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량화

Search Result 26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집단주거단지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 설비 무용지물로 변해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17
    • /
    • pp.89-101
    • /
    • 2000
  • 정부의 쓰레기 분리수거 자원화 및 재활용 정책에 적극 대처하고 쾌적한 생활환경과 음식물 쓰레기 수거방식 개선의 일환으로 도입된 집단주거단지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 설비(일명 고속발효기)가 애초의 취지와는 악취유발, 과다한 관리비 부과, 관리미숙 등의 부작용으로 무용지물이 되고 있어 국가적인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 PDF

The Situation and Prospect of Food Packaging Materials and Its Products in Korea Since 1990 (식품포장산업의 현황과 전망)

  • 김덕웅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7 no.1
    • /
    • pp.64-82
    • /
    • 1994
  • 1. 포장재료에서는 기능성필름, 전자레인지, 조리식품의 포장쪽으로 다층복합필름, 중공성형용기, 완전분해성 플라스틱필름과 같은 새로운 무공해 신소재가 개발될 것이다. 2. 포장제품의 차별화로 인하여 다양성 추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노인층의 증가, 젊은층의 유행 등으로 포장재료의 형태, 디자인의 패션화 등 목적에 따라 다양화 될 전망이다. 3. 환경보호를 위한 자원절약과 감량화 등이 규제에 따라 적정포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UR개방과 GR에 대비해 포장설계로부터 폐기물에 이르기까지 자원절약형, 감량화, 대체품 개발, 가급적 포장재 단일화 성향으로 갈 것이다. 4. 생산기계에서부터 포장기계 및 물류 등의 고속화 및 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개발될 것이다. 인건비 절감, 생산성 향상, 합리적 유통 구조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5. 포장기술의 다양한 연구개발과 응용이 이루어져야겠다. 국내의 식품포장 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기초연구에서부터 응용에 이르기까지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식품의 무균화 및 무균포장기술, CA/MA포장기술, 전자렌지식품의 포장기술, 물류관리를 위한 포장 표준화, 포장식품의 보관 수명 연구, 식품과 포장재료의 유해성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6. 국내 포장교육의 전문기관으로 학과설립의 확대가 이루어져 업체의 요구에 부응하여야 될 것이다.

  • PDF

환경정화사업의 일환으로 가전제품 포장재가 경감된다

  • 한국전기제품안전진흥회
    • Product Safety
    • /
    • s.36
    • /
    • pp.72-75
    • /
    • 1995
  • 현대산업사회의 발전으로 널리 보급된 가전제품중 TV,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에어컨디셔너, 퍼스날 컴퓨터 등 6개품목의 합성수지 재질 포장재에 대해서는 환경정화사업의 일환으로 '96. 1. 1부터 년차별 감량화 목표율에 따라 당해연도 감량화 자체 계획 및 실적을 작성하여 환경부장관과 통상산업부 장관에게 각각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당해연도 자체 계획서 및 전년도 실적을 제출함에 있어 제조$\cdot$수입을 함께하는 경우는 한국

  • PDF

Packaging Design Guideline for PET Bottle using Lightness Index (경량화 지수를 이용한 페트병의 패키징 설계 기준)

  • Kim, Sun-jong;Nastaran, Moghimi;Jang, Si-hoon;Park, Su-il
    •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 /
    • v.22 no.3
    • /
    • pp.163-168
    • /
    • 2016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mpty body weight and nominal volume of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commercialized in Korean market. Over 780 PET bottle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heat resistance bottle, normal resistance bottle, pressure resistance bottle, and long period using bottle. Each PET bottle's lightness index was established using bottle weight and nominal volume. Based on the index value, "acceptable" and "optimum" criteria for design guideline of PET bottle were summarized for each PET bottle typ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use of PET bottle lightness index as a design guideline for material resource reduction of PET bottle for Korean beverage industries and bottle makers. For example, we can achieve 2~4 g weight reduction in normal pressure bottle for 500 mL drinking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