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강

Search Result 34,923,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기계설계에서 철강 재료의 선정

  • 전기찬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6
    • /
    • pp.504-513
    • /
    • 1992
  • 강은 열처리에 의해서 연성과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그것의 조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기계 구조 부품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다. 강은 철과 탄소를 기본원소로 하는 탄소 강과 경화능과 기계적성질의 향상을 위하여 합금원소를 첨가한 합금강으로 나누어 진다. 강을 이용한 기계 구조 부품의 강도 설계는 강의 열처리 특성의 이해와 활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강의 열처리에 따른 경도 변화의 예측과 그에 따른 강도의 예측 그리고 부품 강도 설계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Water resourc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South Korea using hydrological model (수문 모형의 활용을 통한 국내 수자원 취약성 평가)

  • Won, Kwang Jai;Chung, Eun-Sung;Kim, Soo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4-264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는 우리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문순환 변화 역시 자명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및 대책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전체 유역에 대한 수자원 취약성 평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총 12 수계인 한강, 안성천, 금강, 삽교천, 영산강, 섬진강, 탐진강, 만경강, 동진강, 낙동강, 태화강, 형산강 유역에 대한 수자원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토양의 특징, 토지이용, 관리상태의 변화에 따른 크고 복잡한 유역의 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개발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수문 모형을 구축하였고, 유출 관련 매개변수 최적화 작업은 SWAT-CUP 모형을 이용하였다. 최적화된 매개변수의 적용을 통해 각 유역별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2009년과 2011년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순 이였으며, 2010년은 낙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순 이였다. 면적별 유출량인 비유량(specific discharge)을 산정한 결과, 2009년에는 영산강, 낙동강, 금강, 한강순 이며, 2010년에는 영산강, 금강, 낙동강, 한강순 이였으며, 2011년에는 금강, 한강, 영산강, 낙동강 순을 보였다. 또한, 인구당 유출량 산정 결과 2009년에는 영산강, 금강, 낙동강, 한강순 이며, 2010년에는 영산강, 금강, 낙동강, 한강순 이며, 2011년에는 영산강, 금강, 낙동강, 한강순 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총 12 수계에 대한 수자원 취약성을 산정해보았다. 대응변수는 이수의 수요 및 공급적인 측면에서 구분하였으며, 사회/경제, 물 이용, 환경, SWAT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수자원 취약성 평가를 위해 다기준의사결정기법(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중 하나인 TOPSIS(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기법을 사용하였다. 산정 결과 삽교천, 동진강, 형산강, 안성천, 섬진강, 만경강, 낙동강, 영산강, 태화강, 금강, 한강, 탐진강 순 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다중 공간에 구축한 고해상도 모형을 통해 국내 수문상황 진단 및 고해상도 미래 수문 시나리오 생산을 통한 수자원 관리에도 활용될 전망이며,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에 이용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f Video-Lecturing System for Efficient Distance Education (효과적인 원격 교육을 위한 화상 강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양선옥;전영민;최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135-138
    • /
    • 1998
  •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화상 회의 및 화상 강의 시스템은 고정된 위치에 있는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원격지 학습자는 고정된 장면만을 보면서 학습에 임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강의 진행자가 카메라 시야를 벗어나 수업을 할 경우, 원격지 학습나는 강의 진행자의 모습을 볼 수 없으므로, 수업에 대한 능률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강의가 진행되는 동안 강의 진행자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강의할 수 있도록 하는 제약상하을 부여하므로 강의 진행자에게 부담감을 안겨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 진행자가 카메라의 위치에 신경쓰지 않고 강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 강의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스템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강의 진행자의 위치를 추적하므로 강의 진행자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강의 환경을 적절히 촬영할 수 있다.

  • PDF

민간단체 시행의 전국 강살리기 운동의 현황과 전망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63-136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민간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전국 강살리기 운동 사례를 조사하여 강살리기 운동의 현황과 전망 및 한계점을 분석하며, 앞으로의 바람직한 강살리기 운동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강살리기 네트워크 참여 단체를 중심으로 각 단체의 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이들 활동의 특성을 검토하고, 치수와 이수 및 하천환경 측면에서 운동의 현황과 한계점을 검토하여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강살리기 사업의 방안도 모색하는 것으로 하였다.

  • PDF

상수원을 찾아서-낙동강, 오지와 평야를 두루 적시는 생명력

  • Kim, Dong-Jeong
    • 한국상하수도협회지
    • /
    • s.4
    • /
    • pp.134-135
    • /
    • 2003
  • 낙동강 1,300리. 이렇게 써 놓고 보니 그 거리가 쉽게 가늠이 되지 않는다.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에서 발원해 경북 내륙 지방(봉화, 안동)을 거쳐 영남땅(밀양, 부산)을 관통, 남해로 흘러가는 총 연장 521.5㎞의 남한에서 가장 긴 강이다. 그런 만큼 강에 얽힌 사연도 가지가지이고 그 모습 또한 유장하기 이를 데 없다. 한민족의 역사를 오롯이 담은 강인 것이다.

  • PDF

Analysis on Change of Nakdong River Water-column Mixing by Nam River Inflow (남강유입에 따른 낙동강 수체혼합 변화 분석)

  • Han, Eun Jin;Kim, Young Do;Lyu, Siwa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8-68
    • /
    • 2017
  • 남강은 낙동강 우안으로 합류되는 지류로 남강댐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강댐 하류의 하천은 댐 방류량이 남강 유량에 지배적인 하천이다. 낙동강에 우안에서 합류되는 제 1 지류인 남강은 하폭 대 수심비가 비교적 큰 하천이며 유량 또한 비교적 많은 편이다. 이러한 남강이 낙동강 본류에 유입되는 과정에 낙동강 본류 수체에서는 혼합에 의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혼합의 변화를 관측하고자 현장계측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남강의 유입에 따른 낙동강 본류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계측을 통하여 남강이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남강의 유량의 따른 낙동강 수체혼합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낙동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 PDF

A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s Model for Kangwon Medical Convergence (강원의료융합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동 모델)

  • Kwon, H.Y.;Choi, S.H.;Kim, Y.S.;Cho, D.H.;Lee, J.H.;Kim, H.Y.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284-28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강원의료융합인재양성센터의 맞춤형 산학협동 교육강좌와 의료융합분야 전략기술포럼 등의 사업을 주관하는 조직으로서 강원의료융합아카데미의 설립과 구성에 대하여 소개하고, 강원의료융합인재양성센터 참여 학과와 가족 회사를 대상으로 산업체의 전문가와 교수들이 실제 의료융합 제품설계과정에 대한 이론 및 기술, 개발과정을 소개하는 의료융합 산학협동 특강의 구현사례를 소개한다.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in SFRC Beam without Stirrups Considering Steel Fiber Strengthening Factor (강섬유 보강계수를 고려한 전단보강 되지 않은 SFRC 보의 전단내력 평가)

  • Lee, Hyu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8 no.2
    • /
    • pp.213-22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hear strength of SFRC beam that has no stirrups by steel fiber strengthening facto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wo stage investigation, which is material and member level, is studied with literature and experimental side. From the reviewing of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ing of material and member test results, strengthening parameter of SFRC is defined as steel fiber coefficient. Based on above results, steel fiber strengthening factor is proposed. And by reviewing the proposed equation of shear strength estimation, equation of Shin was well estimated the shear strength of SFRC beams. Therefore, shear strength equation of SFRC, which is composed by Shin's Eq. and steel fiber strengthening factor, is proposed by regression analysis of test results.

The Integration of Rainfall-Runoff Model and Hydraulic Model for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에서의 홍수예.경보를 위한 강우-유출 모형과 수리해석모형의 연계)

  • Kim, Tae-Hyung;Kim, Kwang-Moon;Kim, Pan-Gu;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40-640
    • /
    • 2012
  • 낙동강 홍수예경보 시스템은 낙동강 유역의 홍수피해 방지를 위해 1986년에 구축되어 낙동강홍수통제소에서 운영되어 온 이래로 여러 차례에 거친 시스템의 개선 및 보완을 통해 현재의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을 통해 시행된 하도 준설 및 보 설치로 인한 하도 조건의 변경과 기존의 저류함수모형 및 수위-유량 관계식을 이용한 수위예측의 한계로 인해 낙동강 하도에 대한 수리해석모형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낙동강 홍수통제소에서는 기존의 저류함수모형을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모형과 낙동강 본류 및 주요 지류에 대한 수리해석 모형을 구축하여 연계하는 과업을 수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기본계획의 설계홍수량의 산정시 적용되는 HEC-HMS 모형을 통해 강우-유출해석모형을 구축하고, 낙동강 본류 및 8개 지류에 대해 FLDWAV 모형을 이용해 수리해석 모형을 구축하여 연계하였다. 수자원단위지도의 표준유역과 수위관측소 지점을 기반으로 하여 낙동강 유역을 287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였고, 271개의 분할하도 및 10개의 다목적 댐 방류량을 반영하여 강우-유출 모형을 구축하였다. 수치지형도 및 토양도, 토지이용현황도를 통해 유역유출 및 하도유출에 대한 매개변수 산정하였고, 낙동강 본류 및 지류내의 주요 수위관측소를 유량의 검보정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수리학적 모형 구축을 위해 낙동강 본류의 383개의 단면 및 8개 지류의 497개 단면을 반영하였고, 그 이외의 6개 주요 지류는 측방유입으로 처리하였으며 낙동강 본류에 신설된 8개의 다기능보의 운영을 반영하였다. 각각 구축된 강우-유출 모형과 수리학적 모형은 모듈화하여 연계하였으며, 현재 낙동강홍수통제소에서 운영되고 있는 낙동, 왜관, 현풍, 진동, 삼랑진, 구포, 동촌수위관측소를 홍수예보지점으로 선정하여 모형의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구축된 모형은 낙동강홍수통제소의 홍수예보모형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 및 효율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낙동강에서의 실시간 홍수예 경보를 위한 홍수예보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