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성 공간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6초

콘텐츠 로봇의 감성적 반응을 위한 지능형 메신저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Messenger for Affective Interaction of Content Robot)

  • 박범준;소수환;박태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9-17
    • /
    • 2010
  •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로봇 또는 인터랙티브 캐릭터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문장 입력에 대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감성 상태에 적절한 응답을 제공하는 지능형 메신저를 개발한다. 사용자의 의도 및 감성 상태 인식을 위하여, 지능형 메신저는 화행 분석 및 감성 분석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감성 및 화행 표현을 위한 태그가 추가된 AIML 기반의 대화형 스크립트를 사용한다. 대화형 스크립트에서 사용자의 감성에 적합한 답변을 찾으면, 지능형 메신저는 그 답변을 대화창에 보여줌과 동시에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사용자의 감성과 동조화된 감정 표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일 감정을 표현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로봇과 동기화된다면, 사용자와 동일 공간에 존재하는 콘텐츠 로봇은 사용자에 대하여 감성적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심전도를 이용한 경쟁-협력의 감성 인식 방법 (Emotion Recognition Method of Competition-Cooperation Using Electrocardiogram)

  • 박상인;이동원;문성철;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73-82
    • /
    • 2018
  • 경쟁과 협력을 인식하는 것은 일하는 공간에서 상호작용 디자인을 하는 데에 필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유발되는 경쟁과 협력의 사회 감성을 심장의 생리 반응 패턴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 60명은 패턴 게임으로 구성된 과제로 경쟁-협력 실험에 참여하였고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심전도로부터 시간 영역 지표인 RRI와 SDNN, pNN50, rMSSD를 추출하였고, 주파수 영역 지표인 VLF와 LF, HF, VLF/HF, LF/HF, lnVLF, lnLF, lnHF, lnVLF/lnHF를 추출하였다. 독립 표본 t검정으로 사회 감성에 따라 추출한 지표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들로 단계적 판별 분석을 진행하여 선정된 SDNN, VLF, lnVLF/lnHF 지표로 경쟁-협력 규칙을 정의하고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85%의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감성 인식 방법은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1세기 업무공간의 감성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Emotion Design to Office Space in 21st)

  • 한지연;신홍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39-146
    • /
    • 2007
  • This study is 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office environment so that digital technologies may adapt to the rapidly progressing social structure in a flexible way, investigate the interior composition of the changing office space and the element and direction of design and then present the indoor environment appropriate to it with the desirable alternative to the emotional office. The recognition of emotionality becomes so important that it is called 'emotional society'. Emotional design, which is mostly concern about user's consensus & experiences and in the space, is appeared on office. Emotional design is understanded from a interactive point of view, human and interior-space. The important factors of this study are light, color, immateriality and fun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otional design by analysis of multifarious spaces. Office space Is designed emotional and experienced in the future.

테마파크 환경연출기법에 있어서 감성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테마파크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end of emotional design in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of theme park- Focus on commercial spaces of theme park -)

  • 이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83-90
    • /
    • 2003
  • Contemporary culture of consumption has been transferred from physical satisfaction in the past to the "pleasure" culture of consumption that satisfies emotional needs, generating a new design category - emotional design. The current study analyzes various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of the theme parks, which recognized early the importance of the "pleasure" culture of consumption and used the techniques for sales and as profit-making tools. This study also examines a trend of emotional design in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of the theme park and proves that the design techniques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interior design areas, as well as commercial facilities.mmercial facilities.

저드 파트너십의 쇼핑몰 공간에 나타난 디자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감성디자인적 표현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Jerde Partnership's shopping mall space - Focused on Emotional Design -)

  • 장인경;김문덕;송춘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86-94
    • /
    • 2005
  • The recognition of emotionality becomes so important that it is called' emotional consumption society'. Emotional design, which is mostly concern about user's consensus & experiences and in the space, is appeared on commercial place. Emotional design is understanded from a Interactive point of view, human and interior-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otional design by analysis of multiple-commercial-functioned shopping places. Specially, the most recently remarkale Jerde partnership's shopping space in Japan. Jerde partnership' project theme is creative experience by making place and experience design. Though, they weren't claim to stand for emotional design, but presented an emotional element in the shopping mall works.

차경기법을 통한 전통공간에서의 감성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Space through Borrowed Landscape)

  • 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78-85
    • /
    • 2013
  • This study employed the Semantic Differential(SD) technique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borrowed landscape-the so-called interaction of landscape between space and nature-in traditional Korean space against the cultural backdrop of confucian ideology.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rrowed landscape between Sarangchae(Men's quarters) and Anchae(Women's quarters) and between Soteuldaemun(A lofty gate) and Sadangdaemun(A gate to an ancestral shrine), using the SD technique. Consequently, their marked distinction in the borrowed landscape were found to illustrate the influence of confucian ideology over spatial composition. Second, both the garden and the sky of Sarangchae appeared more open and dynamic, and soft, and comfortable, and warm compared to Anchae. Also, Soteuldaemun looked more open and dynamic than Sadangdaemun. In conclusion, traditional Korean space applies a monistic view of the world to nature and human beings, thereby embodying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space where humans enjoy their life in harmony with nature while playing with the landscape in a traditional space.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공간적, 시간적 해상도에 따른 인간성능 평가 (Human Performance Variations in the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of a Stereoscopic Display)

  • 박재희;박경수;고희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4
    • /
    • 2000
  • 가상현실 시스템은 대부분 가상세계에 대해 사용자의 3차원 제어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3차원 제어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의 최적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표시장치의 주요 설계요소인 공간적 해상도(spatial resolution), 시간적 해상도(temporal resolution or frame rate), 가상세계의 복잡도가 3차원 제어작업의 인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 조건의 화면 해상도, 2 조건의 프레임 레이트(18 Hz고정과 18Hz 이상 변동 최대화 조건), 3 조건의 가상세계 복잡도에 대한 18 조합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18Hz 로 고정된 프레임 레이트 조건이 프레임 레이트를 그 이상 최대로 하는 것보다 더 좋은 제어성능을 보였다. 화면 해상도는 높을수록 제어성능이 향상되었다. 가상세계의 복잡도에서는 방향정보만 주는 경우가 방향 정보가 없는 경우나 너무 많은 정보가 있는 경우보다 나은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가상환경 시스템의 표시장치나 가상세계 설계에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구속 공간을 이용한 햅틱 암마스터의 제어 (Control of a Haptic Arm Master by Using Intermediate Constraint Space)

  • 차삼곤;김종국;손원선;김진욱;송재복;고희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5
    • /
    • 2002
  •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각정보 외에 힘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힘 반영은 햅틱장치에 의해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영상 제시기에 의한 영상정보는 낮은 갱신율을 갖는 반면에, 햅틱장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갱신율로 인간에게 힘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이들 정보 간의 동기화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모델의 원형을 일반화시켜서 햅틱장치에 전달하고, 영상 제시기의 갱신율과는 상관 없이 햅틱장치 내에서 임의의 구속공간을 만들어서 힘피드백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Eigenface를 이용한 인간의 얼굴인식과 감정인식 (Face and Emotion Recognition Using Eigenface)

  • 이상윤;오재흥;장근호;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21-32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환경하에서 인간의 식별과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감정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CCD 칼라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원 영상으로부터 피부색을 이용해 얼굴영상을 얻는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주요 요소분석을 기본으로 하는 얼굴인식기술인 Eigenface를 사용하여 이미지들을 고차원의 픽셀공간으로부터 저차원공간으로의 변환하는 파정을 거친다. 제안된 개인에 대한 식별과 감성인식은 사용한 특징벡터들의 추출로 인한 Eigenface의 가중치와 상관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영상의 가중치로부터 개인에 대한 식별과 감성정보를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응용가능성을 보인다.

감성검색법을 기초로 한 정보기기 콘텐츠 디자인 연구 -색채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감성검색시스템을 사례로- (Applying Emotional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to Information Appliances Design -The Use of Color Information for Mobile Emotion Retrieval System-)

  • 김돈한;서경호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501-5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정보기기의 콘텐츠 디자인을 목적으로 한 감성검색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사용자감성모델'을 풀 컬러 화상의 색상성분추출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평가실험을 통하여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시각적 감성 유발 자극으로 100장의 인테리어 이미지 화상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한 후 48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감성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자감성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시스템이 검색한 이미지 속에 정답 이미지가 출현하는 재현율(Recall ratio)을 구하였다, 다음으로 시스템이 산출한 순위와 피험자가 평가한 순위 사이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스템이 산출한 상/하위 순위를 이용하여 Paired Samples t-test(2-tailed)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감성어에 대한 평균 재현율은 62.1%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상관분석에서도 전체 감성어들이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Paired Samples t-test(2-tailed) 분석결과 'Casual'를 제외한 모든 감성어들에서 상위 이미지가 더 적합하며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9)=5.528, p<.05).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색상정보만으로 구축한 '사용자감성모델'이 상업공간의 이미지와 같은 시각자극의 검색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인 점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