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시카메라

Search Result 61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Implement of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using PDA and Wi-Fi on Network (네트워크에서 PDA와 Wi-Fi를 이용한 원격 감시카메라 제어 구현)

  • Lee, Young-Woong;Kim, J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63-164
    • /
    • 2009
  • 최근 감시카메라의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개인 사업체, 전문 감시업체, 일반 기업 및 공공기관 등 감시카메라는 폭넓게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녹화된 감시영상이나 카메라 컨트롤을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확인하고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TCP/IP기반의 네트워크에서 PDA로 Wi-Fi를 이용하여 접속한 후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영상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는 카메라의 영상을 받고 팬틸트 컨트롤을 하게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PC와 PDA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뒤 실시간으로 영상을 받아오고 카메라 팬틸트를 컨트롤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내용은 Wi-Fi가 사용가능한 곳에 있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보고 컨트롤 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A Design of Industrial Television network (산업용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 구성 설계)

  • 이동찬;이용희;조영훈;이동희;박종태;권대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02-804
    • /
    • 2001
  • 현재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감시카메라는 고정채널방식에 기반한 아날로그 카메라들이 대부분이며 하나의 모니터에 종속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대규모의 산업용 감시 카메라를 보유한 대규모공장의 조업에 적잖은 비능률을 초래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산업용 감시카메라들의 운영에 관한 문제점들을 들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IP기반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산업용 감시카메라의 네트워크 구성을 제안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real-time encryption for forgery protection of surveillance camera (감시 카메라 영상의 보호를 위한 실시간 암호화 구현)

  • Lee, Seong-Yeon;Kim, Jo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793-796
    • /
    • 2009
  • 감시 카메라는 보안, 감시 등의 목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최근의 감시 카메라는 자체적으로 인코딩 작업을 통해 H.264 영상을 생성하여 보내주기도 하는데, H.264는 높은 압축률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인코딩 방법이다. 감시카메라는 주로 보안을 위해 사용하므로 위/변조에 강해야 하고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봐서는 안된다. 대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경우 별도의 보안 장치를 설정하기 힘들어 보호에 취약한 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감시카메라 영상을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암호화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감시카메라로 녹화된 영상을 H.264로 인코딩한 뒤 콘텐츠의 특성을 이용하여 암호화를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를 적용하면 암호화된 콘텐츠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내용은 최근 많이 사용되는 감시 카메라 영상의 보호 뿐 아니라 그 외 DMB, 지상파 방송 등의 보편적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 PDF

Smart CCTV for Human Detection (인체감지 스마트 감시 카메라)

  • Choi, Duk-Kyu;Jang, Tae-Jin;Oh, Seung-Hun;Kang, Chang-wook;Lim, Joung-Woo;Kim, Bo-Young;Lim, Young-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67-668
    • /
    • 2020
  • 최근에는 범죄예방과 시설물 안전 및 출입관리, 화제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감시카메라(CCTV)가 널리 보급되어 공공기관이나 상업시설 등 어느 곳에서나 찾을 수 있다. 이렇듯 많은곳에서 저마다의 이유로 사용되고 있는 감시카메라지만,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이유는 범죄예방에 있다. 시설 내·외부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도난사건 등을 사전에 방지하고 사후 증거확보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기 때문인데 문제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사건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사람이 카메라 영상을 지켜보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사람이 항상 감시할수있을수는 없기 때문에 예방보다는 사후 증거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실정이다. 즉 대부분의 감시카메라가 본래의 역할에 절반밖에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감시카메라 자체의 기능을 추가하여 감시카메라가 인력을 필요로 하지않고 스스로 본래의 역할을 다할수있게 할 것이다.

  • PDF

A networked Serveillance System on JMF (JMF기반의 네트워크 감시시스템)

  • Lee Youn-mi;Lee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65-86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CCTV방식의 감시시스템과 사랑추적 기술을 결합한 사람추적 감시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 CCTV방식의 감시시스템의 제한점이었던 모니터링 감시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대의 카메라들이 서로 다른 지역을 감시함과 동시에 카메라에 나타난 사랑들을 여러 카메라에 걸쳐서 자동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감시시스템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고정된 다수의 비겹침 카메라와 JMF RTP API를 이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미디어스트림의 네트워크 정보전달과 추적 대상의 특징정보를 전달하여 사람들을 추적한다. 계층적 사람모델을 이용하여 카메라 내에 인식된 사람을 추적하고 다른 카메라로 추적된 사람의 특징정보를 전달하여 지속적으로 추적대상을 검출, 인식함으로써, 넓은 지역에 산재된 여러 카메라들을 통해 추적대상을 끝까지 추적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환경의 여는 지역에서 추적대상의 움직임을 다수의 카메라가 인식하고 감시하여 끝까지 추적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PDF

코너를 특징점으로 이용한 감시카메라 공격 검출

  • Park, Moo-Kyung
    • Review of KIISC
    • /
    • v.20 no.3
    • /
    • pp.58-61
    • /
    • 2010
  • 최근 영상압축 및 전송기술의 발달과 저장매체의 대용량화 등 IT 기술의 발달로 영상기반의 보안시스템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보편화된 시스템이 되고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의 발달로 인해 감시카메라에서 취득한 영상을 영상처리를 통해 자동으로 해석하는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은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카메라가 공격을 당해 감시불능인 상태가 되면 아무리 뛰어난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이라고 해도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에 카메라 무력화를 감시하는 알고리즘은 반드시 필요하다. 카메라 무력화 검지 알고리즘은 사용자로 하여금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주지만 아직 많은 알고리즘들은 조명변화와 같은 일상적인 상황에 잦은 오보를 출력함으로 시스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명변화에 강건하도록 입력영상의 코너를 특징점으로 이용하여 감시카메라의 공격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것이 신기술이다 - 자동 추적 카메라를 위한 원칩 SoC 및 RDK(Reference Design Kit)

  • Choi, Du-W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9
    • /
    • pp.52-55
    • /
    • 2009
  • 이제 감시카메라는 우리 주변 곳곳에 설치되지 않은 곳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광범위해 졌다. 아니 우리 눈이 미치는 곳보다 더 많은 곳에 설치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CCTV의 힘을 빌리지 못한 사각지대가 엄연히 존재하며 많은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기에 이제는 카메라의 대수만을 늘리기 보다는 지능적으로 판단하고 추적할 수 있는, 생각하는 감시카메라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시점이다.

  • PDF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for Video Analysis, Recognition and Tracking (비디오 영상분석,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지능형 비디오 감시시스템)

  • Kim, Tae-Kyung;Paik, Joo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498-500
    • /
    • 2012
  • 비디오 해석 및 추적기술은 특정한 시스템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비디오 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감시 대상을 정의, 해석, 모델화, 추정 및 추적 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의미하다. 일반적으로 감시시스템에서 감시 대상은 사람이나 차량이며, 상황에 따라 출입통제 구역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이는 연속된 영상에서 객체의 형태, 모양, 행동 분석, 움직임, 색상정보를 가지고 데이터 정의, 검출, 모델화를 통하여 인식, 식별 그리고 추적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분석을 통해 단일카메라기반의 감시시스템과 PTZ 카메라기반 감시시스템 제안한다. 이때 단일 카메라기반의 감시는 배경생성방법을 이용하여 연속된 영상내의 객체를 지속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고, PTZ 카메라기반의 감시는 카메라의 이동에 따른 배경안정화 방법과 카메라의 절대좌표를 활용하여 카메라 이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오검출 문제를 해결하였다. 실험 및 결과분석으로는 시나리오 환경에서 배경생성방법을 이용한 검출의 정확성과 PTZ카메라 위치 변화에도 강인한 검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An Energy-Efficient Operating Scheme of Surveillance System by Predicting the Location of Targets (감시 대상의 위치 추정을 통한 감시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적 운영 방법)

  • Lee, Kangwook;Lee, Soobin;Lee, Howon;Cho, Dong-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2
    • /
    • pp.172-180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efficient camera operating scheme to save energy which can be used for mass surveillance cameras. This technique determines how many cameras should be turned on in the consideration of the velocity vector of monitoring targets, which is acquired by DSRC object tracking, the model of the specification of installed cameras, and the road model of installed sites. Also, we address other techniques used to save energy for the surveillance system as well. Throughout performance evaluation, we demonstrate the excellence of our proposed scheme compared with previous approaches.

An Development of Security System based on The Home Gateway (홈 게이트웨이 기반 보안 시스템 개발)

  • Cho, Soo-Hyung;Lee, Sang-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99-302
    • /
    • 2010
  • 보안 시스템에 사용되는 많은 감시 카메라들이 RS-485 통신 방식을 통해 제어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RS-485 연결을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무선 연결로 대체할 수 있다면 선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쉬워지고 카메라의 배치 또한 자유로워 질 것이다. 본 논문은 RS-485 연결을 대체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발로 홈게이트웨이와 무선 센서 노드, 스마트폰 감시 카메라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홈 게이트웨이는 유 무선 인터넷 뿐만 아니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MicaZ 기반의 센서 노드는 RS-485 인터페이스로 카메라와 연결된다. 넓은 지역에 분산된 보안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해 멀티-홉 또한 지원하도록 구현되었다. 보안 시스템의 감시 카메라들은 스마트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된다. 실제 환경에 배치하여 실험한 결과, 스마트폰에서의 카메라 제어에 대해 실제 카메라가 매우 빠르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