량의 화석 강도래 유충이 발견되었다. 이들의 유충은 그 형태적 특징에 의해 Platyperlidae과, Baleyopterygidae과, Siberioperlidae과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양적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종류는 Baleyopterygidae과의 화석 강도래이다. 이러한 사실은 강도래가 러시아, 몽골 및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까지 이미 중생대부터 넓게 분포했음을 의미한다. 현생 강도래는 대부분 유수성이며 맑은 물에 서식하기 때문에 화석 강도래가 발견되는 보령 지역도 유사한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강도래와 함께 발견되는 화석들로 미루어 볼 때 당시의 강도래는 하루살이나 패갑류 등을 먹고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강모래 및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파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cture Characteristicsof Crushed Sand Concrete and River Sand Concrete)

  • 김진근;이칠성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29-136
    • /
    • 1995
  • 이 연구는 쐐기쪼갬시험법에 의하여 강모래 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와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 측정을 통하여 콘크리트 강도와 파괴에너지 관계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그리고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와 강모래 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를 비교 검토하엿으며, 콘크리트의 특성길이도 구하였다. 이연구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부순모래 콘크리트는 파괴특성 관점에서 강모래 콘크리트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압축강도가 20~60 MPa에서는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괴에너지가 증가하였지만, 60 MPa이상의 범위에서는 압축강도가 증가하여도 파괴에너지는 증가하지 않았다.

혼합 잔골재의 입자 크기에 따른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모르타르의 강도와 건조수축 특성 (Th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 Mortars as the Particle Size of Blended Fine Aggregate)

  • 김태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73-281
    • /
    • 2015
  • 본 연구는 세 종류의 서로 다른 규사와 강모래의 조합이 알칼리-활성화 슬래그(AASC) 시멘트의 압축강도와 건조수축 특성에 주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모래의 특성은 알칼리 활성화 시멘트의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세 종류의 규사 (S1, S2 그리고 S3)와 강모래 (RS)를 사용하였다. 또한 세 종류의 혼합 모래에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시리즈 (S1)는 강모래(RS)와 규사1 (SS1)을, 두 번째 시리즈 (S2)는 강모래(RS)와 규사2 (SS2)를, 세 번째 시리즈(S3)는 강모래 (RS)와 규사3 (SS3)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였다. 그 결과 혼합 모래는 AASC 모르타르의 특성에 특이할만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래의 입자크기와 혼합율의 관계에 따른 압축강도와 건조수축은 혼합된 모래의 조립률(FM)과 상대 표면적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모래의 종류와 혼합비율은 AASC 모르타르의 배합 설계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일반모래를 잔골재로 사용한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 (Tensile Behavior of Highly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s Using Normal Sand as Fine Aggregate)

  • 이방연;강수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78-18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PE 섬유를 사용한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대해 최대입경 4.75 mm의 일반모래(강모래)를 규사와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그에 따른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 변화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동성 평가 실험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평균압축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편차의 크기가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축인장시험 결과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장변형률 성능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중균열의 분포밀도가 증가하면서 인장변형률 성능의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장변형률 성능의 편차는 압축강도에서와 마찬가지로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규사 대신 일반모래를 사용한 경우에도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의 변동성은 증가하지만, 규사를 사용한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와 비교할 때 등가 이상의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공경량세골재(人工輕量細骨材)를 사용(使用)한 무조골재(無粗骨材) 경량(輕量)콘크리트의 특성(特性) (Properties of No-coarse Lightweight Concrete Using Synthetic Lightweight Fine Aggregate)

  • 민정기;김성완;성찬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194-206
    • /
    • 1997
  • 본 실험은 강모래와 인공경량세골재인 퍼라이트와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를 사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구명하고, 이의 실제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시멘트비는 퍼라이트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혼화제 첨가에 의한 단위수량의 감소효과는 있었다. 2. 강모래를 사용한 경우의 단위중량은 $2,000kgf/m^3$ 이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퍼라이트를 사용한 경우는 $1,482kgf/m^3$으로 나타났고,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를 사용한 경우는 $567kgf/m^3$으로 경량성이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기포제 첨가에 의한 콘크리트의 경량화에 대한 기여도가 크게 나타났다. 3. 강모래와 퍼라이트를 사용한 경우의 압축강도는 $187kgf/cm^2$$170kgf/cm^2$으로 나타났으나, 팽창폴리스틸렌 비드를 사용한 경우와 기포제를 첨가한 경우의 압축강도는 아주 작게 나타났으며, 인장 및 휨강도도 압축강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 반발도시험은 압축강도가 클수록 크게 나타났으나,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를 사용한 경우와 기포제를 첨가한 경우는 반발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5. 초음파진동속도는 강모래를 사용한 경우가 3,974m/s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팽창 폴리스틸 렌 비드를 사용한 경우가 2,239m/s으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단위중량 및 압축강도가 클수록 크게 나타났다. 6. 정탄성계수는 강모래를 사용한 경우가 $2.50{\times}10^5kgf/cm^2$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퍼라이트 및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를 사용한 경우는 $0.79{\times}10^5kgf/cm^2$$0.17{\times}10^5kgf/cm^2$으로 상당히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퍼라이트와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에 기포제를 첨가한 경우의 정탄성계수는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7. 사용재료에 따른 응력-변형 특성은 응력의 재하와 함께 변형이 증가하여 최대응력 이후 파괴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를 사용한 경우는 뚜렷한 최대응력이 없이 용력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면서 변형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한국산 큰그물강도래 속( 큰그물강도래과, 강도래 목, 곤충강)의 1 신종 (A New Species of Pteronarcys (Pteronarcyidae , Plecoptera ; Insecta) from Korea)

  • 나철호;백순기;조영관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117-126
    • /
    • 1991
  •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전남의 영산강 상류, 섬진강 상류, 광양천의 상류에서 채집된 강도래목의 큰그물강도래과를 조사한 결과 Pteronarcys의 1신종이 확인되어 Pteronarcys macra로 명명하여 기재한다. 본 종은 Pteronarcys sac-chalina Klapalek, P. reticulata Burmeister와는 유충, 성충의 생식기, 난의 형태등이 다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