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기약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어린이건강관리 2-겨울철의 어린이 감기

  • Lee, Ik-Jun
    • 건강소식
    • /
    • v.11 no.2 s.99
    • /
    • pp.19-22
    • /
    • 1987
  • 감기를 앓는 어린아이들이 병원을 방문 했을때 기침약을 주는데 이는 세균을 죽이거나 감기라는 병을 근절시키는 근본적인 약은 아닙니다. 다만 기관지의 간질간질한 기운을 없애고, 기침의 횟수를 줄게하여 가래가 부드럽게 올라오도록 도움을 줄 뿐입니다.

  • PDF

정책초점 2 - 올 11월부터 안전 상비 의약품 편의점 판매 가능하다는데 자판기 유통도 가능할까?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11 no.2
    • /
    • pp.46-47
    • /
    • 2012
  • 편의점에서 감기약 등의 안전 상비 의약품 판매를 허용하는 약사법 개정안이 지난 5월 2일 국회를 통과해 올 11월 말부터는 전국 2만여 개의 24시간 편의점에서 상비약을 살 수 있게 됐다. 휴일과 야간에도 손쉽게 감기약과 소화제, 해열제 등을 구입할 수 있어 소비자 입장에선 한결 편리해진다. 이 시점에서 관심사가 되고 있는 게 자동판매기를 통해서도 판매가 가능한지 여부이다. 만약 자동판매기로도 유통이 될 수 있다면 새로운 영역이 열린다. 새로운 시장 발굴에 어려움을 겪는 산업계 입장에서 보면 호재가 아닐 수 없다. 과연 그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 PDF

감기 환자에게 좋은 음식은? 셀레늄이 듬뿍~ 닭고기!

  • 한국계육협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16 no.10
    • /
    • pp.124-125
    • /
    • 2010
  • 요즘 기온이 떨어지면서 환자 수가 늘고 있는 감기는 '순한 독감'이 아니다. 독감은 한 종류의 바이러스(인플루엔자)가 일으키지만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와 세균의 합작품이다. 전체 감기의 30~40%는 라이노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항생제로 세균을 죽일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어쩌지 못한다. 세상에 '감기 특효약' 이나 '감기 백신' 은 존재하지 않는다. "감기는 약을 먹으면 1주일, 복용하지 않으면 7일 간다"는 말은 이래서 나왔다. 그러나 감기 예방과 증상 완화를 돕는 식품으로 거론되는 것들은 있다. 대개 신체의 자연치유력(면역력)을 높여 주거나 유해산소를 없애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거나 항염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식물들이다. 그렇다면 감기 환자에게 좋은 음식은 무엇일까?

  • PDF

결핵균 등 내성균 천국, 약물 오$\cdot$남용 사회

  • 대한결핵협회
    • 보건세계
    • /
    • v.46 no.8 s.516
    • /
    • pp.28-29
    • /
    • 1999
  •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국민의 의약품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1천명중 33명이 매일 항생제를 복용한다. 이는 OECD 회원국가의 평균치 21명보다 월등히 높은 비율로, 약물남용이 우려할 만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 조사는 또 97년도 의료보험 환자중 병$\cdot$의원에서 58.9$\%$가 항생제를 처방받았다고 밝혔다. 폐렴구균의 70$\~$80$\%$가 항생제 남용으로 페니실린에 내성을 보였는데 이는 아시아 최고수준이다. 약물남용은 항생제 뿐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사처방 없이 자가처방으로 약을 구입하며, 자가처방의 절반은 감기약을 구입하는데 이 경우 부적절한 처방이 문제된다. 더구나 감기약은 1가지만으로도 남용할 경우 부작용이 많은데 `판피린과 콘택 600을 주세요` 라는 식으로 물약과 알약을 동시에 주문한다. 이와 같은 약의 중복사용은 약물의 남용효과를 더욱 크게 한다.

  • PDF

계절건강 지킴이 - 콜록콜록~ 또 감기앓이? 감기의 릴레이를 끊어라!

  • Son, Ji-Hye
    • 건강소식
    • /
    • v.38 no.11
    • /
    • pp.24-25
    • /
    • 2014
  • 초가을까지 기승을 부리던 더위가 물러가자 감기가 몰려온다. 확연하게 커진 밤낮의 일교차와 건조해진 날씨에 병원을 찾는 호흡기 환자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가 있는 가정은 아이들 병간호에 여념이 없다. 겨우 다 나았나 싶었는데 재발하기가 더 악화되어 가을 겨울 내내 우리를 괴롭히는 감기. 대체 그 연속성의 원인은 무엇일까.

  • PDF

'나눔의 힘'이 'AIDS'의 정복을 앞당길 수 있다!

  • Kim, Sin-Hye
    • RED RIBBON
    • /
    • s.79
    • /
    • pp.18-19
    • /
    • 2008
  • 인류의 건강을 해치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어떤 경우에도, 누구에게도 환영 받을 수는 없다. 차방전 없이 약국에 가서 가장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약이 감기약이다. 하지만 아무리 흔한 병이고 치료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고 해도 감기는 친근하면서도 무서운 질병이다. 각종 보험 상품으로 대비할 수 있고, 현대 의학이 정복했다고 하는 암 역시 여전히 듣기만 해도 고개를 내젓게 된다. 그러니 예방도, 치료도 어려운 인류의 난제인 AIDS에 대한 우리의 태도나 마음이 긍정적이기 어려운 것은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 PDF