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상선 수술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초

갑상선미세유두암의 수술 전 진단에서 $^{18}F$-FDG PET/CT: 이중시간 영상의 유용성 ($^{18}F$-FDG PET/CT for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The Value of Dual Time Point Imaging)

  • 서영덕;김성민;김근호;김제룡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6호
    • /
    • pp.543-556
    • /
    • 2009
  • 목적: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dual time point $^{18}F$-FDG PET/CT imaging)을 통해 갑상선미세유두암 원발 병소와 양성 갑상선결절의 FDG 섭취 양상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유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전 이중시간 $^{18}F$-FDG PET/CT를 시행한 환자들 중 134명의 갑상선미세유두암(154개)과 49명의 1.0 cm 이하의 양성 갑상선결절 양성 갑상선결절(61개)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번의 영상에서 모두 갑상선미세유두암과 양성갑상선결절의 최대 표준화섭취계수(SUVmax)와 두 영상 간 SUVmax의 백분율 변화(${\Delta}%SUVmax$), 병소와 정상조직의 SUVmax의 백분율 변화(${\Delta}%L$:B ratio)를 계산하였다. 두 영상 간의 시간 차이는 평균 $23.4{\pm}4.4$분(갑상선 부위 기준 평균 $10.7{\pm}4.4$분)이었다. 결과: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에서 154개의 갑상선미세유두암은 평균 SUVmax가 $4.9{\pm}4.3$ (1.1~29.9)에서 $5.3{\pm}4.7$ (1.0~33.1)로 증가하였고(p<0.001) 평균 $12.3{\pm}23.6%$ (-34.1~85.3%) 증가하였으나, 61개의 양성 갑상선결절은 $2.1{\pm}1.0$ (1.0~5.3)에서 $2.1{\pm}1.3$ (0.9~8.0)으로 변하였고 평균 $0.3{\pm}20.5%$ (-41.7~118.2%) 감소하였다. 또한 갑상선미세유두암은 100개(64.9%)가 두 번째 영상에서 SUVmax가 증가하였으나 양성 갑상선결절은 19개(31.1%)만 증가하였다. 첫 번째 영상보다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에서 더 많은 수의 갑상선미세유두암이 육안적으로 양성 소견을 보였고(62.3% vs. 76.6%, p=0.006), 크기가 0.5 cm 이하인 경우에도 발견율이 증가하였다(38.6% vs. 60.0%, p=0.011). 결론: 갑상선미세유두암의 평가에 있어서 일반적인 한 번의 영상검사(single time point $^{18}F$-FDG PET/CT imaging)에 비해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이 원발 갑상선미세유두암 병소와 양성 갑상선결절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특히 특히 단일 $^{18}F$-FDG PET/CT 영상에서 불확실 소견 또는 음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나 크기가 0.5 cm 이하인 경우에 이중시간 $^{18}F$-FDG PET/CT 영상을 시행하는 것이 병소의 악성여부 감별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화 갑상선암 수술 후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시 투여용량 결정: 병리적 병기,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와 I-123 전신 스캔의 유용성 비교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Dose of I-131 for First High Dose Radioiodine Therap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arison of Usefulness between Pathological Staging, Serum Thyroglobulin Level and Finding of I-123 Whole Body Scan)

  • 정환정;임석태;윤현조;손명희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4호
    • /
    • pp.301-306
    • /
    • 2008
  • 목적: 최근 조기건강검진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환경의 변화로 분화 갑상선암 진단 후 갑상선제거수술 및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고 갑상선제거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시 적절한 투여용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병리적 병기소견이나 혈청 갑상선 글로불린치가 I-123 전신 스캔을 대신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 전절제술과 중앙 및 주변 림프절 제거술 후에 분화 갑상선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에서 1차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전에 I-123 전신스캔을 시행한 58명(남:녀=13:45, 나이 $44.5{\pm}11.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리적 병기(T, N stage)는 2002 AJCC 기준에 따라 구분하였으나 나이에 따른 분류는 하지 않았다. 갑상선호르몬 중지 후 혈청 갑상선자극호르몬, 갑상선 글로불린과 갑상선글로불린항체 측정 및 I-123전신 및 국소영상(5 mCi 경구투여 후 24시간)을 얻었다. I-131 방사성옥소 치료는 I-123 스캔 결과에 따라 100 mCi에서 250 mCi 용량으로 시행하고, 치료용량과 병리적 병기,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I-131을 사용한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는 5명(8.6%)에서 100 mCi, 43명(74.1%)에서 150 mCi, 6명(10.3%)에서 180 mCi. 3명(5.2%)에서 200 mCi, 1명(1.7%)에서 250 mCi로 각각 시행하였다. 병리적 병기에 따른 방사성옥소 치료용량은 stage I (n=9) $154{\pm}25\;mCi$, stage II (n=4), $175{\pm}50\;mCi$, Stage III (R=38); $149{\pm}21\;mCi$, Stage IV (n=7); $161{\pm}20\;mCi$을 보여 병리적 병기 증가와 치료용량 증가와는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p=0.169)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에 따른 방사성옥소 치료용량은 2 ng/mL를 보인 군에서 $149{\pm}26 \;mCi$, 2 ng/mL이상 5 ng/mL 미만을 보인 군에서 $156{\pm}17\;mCi$, 5 ng/mL이상 10 ng/mL 미만을 보인 군에서 $156{\pm}13\;mCi$, 10 ng/mL이상 50 ng/mL 미만을 보인 군에서 $147{\pm}24 \;mCi$, 50 ng/mL이상을 보인 군에서 $175{\pm}42\;mCi$를 보여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와 방사성옥소치료용량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p=0.252) 결론: 분화 갑상선암으로 갑상선 전절제술 후에 최초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용량을 결정하는데 병리적 병기나 혈청 갑상선글로불린 수치가 I-123 전신 스캔을 대신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갑상선 설관낭종 및 설관루 (Report of eight cases of thyroglossal duct cyst and fistula)

  • 김교완;김종훈;김중강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10.1-10
    • /
    • 1977
  • 상갑선 설관낭종 및 설관루는 선천성 경부질환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설저에서 강상선에 이르기까지 갑상선설관의 경로중 어디서나 발견될 수 있으며, 다른 종양이나 낭종과 구별이 용이치 않을 경우가 많다. 단순한 낭종 또는 결절로 오인되어 근치절제가 되지 않았을 경우 흔히 재발을 잘 일으키며 또한 갑상선 조직이 포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것이 유일한 갑상선 조직일 수 있어 절제시에 더욱 신중을 요한다. 저자는 최근 2년동안 본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낭종또는 루를 가진 갑상선설관 환자 8명을 수술적 요법으로 치료하였던바 이에 대한 문헌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갑상선 수술에서 수술 중 신경 감시의 효용성: 학습곡선을 중심으로 (Efficacy of Intraoperative Neural Monitoring (IONM) in Thyroid Surgery: the Learning Curve)

  • 곽민규;이송재;송창면;지용배;태경
    •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 /
    • 제11권2호
    • /
    • pp.130-136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Intraoperative neural monitoring (IONM)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RLN) in thyroid surgery has been employed worldwide to identify and preserve the nerve as an adjunct to visual identific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ONM and difficulties in the learning curve.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63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with IONM during last 2 years. The standard IONM procedure was performed using NIM 3.0 or C2 Nerve Monitoring System.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chronological groups based on the success rate of IONM (33 cases in the early period and 30 cases in the late period), and the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63 patients, 32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and 31 thyroid lobectomy. Failure of IONM occurred in 9 cases: 8 cases in the early period and 1 case in the late period. Loss of signal occurred in 8 nerves of 82 nerves at risk.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increased from 16.7% in the early period to 50% in the late period. The mean amplitude of the late peri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arly period (p<0.001). Conclusion: IONM in thyroid surgery is effective to preserve the RLN and to predict postoperative nerve function. However, failure of IONM and high false positive rate can occur in the learning curve, and the learning curve was about 30 c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갑상선암 및 결절성 증식증 환자의 수술전 스크리닝을 위한 cathepsin B의 발현 양상 (The Feasibility of Cathepsin B Level in Preoperatively Screening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and Nodular Hyperplasia)

  • 최영식;김영옥;김우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14-1521
    • /
    • 2009
  • 혈장 cathepsin B 활성도 측정이 갑상선암 및 결절성 증식증의 수술 전 진단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분화갑상선암 32례, 결절성 증식증 7례, 대조군 5례의 혈장 cathepsin B 발현양상을 대조군과 함께 관찰하였다. 수술시 제거된 여포선암의 암조직, 결절성 증식증 조직의 cathepsin B 발현을 정상 조직과 비교하였다. 혈장 Cathepsin B 활성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68.94{\pm}15.10$ (${\times}10^{-2}$, mU), 결절성 증식증에서 $255.45{\pm}95.68$ (${\times}10^{-2}$, mU), 악성종양에서 $284.87{\pm}79.32$ (${\times}10^{-2}$, mU)로써 악성종양군과 결절성 증식증군에서 cathepsin B 발현이 정상 대조군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p<0.05). 혈장 cathepsin B의 정량적 비교를 위한 immunoassay결과에서도 결절성 증식증군($17.64{\pm}7.49\;ng/ml$)과 악성종양군($15.50{\pm}7.86\;ng/ml$)에서 정상대조군($4.85{\pm}0.61\;ng/ml$)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결절성 증식증 및 악성종양군의 조직 내 cathepsin B mRNA발현이 정상 조직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혈장 cathepsin B는 갑상선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시에 증가됨을 알 수 있으며, 갑상선암 혹은 결절성 증식증을 스크리닝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경부 방사선조사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75예의 전향적 분석- (The Effects of Neck Irradiation on Thyroid Gland for Tumors of the Head and Neck -A prospective analysis of 75 cases-)

  • 박인규;김상보;윤상모;박준식;전수한;김보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59-66
    • /
    • 1994
  • 1986년 9월부터 1992년 10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이나 수술 흑은 화학요법과의 병합요법으로 치료받은 두경부종양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경부 방사선조사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방사선치료전 및 방사선치료후에 정기적으로 임상검사 및 갑상선 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갑상선조사선량은 35Gy에서 60Gy였고 그 중앙값은 50Gy였으며 추적관찰기간은 11개월에서 85개월로 중앙추적기간은 30개월 이었다. 결과를 보면 갑상선 기능이상의 빈도는 40$ \% $(30명)이었다. 45명(60$ \% $)은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었으며 2명(3$ \% $)은 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 이었고 27명(36$ \% $)은 준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 이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1명(1$ \% $)에서 발견되었으며 갑상선 결절이나 악성종양은 발견되지 알았다. 수술 및 방사선치료군에서 갑상선 기능이상이 다른 치료군에서보다 일찍 발생하였다(p=0.0013). 다변량분석에 따르면 방사선치료후 갑상선 기능이상의 발생빈도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는 여성(p=0.0293) 및 전후두절제술과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p=0.0045)였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치료후 정확한 시기에 갑상선 기능이상을 발견하기 위하여 방사선 치료전 및 방사선 치료후에 정기적인 갑상선 기능검사가 필요하며 갑상선 기능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갑상선 호르몬제재 치료를 하여야 하겠다.

  • PDF

부갑상선의 초음파 소견: 수술 중 수술 검체 연구 (US Features of the Parathyroid Glands: An Intraoperative Surgical Specimen Study)

  • 백우열;이종철;노병주;나동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596-605
    • /
    • 2023
  • 목적 이 연구는 갑상선 수술 중 절제된 정상 부갑상선 검체를 이용하여 부갑상선의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0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갑상선 수술을 시행한 17명 환자의 34개 부갑상선을 분석하였다. 모든 정상 부갑상선은 자가이식전 동결 절편을 통해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고 부갑상선 검체를 무균 생리식염수에 넣은 상태에서 고해상 초음파 영상을 얻었다. 부갑상선 검체의 초음파 에코(고에코, 저에코), 에코결(균일, 불균일), 크기, 및 모양(난원, 원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명의 환자에서 얻은 3개의 부갑상선 에코를 절제된 갑상선 실질 에코와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부갑상선은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의 에코와 유사한 고에코를 나타냈다. 균일한 고에코는 32개(94.1%)의 부갑상선에서 관찰되었고 3개의 부갑상선은 갑상선 실질보다 높은 에코를 나타냈다. 부갑상선의 장경은 5.1-9.8 mm (평균 7.1 mm)였고, 모양은 33개(97.1%)부갑상선에서 난원형을 보였다. 결론 부갑상선 검체의 에코는 모두 고에코를 나타냈고, 작은 크기의 균일한 고에코를 보이는 난원형 구조물은 부갑상선의 특징적 초음파 소견이었다.

국소 진행된 갑상선암의 수술 - 기관 및 후두, 식도 침범의 치료 (Surgical Treatment in Locally Advanced Thyroid Cancer - Trachea, Larynx, Esophagus Invasion Management)

  • 이국행;강주용
    •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 /
    • 제11권2호
    • /
    • pp.99-108
    • /
    • 2018
  • Most thyroid cancers are well-differentiated cancers and have a very good prognosis. About 10% of thyroid cancer, however, invades the surrounding tissues, causing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and eventually affecting survival rate. In locally advanced thyroid cancers, the invasion of trachea, larynx and esophagus, can be occurred by primary tumor and may also result in lymph nodes metastasis. Surgical resection is still mainstay for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thyroid cancer. The main purpose of the surgical resection is to eliminate the cancer completely, therefore, it can cause many complications such as dysfunction of the larynx, trachea and esophagus. It can have a serious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re is still controversy on the extent of the surgery. The authors compare and analyze the opinions which were already discussed in the literatures published so far. These will help to select the surgical method.

미분화 갑상선암에서 방사선치료 순응도와 생존기간 (Survival and Compliance with the Use of Radiation Therapy for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 오윤경;장지영;정웅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29-236
    • /
    • 2008
  • 목 적: 본 연구는 미분화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순응도와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미분화 갑상선암으로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던 1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4명에서 수술 후에 시행하였고, 3명에서 조직검사 후에 시행하였다. 수술이 시행되었던 14명의 수술 방법은 9명은 근치적절제술 5명은 고식적절제술이었다. 고분화 갑상선암이 6명에서 동반되어 있었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보다 컸던 경우는 14명이었다. 총방사선량은 $6{\sim}70\;Gy$ (중앙선량, 37.5 Gy)이었고, 11명은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고, 6명에서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었다. 추적기간은 $1{\sim}104$개월로 중앙값이 5개월, 평균값이 20개월이었다. 결 과: 5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에 육안적 종양이 없었으며, 5명 모두 종양의 재성장 없이 방사선치료를 잘 끝낼 수 있었다 나머지 1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 육안적 종양이 있었는데, 이 중 4명은 근치적절제술 후에 바로 암이 자란 경우였고, 5명은 고식적절제술, 3명은 조직검사만을 받은 상태였다. 육안적 종양이 있었던 12명 중 6명 만이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는데, 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로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2명은 약간 감소, 2명은 무반응이었다. 전체 환자의 생존기간은 $1{\sim}104$개월의 범위로 중앙 생존기간은 5개월이었고, 평균 생존기간은 21개월이었다. 1년 2년, 5년 생존율은 41%, 24%, 12%이었다. 원발암수, 종양크기, 수술, 방사선치료 완료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장기 생존자는 단기 생존자에 비해 진단 당시와 방사선치료 시작 당시에 암의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었다. 결 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 이하, 방사선치료 전에 수술 시행(근치적 또는 고식적), 수술 부위에 종양의 빠른 재성장이 없는 환자들이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좋은 지원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와 반대인 경우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기 쉽고 생존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매우 부족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