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갑상샘 결절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3초

초음파검사에서 성별에 따른 갑상샘 암의 빈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idence of Thyroid Cancer in Gender Ultrasound)

  • 곽은숙;임청환;양오남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2호
    • /
    • pp.145-153
    • /
    • 2015
  • 갑상샘 결절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내분비 질환이며, 검사방법의 발달과 함께 건강 검진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갑상샘 초음파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갑상샘 결절 환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갑상샘 초음파검사,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비교 분석하여 남 녀 성별에 따른 갑상샘 결절과 갑상샘 암의 빈도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K건강검진병원을 내원한 20세 이상 성인에서 갑상샘 질환의 기왕력이 없는 총 32,973명을 대상으로 갑상샘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다. 수검자가 작성한 문진표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갑상샘 초음파검사(갑상선 결절의 유무, 크기, 개수)와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통해 악성 빈도를 알아보았다. 갑상샘 초음파검사를 시행한 32,973명의 대상자 중 결절의 유병률은 남성에서 4,611명(26.1%) 여성에서 5,341명(34.9%)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 녀 모두에서 연령증가에 따라 결절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다결절 비율은 여성이 43.5%, 남성은 35.6%로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 녀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갑상샘 초음파검사로 선별된 악성을 시사하는 692명(남성 342명, 여성 350명)의 갑상샘 결절 환자를 대상으로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한 결과, 성별에 따른 악성 결절의 비율은 남성에서 33.3%, 여성에서 29.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남성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 남 녀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갑상샘 초음파검사,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비교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갑상샘 결절의 유병률, 다결절, 결절의 크기가 성별 및 연령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성인 남성의 갑상샘 결절의 유병률이 여성과 비교하여 크게 낮지 않았으며, 결절의 악성 빈도가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은 양상을 보여 남 녀 모두에게 갑상샘 초음파검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K-TIRADS 점수화 체계를 사용한 양성과 악성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of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Using the K-TIRADS Scoring System in Thyroid Ultrasound)

  • 안현;임인철;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01-207
    • /
    • 2019
  • 본 연구는 갑상샘 초음파에서 K-TIRADS 분류와 K-TIRADS 분류에 따른 Different risk group의 조합을 이용한 방법이 양성과 악성 결절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갑상샘 초음파를 시행한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갑상샘 결절의 양성과 악성에 따른 K-TIRADS와 Different risk group의 점수체계의 차이 분석은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ROC 곡선 분석을 통해 악성 결절의 예측을 위한 K-TIRADS 점수와 Different risk group의 최적 cut off 값을 결정하였다. 양성과 악성 결절 군의 분류에 따른 K-TIRADS와 Different risk group의 차이검증 결과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ROC 곡선 분석에서 양성과 악성 결절의 예측을 위한 K-TIRADS에 따른 점수분류에서는 AUC 0.786, Cut-off value> 2를 나타내었으며, Different risk group에서는 AUC 0.640, Cut-off value> 2로 결정되었다(p=.001). 갑상샘 초음파에서 결절을 발견했을 때 양성과 악성 갑상샘 결절을 감별하는 데 도움을 주는 K-TIRADS에 따른 분류체계가 Different risk group에 따른 분류체계보다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며 K-TIRADS에 따른 분류체계를 적용하면, 불필요한 세포 검사를 줄일 수 있고, 악성 결절의 조기발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갑상샘 악성결절의 초음파영상에서 GLCM 알고리즘을 이용한 세포병리 진단의 후향적 분석 (Retrospective Analysis of Cytopathology using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Algorithm for Thyroid Malignant Nodules in the Ultrasound Imaging)

  • 김영주;이진수;강세식;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237-243
    • /
    • 2017
  • 본 연구는 갑상샘 초음파 영상에서 정상 및 악성결절의 세포병리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GLCM 알고리즘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여 컴퓨터보조진단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GLCM 알고리즘의 6가지 파라미터를 이용한 갑상샘 악성결절의 인식률 평가와 ROC 곡선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에너지 97%, 대조도 93%, 상관관계 92%, 동질성 92%, 엔트로피 100%, 분산 100%의 높은 질환인식률을 나타내었다. ROC 곡선 분석에서 각 파라미터의 곡선아래면적이 0.947(p=0.001) 이상을 나타내어 갑상샘 악성결절의 인식에 의미가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GLCM에서 각 파라미터의 cut-off값 결정으로 정량적인 컴퓨터보조진단의 분석을 통한 질환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검사에서 갑상샘 결절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에 따른 분석 (Analysis of Fine Needle Aspiration Results of Thyroid Nodules in Ultrasonography)

  • 곽종길;한재복;송종남;문일봉;최남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90-297
    • /
    • 2016
  • 본 연구는 직장건강검진 수검자의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결절 중 1 cm 보다 큰 결절이거나 초음파상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1군으로, 결절의 크기와 상관없이 초음파상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2군으로 나누어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 결절 양상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1군에서 15.8%가 악성이었고 2군에서는 28%에서 악성으로 나왔다.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은 양성과 악성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지만 고위험 인자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초음파검사 결과 스폰지(spongiform) 형태 소견을 보일 때에는 거의 대부분 양성이므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불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이러한 초음파 소견의 의미는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현재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 시행은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면 스폰지 형태라도 환자의 불안감에 편승하여 행하여지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양성과 악성 결절을 감별하는데 있어서 갑상샘 초음파 소견을 정확히 숙지한다면 불필요한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탄성초음파에서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using Elasticity Score and Strain Ratio in Elastogpraphy)

  • 이진수;양성희;김창수;안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7-234
    • /
    • 2017
  • 본 연구는 갑상샘 탄성초음파에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를 이용한 방법이 양성과 악성결절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탄성초음파를 시행한 59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갑상샘 결절의 양성과 악성에 따른 5단계의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차이분석은 카이제곱검정과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통해 악성결절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최적의 cut off 값을 결정하였다. 양성과 악성결절 군의 분류에 따른 탄성도 점수의 동질성 비교와 변형비의 차이검증 결과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0), ROC 곡선분석에서 양성과 악성결절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AUC 0.842, 0.700, cut-off 값 3, 2.49로 결정되었다(p=0.001). 따라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는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흉수로 발현한 유두모양 갑상샘암 (A Case of Papillary Thyroid Cancer Presenting as Pleural Effusion)

  • 정기환;서지아;이주한;조원민;김제형;신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4호
    • /
    • pp.314-317
    • /
    • 2008
  • 47세 남자가 내원 3주 전부터 발생한 호흡곤란 및 흉막성 흉통으로 입원하였다. 단순흉부촬영 및 흉부 CT 상 흉수 소견을 보여 시행한 흉강천자 결과, 림프구 우세 삼출액 소견을 보였으나, adenosine deaminase (ADA) 16.4 U/L로 감소하였고 세포진 검사 음성 소견을 보였다. 흉강경 검사 관찰되는 흉막의 다발성 결절에서 조직 생검 결과 전이성 유두모양 (papillary) 암으로 진단하였고, 원발 병소로 갑상샘 우엽의 미세결절 발견하여 갑상샘절제술을 시행했다. 갑상샘암은 내분비계의 악성 종양 중 가장 흔하며, 유두모양 갑상샘암이 가장 흔하다. 특징적으로 진행이 더디며 예후도 좋은 편으로, 원격 전이는 흔하지 않다. 전이성 악성 흉수는 드물게 보고되며, 대부분 원발 갑상샘암의 수술적 절제 등의 치료 후 경과 중에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특히 기존에 진단되지 않은 갑상샘암이, 흉수 형태로 처음 발현되는 경우를 경험하여 진단 및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미만성 갑상샘 질환에서 GLCM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 분석 (Ultrasonic Image Analysis Using GLCM in Diffuse Thyroid Disease)

  • 예수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73-479
    • /
    • 2021
  • 미만성 갑상샘질환은 그 진단 기준이 모호하고 숙련자의 주관적인 진단에 따라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갑상샘 결절의 초음파 영상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졌지만 미만성 갑상샘질환에 관한 연구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과 미만성 갑상샘질환의 영상에 GLC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값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W 병원에서 진단한 환자의 갑상샘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GLC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상 199증례, 경도 132증례, 중등도 99증례 총 영상 430증례에 관심영역(50×50 pixel)을 설정하고, 각 영상에서 Autocorrelation, Sum of squares, Sum average, Sum variance, Cluster prominence, Energy 6가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utocorrelation, Sum of squares, Sum average, Sum variance 4가지 파라미터에서 Normal, Mild, Moderate를 구분하는데 90%이상의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미만성 갑상샙질환의 초음파영상에서 GLC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미만성 갑상샘질환의 심각도 정도를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가치가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갑상샘질환의 진단에 있어 육안 판독에 따른 오류를 감소시키고 미만성 갑상샘질환 진단의 2차적인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갑상선 결절 유병률과 초음파 영상에서 악성소견 결절의 형태학적 분석 (The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and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Malignant Nodules on Ultrasonography)

  • 안현;지태정;이효영;임인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3호
    • /
    • pp.201-20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and malignant findings of thyroid nodules in 1,954 patients (654 males and 1,300 females) aged 20 years or older who underwent thyroid ultrasoun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8. Examination of the thyroid gland was performed,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as performed on the thyroid nodule. As a result, 108 (16.5%) out of 654 males and 368 (28.3%) out of 1,300 females showed higher prevalence than males. The prevalence of single nodules and multiple nodules in gender and age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women and for ages (male p=.001, female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es in the nodule size (p=.001)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ales (p=.069). Fine -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476 patients with nodules was diagnosed as malignant in 46 patients (9.6%). Based on pathologic results, 383 benign and 93 malignant groups were analyzed. Ultrasonographic findings were as follows single nodule (p=.000), solid(p=.004), hypoechoic (p=.000), ill-defined peripheral boundary (p=.000), and calcification (p=.000), respectively. In the diagnosis of thyroid nodule, primary ultrasonographic findings through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nodules may reduce indiscriminat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n benign and malignant nodules.

양성 갑상샘 결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결절절제술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Nodulectomy in Surgical Treatment of Benign Thyroid Nodules)

  • 이동우;김상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7-141
    • /
    • 2006
  • Purpose :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lobectomy is a standard surgical procedure in treatment of benign thyroid nodules. However lobectomy may cause postoperative hypothyroidism. Most of surgeons believe that nodulectomy has its limitation in treatment of thyroid nodules due to recurrence of nodules and presence of cancer.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determine whether nodulectomy is justified in aspects of preservation of thyroid function, risk of recurrence and complications. Methods: Data was collected retrospectively on 74 patients undergoing thyroidectomy(single nodulectomy, n=43;bilateral nodulectomies, n=9;lobectomy with nodulectomy, n=22) for benign thyroid nodules from 1999 to 2004. All patients were evaluated for complication, postoperative thyroid function, and recurrence of benign nodule and cancer were followed by regular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for 2-6 years. Results : The pathologic results of 74 patients were nodular hyperplasia(55 patients), Hashimoto's thyroiditis(8 patients), follicular adenoma(7 patients) and papillary carcinoma(4 patients). Average operation time was 30 minutes from skin incision to specimen out. In postoperative follow-up of 70 patients, six cases(8.5%) became mild hypothyroid, and ultrasonographically detected micronodule was also six cases(8.5%). There were no other complications. Conclusion : Thyroid nodulectomy appears to have advantages of relatively few complication and simple procedure with no access to laryngeal nerves. Therefore, it may be one of treatment options in selected cases of benign thyroid nodules.

무통성 결절 양상의 갑상선에 발생한 만성 육아종성 염증 1예 (A Case of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of Thyroid Gland Presenting as a Painless Thyroid Nodule)

  • 곽슬기;최전하;김윤정;김승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3-86
    • /
    • 2013
  • Some clinical diseases, such as granulomatous thyroiditis, tuberculosis, and sarcoidosis can cause granulomatous inflammation in thyroid, and theses have various clinical presentations. Granulomatous thyroiditis is an inflammation of thyroid gland, and may be painful and tender in case of infection, radiation, or trauma. Otherwise, autoimmune conditions, medications, or an idiopathic fibrosis may cause to be a painless thyroididtis. It is self-limited, possibly viral, inflammatory thyroid disorder usually presented with thyroid pain and systemic symptoms. Tuberculosis of the thyroid occurs only rarely and the patient may be asymptomatic. In thyroid sarcoidosis, most common findings are painless, progressive enlargement of the thyroid with normal function.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of thyroid gland presenting as a painless thyroid nodule and report it with a review of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